{"title":"地方认同与价值观与城市外交——济州建立全球交流中心的方向探索","authors":"Kyungmin Ko","doi":"10.21807/jnas.2023.09.108.005","DOIUrl":null,"url":null,"abstract":"도시들은 저마다의 정체성과 추구하는 가치가 다양하고 미래 도시발전을 위한 경쟁력 강화 요소도 다양하다. 각 도시의 정체성과 지역 특성, 그리고 추구하는 미래 가치가 도시외교 전략에 반영될 수 있다면 도시별로 특화된 도시외교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제주가 이를 검토할 수 있는 적절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는 제주의 역사적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해상왕국 탐라 천년의 역사와 지혜를 반추하는 가운데, 20주년에 접어들고 있는 ‘국제자유도시’와 ‘세계평화의 섬’ 실현이라는 제주의 특성과 미래 가치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가 지속가능한 국제도시와 평화도시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방안으로 ‘글로벌교류허브’ 조성을 제안하고, 어떤 목표와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도시별 독특한 여건 및 환경과 긴밀하게 연계된 도시외교 전략이 도시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다른 도시나 지자체에 줄 수 있는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PeriodicalId":490161,"journal":{"name":"Han'gug dongbug'a nonchong","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Local Identity and Values, and City Diplomacy: Exploring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Global Exchange Hub in Jeju\",\"authors\":\"Kyungmin Ko\",\"doi\":\"10.21807/jnas.2023.09.108.005\",\"DOIUrl\":null,\"url\":null,\"abstract\":\"도시들은 저마다의 정체성과 추구하는 가치가 다양하고 미래 도시발전을 위한 경쟁력 강화 요소도 다양하다. 각 도시의 정체성과 지역 특성, 그리고 추구하는 미래 가치가 도시외교 전략에 반영될 수 있다면 도시별로 특화된 도시외교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제주가 이를 검토할 수 있는 적절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는 제주의 역사적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해상왕국 탐라 천년의 역사와 지혜를 반추하는 가운데, 20주년에 접어들고 있는 ‘국제자유도시’와 ‘세계평화의 섬’ 실현이라는 제주의 특성과 미래 가치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가 지속가능한 국제도시와 평화도시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방안으로 ‘글로벌교류허브’ 조성을 제안하고, 어떤 목표와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도시별 독특한 여건 및 환경과 긴밀하게 연계된 도시외교 전략이 도시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다른 도시나 지자체에 줄 수 있는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PeriodicalId\":490161,\"journal\":{\"name\":\"Han'gug dongbug'a nonchong\",\"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dongbug'a nonch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07/jnas.2023.09.108.0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dongbug'a noncho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07/jnas.2023.09.108.0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Local Identity and Values, and City Diplomacy: Exploring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Global Exchange Hub in Jeju
도시들은 저마다의 정체성과 추구하는 가치가 다양하고 미래 도시발전을 위한 경쟁력 강화 요소도 다양하다. 각 도시의 정체성과 지역 특성, 그리고 추구하는 미래 가치가 도시외교 전략에 반영될 수 있다면 도시별로 특화된 도시외교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제주가 이를 검토할 수 있는 적절한 사례가 될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는 제주의 역사적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해상왕국 탐라 천년의 역사와 지혜를 반추하는 가운데, 20주년에 접어들고 있는 ‘국제자유도시’와 ‘세계평화의 섬’ 실현이라는 제주의 특성과 미래 가치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가 지속가능한 국제도시와 평화도시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방안으로 ‘글로벌교류허브’ 조성을 제안하고, 어떤 목표와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도시별 독특한 여건 및 환경과 긴밀하게 연계된 도시외교 전략이 도시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다른 도시나 지자체에 줄 수 있는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