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重演视频的跨文化培训模式研究——以外籍人员培训为例","authors":"Jinchul Choi","doi":"10.18237/kdgw.2023.41.3.087","DOIUrl":null,"url":null,"abstract":"해외주재원이나 장단기 파견 근무자와 같이 국제업무 활동에 노출되는 기업 실무자들에게 문화 간 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국내외 기업의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자 도전이다. 이 연구는 국내 모기업의 해외주재원 파견전 교육을 위해 만든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 실무자들을 위한 이문화 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번 사례 연구는 국내 모기업과 함께 ‘결정적 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 ‘문화 동화자(Culture Assimilator)’, ‘문화표준 모델(Cultural Standard Model)’에 영감을 받아 실제 문화 간 비즈니스 현장에서 일어난 사례를 시나리오 집필, 배우섭외, 촬영, 영상 제작의 과정을 거쳐 영상으로 재연한 사례를 기반으로 해외주재원 파견 전 교육 콘텐츠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시도를 기반으로 이문화 교육에 있어 재연 영상의 활용 가능성과 사례분석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이문화 교육의 발전 역사를 소개하고, 이문화 교육의 유형과 패러다임 변화 흐름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례 재연의 이론적 배경인 결정적 사건기법과 문화 동화자 훈련기법을 고찰한다. 이어서 실제 국내 모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제작한 재연 영상의 준비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영상 속 사례에 대한 분석을 개인·조직·국가 문화적 층위에서 시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국내 예비 주재원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언급한다.","PeriodicalId":483218,"journ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an Intercultural Training Model Based on Reenactment Video: Focusing on Expatriate Training\",\"authors\":\"Jinchul Choi\",\"doi\":\"10.18237/kdgw.2023.41.3.087\",\"DOIUrl\":null,\"url\":null,\"abstract\":\"해외주재원이나 장단기 파견 근무자와 같이 국제업무 활동에 노출되는 기업 실무자들에게 문화 간 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국내외 기업의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자 도전이다. 이 연구는 국내 모기업의 해외주재원 파견전 교육을 위해 만든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 실무자들을 위한 이문화 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번 사례 연구는 국내 모기업과 함께 ‘결정적 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 ‘문화 동화자(Culture Assimilator)’, ‘문화표준 모델(Cultural Standard Model)’에 영감을 받아 실제 문화 간 비즈니스 현장에서 일어난 사례를 시나리오 집필, 배우섭외, 촬영, 영상 제작의 과정을 거쳐 영상으로 재연한 사례를 기반으로 해외주재원 파견 전 교육 콘텐츠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시도를 기반으로 이문화 교육에 있어 재연 영상의 활용 가능성과 사례분석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이문화 교육의 발전 역사를 소개하고, 이문화 교육의 유형과 패러다임 변화 흐름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례 재연의 이론적 배경인 결정적 사건기법과 문화 동화자 훈련기법을 고찰한다. 이어서 실제 국내 모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제작한 재연 영상의 준비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영상 속 사례에 대한 분석을 개인·조직·국가 문화적 층위에서 시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국내 예비 주재원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언급한다.\",\"PeriodicalId\":483218,\"journ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237/kdgw.2023.41.3.0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237/kdgw.2023.41.3.0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对于海外派驻人员或长短期派遣人员等在国际业务活动中暴露的企业实务者,开发能够培养文化间沟通能力的文化教育项目,是国内外企业在全球人力资源管理上的重要课题和挑战。该研究将以国内母公司派遣到海外工作人员前,为进行教育而制作的再现影像基础异文化教育项目运营事例为基础,为企业实务者探索异文化教育的新模型。此次事例研究是与国内母公司一起受到“决定性事件技法(Critical Incident Technique)”、“文化同化者(Culture Assimilator)”、“文化标准模型(Cultural Standard Model)”的灵感,在实际文化间的商业现场发生的事例,剧本执笔、演员交涉、拍摄、通过影像制作过程,以影像再现的事例为基础,活用为派遣海外派驻人员前的教育内容。以这样的实验尝试为基础,考察在异文化教育中再现影像的活用可能性和事例分析的方向。为此,在前半部分将介绍异文化教育的发展历史,并观察异文化教育的类型和范式的变化趋势。并考察事例重演的理论背景——决定性事件技法和文化同化者训练技法。接下来将分阶段观察以国内某企业的成员为对象制作的重演影像的准备过程,并从个人、组织、国家文化层次对影像中的事例进行分析。最后,以再现影像为基础的文化教育的可能性和局限性,以及国内预备驻在员文化教育项目的方向性。
A Study on an Intercultural Training Model Based on Reenactment Video: Focusing on Expatriate Training
해외주재원이나 장단기 파견 근무자와 같이 국제업무 활동에 노출되는 기업 실무자들에게 문화 간 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국내외 기업의 글로벌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과제이자 도전이다. 이 연구는 국내 모기업의 해외주재원 파견전 교육을 위해 만든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 실무자들을 위한 이문화 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번 사례 연구는 국내 모기업과 함께 ‘결정적 사건기법(Critical Incident Technique)’, ‘문화 동화자(Culture Assimilator)’, ‘문화표준 모델(Cultural Standard Model)’에 영감을 받아 실제 문화 간 비즈니스 현장에서 일어난 사례를 시나리오 집필, 배우섭외, 촬영, 영상 제작의 과정을 거쳐 영상으로 재연한 사례를 기반으로 해외주재원 파견 전 교육 콘텐츠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시도를 기반으로 이문화 교육에 있어 재연 영상의 활용 가능성과 사례분석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이문화 교육의 발전 역사를 소개하고, 이문화 교육의 유형과 패러다임 변화 흐름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례 재연의 이론적 배경인 결정적 사건기법과 문화 동화자 훈련기법을 고찰한다. 이어서 실제 국내 모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제작한 재연 영상의 준비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영상 속 사례에 대한 분석을 개인·조직·국가 문화적 층위에서 시도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연 영상 기반 이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국내 예비 주재원 이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언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