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为了讨论韩国的地区经济","authors":"Jong-Hwan Ko","doi":"10.18237/kdgw.2023.41.3.043","DOIUrl":null,"url":null,"abstract":"2022년 7월 5일 국무회의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안이 의결됨으로써 국무총리 소속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 근거”가 마련되었다. 부산 유치 여부는 2023년 11월 파리에서 개최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결정된다.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가 부산, 경남 그리고 전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만을 다루었는데 반해, 본 논문에서는 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가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은행이 2020년 7월 발표한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기반으로 지역간 산업연관 모형(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을 구축하여 우리나라 17개 광역시·도의 생산유발 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및 수입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 및 운영비용으로 부산광역시가 추계한 27조 6,467억 7,500만원에 45개국의 국가관 건립비용 5,791억 4,100만 원을 합하여 총 28조 2,258억 9,100만 원이 투입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그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생산유발효과의 경우, 전국적으로 50조 5,145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중 72.75%에 해당하는 36조 7,47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부산지역 경제에 발생하고 나머지 27.25%에 해당하는 13조 7,669억 원은 부산 이외 타 지역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 이외의 지역 중 특히 서울, 경기, 경남, 경북의 생산유발효과가 1조억 원 이상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면, 전국적으로 24조 540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중 77.17%에 해당하는 18조 5,633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부산지역 경제에 발생하고 나머지 22.83%에 해당하는 5조 4,907억 원은 부산 이외 다른 모든 지역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취업유발효과를 보면, 전국적으로 54만 3,038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중 부산의 취업유발효과는 44만 7,848명으로 전국의 82.47%가 부산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전국 취업유발효과의 17.53%에 해당하는 9만 5,190명은 부산 이외 지역에서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는 부산 지역경제는 물론 16개 모든 다른 광역지자체의 생산과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취업자 수를 늘려 우리나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83218,"journ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Die Auswirkungen der Ausrichtung der Weltausstellung 2030 in Busan auf die regionale Wirtschaft Koreas\",\"authors\":\"Jong-Hwan Ko\",\"doi\":\"10.18237/kdgw.2023.41.3.043\",\"DOIUrl\":null,\"url\":null,\"abstract\":\"2022년 7월 5일 국무회의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안이 의결됨으로써 국무총리 소속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 근거”가 마련되었다. 부산 유치 여부는 2023년 11월 파리에서 개최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결정된다.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가 부산, 경남 그리고 전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만을 다루었는데 반해, 본 논문에서는 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가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은행이 2020년 7월 발표한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기반으로 지역간 산업연관 모형(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을 구축하여 우리나라 17개 광역시·도의 생산유발 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및 수입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 및 운영비용으로 부산광역시가 추계한 27조 6,467억 7,500만원에 45개국의 국가관 건립비용 5,791억 4,100만 원을 합하여 총 28조 2,258억 9,100만 원이 투입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그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생산유발효과의 경우, 전국적으로 50조 5,145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중 72.75%에 해당하는 36조 7,47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부산지역 경제에 발생하고 나머지 27.25%에 해당하는 13조 7,669억 원은 부산 이외 타 지역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 이외의 지역 중 특히 서울, 경기, 경남, 경북의 생산유발효과가 1조억 원 이상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면, 전국적으로 24조 540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중 77.17%에 해당하는 18조 5,633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부산지역 경제에 발생하고 나머지 22.83%에 해당하는 5조 4,907억 원은 부산 이외 다른 모든 지역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취업유발효과를 보면, 전국적으로 54만 3,038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중 부산의 취업유발효과는 44만 7,848명으로 전국의 82.47%가 부산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전국 취업유발효과의 17.53%에 해당하는 9만 5,190명은 부산 이외 지역에서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는 부산 지역경제는 물론 16개 모든 다른 광역지자체의 생산과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취업자 수를 늘려 우리나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83218,\"journ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237/kdgw.2023.41.3.04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yeongsang noncong - Handog gyeongsang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237/kdgw.2023.41.3.04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Die Auswirkungen der Ausrichtung der Weltausstellung 2030 in Busan auf die regionale Wirtschaft Koreas
2022년 7월 5일 국무회의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안이 의결됨으로써 국무총리 소속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 근거”가 마련되었다. 부산 유치 여부는 2023년 11월 파리에서 개최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결정된다.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가 부산, 경남 그리고 전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만을 다루었는데 반해, 본 논문에서는 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가 우리나라 17개 광역지자체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은행이 2020년 7월 발표한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기반으로 지역간 산업연관 모형(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을 구축하여 우리나라 17개 광역시·도의 생산유발 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및 수입유발효과를 분석하였다. 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 및 운영비용으로 부산광역시가 추계한 27조 6,467억 7,500만원에 45개국의 국가관 건립비용 5,791억 4,100만 원을 합하여 총 28조 2,258억 9,100만 원이 투입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그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생산유발효과의 경우, 전국적으로 50조 5,145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중 72.75%에 해당하는 36조 7,47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부산지역 경제에 발생하고 나머지 27.25%에 해당하는 13조 7,669억 원은 부산 이외 타 지역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 이외의 지역 중 특히 서울, 경기, 경남, 경북의 생산유발효과가 1조억 원 이상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면, 전국적으로 24조 540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중 77.17%에 해당하는 18조 5,633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부산지역 경제에 발생하고 나머지 22.83%에 해당하는 5조 4,907억 원은 부산 이외 다른 모든 지역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취업유발효과를 보면, 전국적으로 54만 3,038명의 취업유발효과가 발생하는데, 이 중 부산의 취업유발효과는 44만 7,848명으로 전국의 82.47%가 부산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전국 취업유발효과의 17.53%에 해당하는 9만 5,190명은 부산 이외 지역에서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2030 월드엑스포 부산 유치는 부산 지역경제는 물론 16개 모든 다른 광역지자체의 생산과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취업자 수를 늘려 우리나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