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世纪20年代“贫困文学”的开创者,用“尴尬”美学来阅读——崔希海的小说理论

Oh Tae-ho
{"title":"20世纪20年代“贫困文学”的开创者,用“尴尬”美学来阅读——崔希海的小说理论","authors":"Oh Tae-ho","doi":"10.31313/lc.2023.09.89.303","DOIUrl":null,"url":null,"abstract":"남북한의 최서해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는 주로 「탈출기」 등의 초기 대표작품들을 중심으로 1920년대 중반(1924~26년)의 텍스트들의 미학적 특성을 거론하면서, 하층민들의 빈궁과 저항 담론을 중심으로 ‘신경향파 문학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대표 전형으로 고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가 보기에 최서해 문학의 정서적 본령의 기원에는 ‘부끄러움’이 자리한다. 일종의 ‘수치심’에 해당하는 이 ‘부끄러움’이 초기작부터 후기작에 이르는 정서의 과잉과 결핍을 관통한다고 판단된다. 등단작인 「고국」 이래로 장편소설 『호외시대』에 이르기까지 ‘부끄러움’의 상상력은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공포와 분노, 불안과 비애, 상실과 절망, 저항과 폭력, 살인과 파괴, 연애와 동정’ 등의 다양한 감정적 결과물의 파노라마를 연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BR ‘부끄러움’은 최서해 문학의 트레이드 마크다. 「고국」에서의 ‘패배자로서의 부끄러움’, 「탈출기」에서의 ‘양심의 부끄러움’, 「기아와 살육」에서의 ‘가족과 세상에 대한 부끄러움’ 등과 함께, 「전아사」에서는 기자 주인공이 ‘사치스런 연인’에 대해 확인하는 ‘경제적 부끄러움’, 「갈등」에서는 중산층 지식인이 가사도우미를 채용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하층민에 대한 중산층의 ‘위선적 부끄러움’, 「무명초」에서는 신문기자 생활에서 체감되는 ‘경제적 부끄러움’과 함께 ‘글쟁이로서의 부끄러움’, 장편소설 『호외시대』에서는 방종했던 부유층 자제가 개과천선하기 위해 존재론적 변이를 시도하는 반성적 존재로서의 ‘성찰적 부끄러움’ 등이 제시된다.BR 최서해 문학은 남북한 문학 연구의 공통분모로서 다양한 논의의 개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력한 해석의 대상이 된다. 무산계급의 문학에서 출발하여 소시민 지식인 문학으로 마무리된다는 점에서 일종의 문학적 변이를 진행한 점이 최서해 문학의 넓은 자장을 보여주는 지점일 수도 있다. 리얼리즘에서 모더니즘에 이르는 너른 스펙트럼 속에 최서해 문학은 남북한에서 그 해석의 다양성과 전체성을 넓혀갈 동력으로 자리매김되어야 하는 것이다.","PeriodicalId":486410,"journal":{"name":"Bipyeongmunhak (Print)","volume":"6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Pioneer of \\\"Poverty Literature\\\" in the 1920s, reading with the aesthetics of \\\"Embarrassment\\\"― Choi Seo-hae\\\"s Theory of Novels\",\"authors\":\"Oh Tae-ho\",\"doi\":\"10.31313/lc.2023.09.89.303\",\"DOIUrl\":null,\"url\":null,\"abstract\":\"남북한의 최서해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는 주로 「탈출기」 등의 초기 대표작품들을 중심으로 1920년대 중반(1924~26년)의 텍스트들의 미학적 특성을 거론하면서, 하층민들의 빈궁과 저항 담론을 중심으로 ‘신경향파 문학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대표 전형으로 고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가 보기에 최서해 문학의 정서적 본령의 기원에는 ‘부끄러움’이 자리한다. 일종의 ‘수치심’에 해당하는 이 ‘부끄러움’이 초기작부터 후기작에 이르는 정서의 과잉과 결핍을 관통한다고 판단된다. 등단작인 「고국」 이래로 장편소설 『호외시대』에 이르기까지 ‘부끄러움’의 상상력은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공포와 분노, 불안과 비애, 상실과 절망, 저항과 폭력, 살인과 파괴, 연애와 동정’ 등의 다양한 감정적 결과물의 파노라마를 연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BR ‘부끄러움’은 최서해 문학의 트레이드 마크다. 「고국」에서의 ‘패배자로서의 부끄러움’, 「탈출기」에서의 ‘양심의 부끄러움’, 「기아와 살육」에서의 ‘가족과 세상에 대한 부끄러움’ 등과 함께, 「전아사」에서는 기자 주인공이 ‘사치스런 연인’에 대해 확인하는 ‘경제적 부끄러움’, 「갈등」에서는 중산층 지식인이 가사도우미를 채용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하층민에 대한 중산층의 ‘위선적 부끄러움’, 「무명초」에서는 신문기자 생활에서 체감되는 ‘경제적 부끄러움’과 함께 ‘글쟁이로서의 부끄러움’, 장편소설 『호외시대』에서는 방종했던 부유층 자제가 개과천선하기 위해 존재론적 변이를 시도하는 반성적 존재로서의 ‘성찰적 부끄러움’ 등이 제시된다.BR 최서해 문학은 남북한 문학 연구의 공통분모로서 다양한 논의의 개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력한 해석의 대상이 된다. 무산계급의 문학에서 출발하여 소시민 지식인 문학으로 마무리된다는 점에서 일종의 문학적 변이를 진행한 점이 최서해 문학의 넓은 자장을 보여주는 지점일 수도 있다. 리얼리즘에서 모더니즘에 이르는 너른 스펙트럼 속에 최서해 문학은 남북한에서 그 해석의 다양성과 전체성을 넓혀갈 동력으로 자리매김되어야 하는 것이다.\",\"PeriodicalId\":486410,\"journal\":{\"name\":\"Bipyeongmunhak (Print)\",\"volume\":\"6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ipyeongmunhak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13/lc.2023.09.89.3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ipyeongmunhak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13/lc.2023.09.89.3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南北韩최서해对文学历史评价主要是《逃离》等的早期代表作品为中心,1920年代中期(1924 - 26年)的文本提到的美学的特点,同时,下层的贫穷和抵抗谈论为中心“신경향파文学和无产阶级文学”的代表正在典型高平可以确认。在笔者看来,崔瑞海文学情绪本质的起源是“羞耻”。据判断,相当于一种“羞耻心”的“羞耻”贯穿了从初期作品到后期作品的情绪过剩和缺乏。出版著作《故国》以来,长篇小说《号外务考试大》到《羞耻》的想象力是被以多种形式变奏“恐惧和愤怒、不安和悲哀,丧失和绝望,抵抗和暴力、杀人和破坏,恋爱和同情”等多种情感,结果导演的电视剧将把握产品的全景。BR“羞耻”是崔瑞海文学的标志。《故国》中的“作为失败者的羞耻,《摆脱》中的“良心的羞耻”,《饥饿和杀戮》中的“和家人对世界羞耻”等人一起,在《全饿死》记者确认对主人公“膏粱之恋人”的“经济羞耻”,《矛盾》中,中产阶级知识分子聘请保姆的过程中对外露的下层中产阶级的“伪善羞耻,《无名秒》新闻记者在生活中感受的“经济羞耻”和“文章打小报告的羞耻,长篇小说《号外务考试大》曾在放纵的富家子弟改邪归正为了试图存在论的变异的反省作为存在的“反省羞耻”等提示。BR崔瑞海文学作为南北韩文学研究的共同分母,可以改进多样的讨论,因此成为有力的解释对象。从无产阶级文学出发,以小市民知识分子文学结束这一点来看,进行了一种文学变异,这也可能是展现崔瑞海文学宽广磁场的地方。在从现实主义到现代主义的广阔范围内,崔瑞海文学应该成为在南北韩拓宽其解释的多样性和整体性的动力。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Pioneer of "Poverty Literature" in the 1920s, reading with the aesthetics of "Embarrassment"― Choi Seo-hae"s Theory of Novels
남북한의 최서해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는 주로 「탈출기」 등의 초기 대표작품들을 중심으로 1920년대 중반(1924~26년)의 텍스트들의 미학적 특성을 거론하면서, 하층민들의 빈궁과 저항 담론을 중심으로 ‘신경향파 문학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대표 전형으로 고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가 보기에 최서해 문학의 정서적 본령의 기원에는 ‘부끄러움’이 자리한다. 일종의 ‘수치심’에 해당하는 이 ‘부끄러움’이 초기작부터 후기작에 이르는 정서의 과잉과 결핍을 관통한다고 판단된다. 등단작인 「고국」 이래로 장편소설 『호외시대』에 이르기까지 ‘부끄러움’의 상상력은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공포와 분노, 불안과 비애, 상실과 절망, 저항과 폭력, 살인과 파괴, 연애와 동정’ 등의 다양한 감정적 결과물의 파노라마를 연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BR ‘부끄러움’은 최서해 문학의 트레이드 마크다. 「고국」에서의 ‘패배자로서의 부끄러움’, 「탈출기」에서의 ‘양심의 부끄러움’, 「기아와 살육」에서의 ‘가족과 세상에 대한 부끄러움’ 등과 함께, 「전아사」에서는 기자 주인공이 ‘사치스런 연인’에 대해 확인하는 ‘경제적 부끄러움’, 「갈등」에서는 중산층 지식인이 가사도우미를 채용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하층민에 대한 중산층의 ‘위선적 부끄러움’, 「무명초」에서는 신문기자 생활에서 체감되는 ‘경제적 부끄러움’과 함께 ‘글쟁이로서의 부끄러움’, 장편소설 『호외시대』에서는 방종했던 부유층 자제가 개과천선하기 위해 존재론적 변이를 시도하는 반성적 존재로서의 ‘성찰적 부끄러움’ 등이 제시된다.BR 최서해 문학은 남북한 문학 연구의 공통분모로서 다양한 논의의 개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력한 해석의 대상이 된다. 무산계급의 문학에서 출발하여 소시민 지식인 문학으로 마무리된다는 점에서 일종의 문학적 변이를 진행한 점이 최서해 문학의 넓은 자장을 보여주는 지점일 수도 있다. 리얼리즘에서 모더니즘에 이르는 너른 스펙트럼 속에 최서해 문학은 남북한에서 그 해석의 다양성과 전체성을 넓혀갈 동력으로 자리매김되어야 하는 것이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