畸形道诗的发火情况和复数主体“我们”的意思

Ha Jae-youn
{"title":"畸形道诗的发火情况和复数主体“我们”的意思","authors":"Ha Jae-youn","doi":"10.31313/lc.2023.09.89.33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인칭(대)명사 및 발화의 양상이 동반하는 시적 구조의 입체성과 확장성을 밝히고자 했다. 이어서 시적 주체가 희망을 발견하는 전환의 지점에서 호명되는 ‘우리’라는 복수 주체의 양상과 시적 의미를 살폈다. 이는 기형도 시의 미학을 성립시키는 형식적 특질이 갖는 의미를 밝힘과 동시에, 기형도 시의 세계관을 구성해내는 시적 방법론과 창작 방법론의 세부를 구체화하기 위한 시도이다.BR 기형도의 시들은 시 안에 불연속적인 발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단일한 방향성으로 이루어지는 서정적 자아의 독백적 구조를 거부한다. 기형도의 시에서 ‘그’와 ‘나’의 끊임없는 교차가 전개되는 시들의 형식적 구조는 시적 대상과 시적 주체의 완전한 구분과 분리를 불가능하게 만든다.BR 기형도의 시에서 한 인물이 다른 인물에게 말을 건네는 발화가 갑작스럽게 삽입되는 순간, 이 발화는 시적 언술의 연속적 흐름을 분할하고 인물/시적 주체의 경계를 뒤흔든다. 죽음/삶, 현실/꿈, 절망/희망, 그리고 주체/타자의 대립과 모순은, 흔들리는 불안의 발생에 의해 고착된 이분법을 넘어서게 되고 둘 사이의 경계는 무너진다.BR 기형도는 고통과 절망을 함께 겪는 슬픔의 공동체로서 ‘우리’를 호명하고 이를 통해 시적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낸다. 이는 연결과 유대를 단절하고 고립과 배제를 실현하는 현실의 질서에 대한 기형도의 미학적 대응이라 할 수 있다. 기형도가 발견한 희망은 ‘나’의 부정과 극복, 변증적 지양을 통해 ‘우리의 사랑’을 획득하는 것 즉, 현실의 ‘나’의 죽음을 바탕으로 ‘우리’의 삶을 발견하는 역설의 희망이었다.","PeriodicalId":486410,"journal":{"name":"Bipyeongmunhak (Print)","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기형도 시의 발화 전개 양상과 복수 주체 ‘우리’의 의미\",\"authors\":\"Ha Jae-youn\",\"doi\":\"10.31313/lc.2023.09.89.33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인칭(대)명사 및 발화의 양상이 동반하는 시적 구조의 입체성과 확장성을 밝히고자 했다. 이어서 시적 주체가 희망을 발견하는 전환의 지점에서 호명되는 ‘우리’라는 복수 주체의 양상과 시적 의미를 살폈다. 이는 기형도 시의 미학을 성립시키는 형식적 특질이 갖는 의미를 밝힘과 동시에, 기형도 시의 세계관을 구성해내는 시적 방법론과 창작 방법론의 세부를 구체화하기 위한 시도이다.BR 기형도의 시들은 시 안에 불연속적인 발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단일한 방향성으로 이루어지는 서정적 자아의 독백적 구조를 거부한다. 기형도의 시에서 ‘그’와 ‘나’의 끊임없는 교차가 전개되는 시들의 형식적 구조는 시적 대상과 시적 주체의 완전한 구분과 분리를 불가능하게 만든다.BR 기형도의 시에서 한 인물이 다른 인물에게 말을 건네는 발화가 갑작스럽게 삽입되는 순간, 이 발화는 시적 언술의 연속적 흐름을 분할하고 인물/시적 주체의 경계를 뒤흔든다. 죽음/삶, 현실/꿈, 절망/희망, 그리고 주체/타자의 대립과 모순은, 흔들리는 불안의 발생에 의해 고착된 이분법을 넘어서게 되고 둘 사이의 경계는 무너진다.BR 기형도는 고통과 절망을 함께 겪는 슬픔의 공동체로서 ‘우리’를 호명하고 이를 통해 시적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낸다. 이는 연결과 유대를 단절하고 고립과 배제를 실현하는 현실의 질서에 대한 기형도의 미학적 대응이라 할 수 있다. 기형도가 발견한 희망은 ‘나’의 부정과 극복, 변증적 지양을 통해 ‘우리의 사랑’을 획득하는 것 즉, 현실의 ‘나’의 죽음을 바탕으로 ‘우리’의 삶을 발견하는 역설의 희망이었다.\",\"PeriodicalId\":486410,\"journal\":{\"name\":\"Bipyeongmunhak (Print)\",\"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ipyeongmunhak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13/lc.2023.09.89.33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ipyeongmunhak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13/lc.2023.09.89.33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篇文章想阐明畸形图诗中出现的人称(大)名词及发火现象伴随的诗的结构的立体化和扩张性。接着观察了在诗的主体发现希望的转折点被点名的“我们”这一复数主体的面貌和诗的意义。这是为了阐明畸形道诗美学的形式特性所具有的意义,同时也是为了将构成畸形道诗世界观的诗的方法论和创作方法论的细节具体化的尝试。BR畸形图的诗在诗中形成不连续的发火结构,拒绝由单一的方向性组成的抒情自我的独白结构。畸形图的诗中“他”和“我”不断交叉的诗的形式结构使诗的对象和诗的主体无法完全区分和分离。在BR畸形图的诗中,一个人物与另一个人物搭话的发火突然被插入的瞬间,该发火分割了诗的话语的连续流向,动摇了人物/诗的主体的界限。死亡/人生、现实/梦想、绝望/希望以及主体/他人的对立和矛盾,将超越因动摇的不安而固定的二分法,两者之间的界限也将崩溃。BR畸形图是同时经历痛苦和绝望的悲伤共同体,叫“我们”,通过这个实现诗的认识的转换。这可以说是对切断连接和纽带,实现孤立和排斥的现实秩序的畸形道的美学对应。畸形道发现的希望是通过对“我”的否定和克服、辩证的扬弃,获得“我们的爱”,即以现实的“我”的死为基础,发现“我们”的人生的悖论的希望。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기형도 시의 발화 전개 양상과 복수 주체 ‘우리’의 의미
이 글은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인칭(대)명사 및 발화의 양상이 동반하는 시적 구조의 입체성과 확장성을 밝히고자 했다. 이어서 시적 주체가 희망을 발견하는 전환의 지점에서 호명되는 ‘우리’라는 복수 주체의 양상과 시적 의미를 살폈다. 이는 기형도 시의 미학을 성립시키는 형식적 특질이 갖는 의미를 밝힘과 동시에, 기형도 시의 세계관을 구성해내는 시적 방법론과 창작 방법론의 세부를 구체화하기 위한 시도이다.BR 기형도의 시들은 시 안에 불연속적인 발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단일한 방향성으로 이루어지는 서정적 자아의 독백적 구조를 거부한다. 기형도의 시에서 ‘그’와 ‘나’의 끊임없는 교차가 전개되는 시들의 형식적 구조는 시적 대상과 시적 주체의 완전한 구분과 분리를 불가능하게 만든다.BR 기형도의 시에서 한 인물이 다른 인물에게 말을 건네는 발화가 갑작스럽게 삽입되는 순간, 이 발화는 시적 언술의 연속적 흐름을 분할하고 인물/시적 주체의 경계를 뒤흔든다. 죽음/삶, 현실/꿈, 절망/희망, 그리고 주체/타자의 대립과 모순은, 흔들리는 불안의 발생에 의해 고착된 이분법을 넘어서게 되고 둘 사이의 경계는 무너진다.BR 기형도는 고통과 절망을 함께 겪는 슬픔의 공동체로서 ‘우리’를 호명하고 이를 통해 시적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낸다. 이는 연결과 유대를 단절하고 고립과 배제를 실현하는 현실의 질서에 대한 기형도의 미학적 대응이라 할 수 있다. 기형도가 발견한 희망은 ‘나’의 부정과 극복, 변증적 지양을 통해 ‘우리의 사랑’을 획득하는 것 즉, 현실의 ‘나’의 죽음을 바탕으로 ‘우리’의 삶을 발견하는 역설의 희망이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