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青年诗歌的审美呈现与审美目标","authors":"Moon Shin","doi":"10.31313/lc.2023.09.89.15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청소년시가 창작되고 있는 현재적 상황을 분석한 후, 청소년시의 미적 목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BR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난 청소년시는 주로 청소년의 삶을 청소년 화자를 통해 청소년에게 전달해왔다. 청소년시가 청소년 화자를 내세운 건 청소년 독자와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청소년시에 강조되고 있는 청소년 화자의 발화 특징을 두 가지로 요약하였다. 성장 지향의 정체성과 불확실성에 기반한 존재론적 가능성이다.BR 이러한 특징적 발화행위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이 논문은 청소년시의 세가지 미적 목표를 제시하였다. 세계 인식의 내용, 지도 원리의 적용, 자아정체성 형성이 그것이다. 미적 목표에 도달하게 되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면적 성장을 도모하고, 청소년이 기성세대와 융합할 수 있는 사회화에 기여하며, 경험 현상 이면에 감추어진 사태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게 해줄 것이다.","PeriodicalId":486410,"journal":{"name":"Bipyeongmunhak (Print)","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esthetic Present and Goals of Youth Poetry\",\"authors\":\"Moon Shin\",\"doi\":\"10.31313/lc.2023.09.89.15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청소년시가 창작되고 있는 현재적 상황을 분석한 후, 청소년시의 미적 목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BR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난 청소년시는 주로 청소년의 삶을 청소년 화자를 통해 청소년에게 전달해왔다. 청소년시가 청소년 화자를 내세운 건 청소년 독자와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청소년시에 강조되고 있는 청소년 화자의 발화 특징을 두 가지로 요약하였다. 성장 지향의 정체성과 불확실성에 기반한 존재론적 가능성이다.BR 이러한 특징적 발화행위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이 논문은 청소년시의 세가지 미적 목표를 제시하였다. 세계 인식의 내용, 지도 원리의 적용, 자아정체성 형성이 그것이다. 미적 목표에 도달하게 되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면적 성장을 도모하고, 청소년이 기성세대와 융합할 수 있는 사회화에 기여하며, 경험 현상 이면에 감추어진 사태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게 해줄 것이다.\",\"PeriodicalId\":486410,\"journal\":{\"name\":\"Bipyeongmunhak (Print)\",\"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ipyeongmunhak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13/lc.2023.09.89.1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ipyeongmunhak (Pri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13/lc.2023.09.89.1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이 논문은 청소년시가 창작되고 있는 현재적 상황을 분석한 후, 청소년시의 미적 목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BR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난 청소년시는 주로 청소년의 삶을 청소년 화자를 통해 청소년에게 전달해왔다. 청소년시가 청소년 화자를 내세운 건 청소년 독자와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청소년시에 강조되고 있는 청소년 화자의 발화 특징을 두 가지로 요약하였다. 성장 지향의 정체성과 불확실성에 기반한 존재론적 가능성이다.BR 이러한 특징적 발화행위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이 논문은 청소년시의 세가지 미적 목표를 제시하였다. 세계 인식의 내용, 지도 원리의 적용, 자아정체성 형성이 그것이다. 미적 목표에 도달하게 되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면적 성장을 도모하고, 청소년이 기성세대와 융합할 수 있는 사회화에 기여하며, 경험 현상 이면에 감추어진 사태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게 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