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yeop Kim, Jihye Lee, Eunjung Jun, Sung-Min Park
{"title":"千禧一代和Z一代婚姻和生育决定因素的实证研究:基于青年群体的性别比较分析","authors":"Sungyeop Kim, Jihye Lee, Eunjung Jun, Sung-Min Park","doi":"10.21888/kpaq.2023.9.35.3.28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성별 비교분석을 통하여 MZ세대의 결혼 이행 및 출산 결정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연구가 사회복지학 측면에서 패널데이터 분석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거나 인사행정학 측면에서 정책의 시사점과 성과 또는 만족 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단순히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정책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분석을 넘어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행정학적 • 정책적 측면에서 어떠한 함의가 있으며, 이를 위한 이론적 • 실무적 시사점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MZ세대의 결혼 및 출산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경제적, 사회적 요인과 사회구조적 요인들로 분류하여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프로빗 패널분석을 활용하였다. 이에 이론적 논의에서 보다 상세히 저출산 결혼 문제에 대한 각종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연구 질문을 제시하며, 패널데이터 분석을 통해 그 결과에 대한 기술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0-14차년도인 2016 ∼ 2020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MZ세대의 결혼과 출산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저출산 대책의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개인의 특성인 성별 변수를 구분지어 분석함으로써 남성과 여성이 결혼 이행 또는 출산 결정에 있어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그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끝으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들과 관련 이론적, 정책적 함의들을 제시하고 연구적 한계 등을 함께 논의하였다.","PeriodicalId":483222,"journal":{"name":"Han'gug haengjeong nonjib","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 Empirical Study on Marriage and Childbirth Determinants of Millennials and Gen Z: A Gender Comparative Analysis Using Youth Panel\",\"authors\":\"Sungyeop Kim, Jihye Lee, Eunjung Jun, Sung-Min Park\",\"doi\":\"10.21888/kpaq.2023.9.35.3.28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성별 비교분석을 통하여 MZ세대의 결혼 이행 및 출산 결정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연구가 사회복지학 측면에서 패널데이터 분석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거나 인사행정학 측면에서 정책의 시사점과 성과 또는 만족 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단순히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정책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분석을 넘어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행정학적 • 정책적 측면에서 어떠한 함의가 있으며, 이를 위한 이론적 • 실무적 시사점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MZ세대의 결혼 및 출산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경제적, 사회적 요인과 사회구조적 요인들로 분류하여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프로빗 패널분석을 활용하였다. 이에 이론적 논의에서 보다 상세히 저출산 결혼 문제에 대한 각종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연구 질문을 제시하며, 패널데이터 분석을 통해 그 결과에 대한 기술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0-14차년도인 2016 ∼ 2020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MZ세대의 결혼과 출산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저출산 대책의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개인의 특성인 성별 변수를 구분지어 분석함으로써 남성과 여성이 결혼 이행 또는 출산 결정에 있어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그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끝으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들과 관련 이론적, 정책적 함의들을 제시하고 연구적 한계 등을 함께 논의하였다.\",\"PeriodicalId\":483222,\"journal\":{\"name\":\"Han'gug haengjeong nonjib\",\"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haengjeong nonjib\",\"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88/kpaq.2023.9.35.3.2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haengjeong nonjib","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88/kpaq.2023.9.35.3.2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 Empirical Study on Marriage and Childbirth Determinants of Millennials and Gen Z: A Gender Comparative Analysis Using Youth Panel
본 연구는 성별 비교분석을 통하여 MZ세대의 결혼 이행 및 출산 결정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연구가 사회복지학 측면에서 패널데이터 분석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거나 인사행정학 측면에서 정책의 시사점과 성과 또는 만족 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단순히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정책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분석을 넘어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행정학적 • 정책적 측면에서 어떠한 함의가 있으며, 이를 위한 이론적 • 실무적 시사점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MZ세대의 결혼 및 출산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경제적, 사회적 요인과 사회구조적 요인들로 분류하여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프로빗 패널분석을 활용하였다. 이에 이론적 논의에서 보다 상세히 저출산 결혼 문제에 대한 각종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연구 질문을 제시하며, 패널데이터 분석을 통해 그 결과에 대한 기술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0-14차년도인 2016 ∼ 2020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MZ세대의 결혼과 출산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저출산 대책의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개인의 특성인 성별 변수를 구분지어 분석함으로써 남성과 여성이 결혼 이행 또는 출산 결정에 있어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그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끝으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들과 관련 이론적, 정책적 함의들을 제시하고 연구적 한계 등을 함께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