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公共服务动机对离职倾向的影响:基于服务型领导的调节作用","authors":"Su Kyoung Park, Kuk-Kyoung Moon","doi":"10.21888/kpaq.2023.9.35.3.229","DOIUrl":null,"url":null,"abstract":"공무원의 이직의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구성원의 이직은 조직에 경제적인 손실을 입히며, 조직의 안정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이직의도는 성과관리, 보상체계와 같은 조직 관리체계의 비효율을 일으켜, 공공기관의 병폐로 여겨지는 무사안일, 복지부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조직 적합성 이론을 토대로 공공기관과 같은 가치지향점을 가지는 개인의 공공봉사동기가 공무원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나아가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라 직원들의 내재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두 변수 간의 부(-)의 관계를 강화시킨다고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수집한 「공직생활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서열 로지스틱 회귀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봉사동기는 이직 의도를 낮추고, 서번트 리더십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구성원들이 공공봉사동기를 유지하고, 관리자들이 서번트 리더십를 함양하기 위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83222,"journal":{"name":"Han'gug haengjeong nonjib","volume":"9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ant Leadership\",\"authors\":\"Su Kyoung Park, Kuk-Kyoung Moon\",\"doi\":\"10.21888/kpaq.2023.9.35.3.229\",\"DOIUrl\":null,\"url\":null,\"abstract\":\"공무원의 이직의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구성원의 이직은 조직에 경제적인 손실을 입히며, 조직의 안정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이직의도는 성과관리, 보상체계와 같은 조직 관리체계의 비효율을 일으켜, 공공기관의 병폐로 여겨지는 무사안일, 복지부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조직 적합성 이론을 토대로 공공기관과 같은 가치지향점을 가지는 개인의 공공봉사동기가 공무원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나아가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라 직원들의 내재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두 변수 간의 부(-)의 관계를 강화시킨다고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수집한 「공직생활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서열 로지스틱 회귀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봉사동기는 이직 의도를 낮추고, 서번트 리더십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구성원들이 공공봉사동기를 유지하고, 관리자들이 서번트 리더십를 함양하기 위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483222,\"journal\":{\"name\":\"Han'gug haengjeong nonjib\",\"volume\":\"9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haengjeong nonjib\",\"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88/kpaq.2023.9.35.3.2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 haengjeong nonjib","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88/kpaq.2023.9.35.3.2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공무원의 이직의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구성원의 이직은 조직에 경제적인 손실을 입히며, 조직의 안정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이직의도는 성과관리, 보상체계와 같은 조직 관리체계의 비효율을 일으켜, 공공기관의 병폐로 여겨지는 무사안일, 복지부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조직 적합성 이론을 토대로 공공기관과 같은 가치지향점을 가지는 개인의 공공봉사동기가 공무원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나아가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라 직원들의 내재적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번트 리더십이 두 변수 간의 부(-)의 관계를 강화시킨다고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수집한 「공직생활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서열 로지스틱 회귀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봉사동기는 이직 의도를 낮추고, 서번트 리더십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구성원들이 공공봉사동기를 유지하고, 관리자들이 서번트 리더십를 함양하기 위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