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运用关键词网络分析法分析学生运动员相关研究趋势","authors":"Yu-Jeong Kang, Hyun-Jeong Oh, Byung-Joon Lee","doi":"10.47684/jcd.2023.09.25.5.64","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학생선수 관련 국내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자료수집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23년 3월까지 국내 등재지에 게재된 학생선수 관련 논문 912편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텍스톰과 유시넷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N-gram 분석,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기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학교운동부, 운동선수, 경기력, 진로, 지도자로 확인되었다. 이들 키워드는 중심성 분석 결과에서도 연결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매개 역할을 하는 주요 키워드임을 알 수 있었다. N-gram 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선수와 학교운동부가 결합하여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NCOR 분석 결과에서는 비슷한 특성을 가진 키워드를 중심으로 지도자, 학교운동부 정책, 운동수행능력, 진로라는 총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둘째, 시기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제1시기를 제외하고 제2, 3, 4시기에 가장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학교운동부, 운동선수, 진로, 경기력, 지도자임을 확인하였다. 시기별 연결 중심성의 경우 제1시기부터 제4시기까지 학교운동부와 지도자가 가장 영향력이 있는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의 경우 제1시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기에는 학교운동부와 경기력이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중개자 역할을 하는 주요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학생선수와 학교운동부, 학생선수와 지도자, 학생선수의 경기력과 진로 교육의 주제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되어야 할 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했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6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alysis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tudent-athlete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authors\":\"Yu-Jeong Kang, Hyun-Jeong Oh, Byung-Joon Lee\",\"doi\":\"10.47684/jcd.2023.09.25.5.64\",\"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학생선수 관련 국내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자료수집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23년 3월까지 국내 등재지에 게재된 학생선수 관련 논문 912편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텍스톰과 유시넷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N-gram 분석,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기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학교운동부, 운동선수, 경기력, 진로, 지도자로 확인되었다. 이들 키워드는 중심성 분석 결과에서도 연결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매개 역할을 하는 주요 키워드임을 알 수 있었다. N-gram 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선수와 학교운동부가 결합하여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NCOR 분석 결과에서는 비슷한 특성을 가진 키워드를 중심으로 지도자, 학교운동부 정책, 운동수행능력, 진로라는 총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둘째, 시기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제1시기를 제외하고 제2, 3, 4시기에 가장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학교운동부, 운동선수, 진로, 경기력, 지도자임을 확인하였다. 시기별 연결 중심성의 경우 제1시기부터 제4시기까지 학교운동부와 지도자가 가장 영향력이 있는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의 경우 제1시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기에는 학교운동부와 경기력이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중개자 역할을 하는 주요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학생선수와 학교운동부, 학생선수와 지도자, 학생선수의 경기력과 진로 교육의 주제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되어야 할 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했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6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6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6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alysis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tudent-athlete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학생선수 관련 국내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자료수집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23년 3월까지 국내 등재지에 게재된 학생선수 관련 논문 912편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텍스톰과 유시넷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N-gram 분석,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기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학교운동부, 운동선수, 경기력, 진로, 지도자로 확인되었다. 이들 키워드는 중심성 분석 결과에서도 연결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매개 역할을 하는 주요 키워드임을 알 수 있었다. N-gram 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선수와 학교운동부가 결합하여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NCOR 분석 결과에서는 비슷한 특성을 가진 키워드를 중심으로 지도자, 학교운동부 정책, 운동수행능력, 진로라는 총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둘째, 시기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제1시기를 제외하고 제2, 3, 4시기에 가장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학교운동부, 운동선수, 진로, 경기력, 지도자임을 확인하였다. 시기별 연결 중심성의 경우 제1시기부터 제4시기까지 학교운동부와 지도자가 가장 영향력이 있는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의 경우 제1시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기에는 학교운동부와 경기력이 다른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여 중개자 역할을 하는 주요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학생선수와 학교운동부, 학생선수와 지도자, 학생선수의 경기력과 진로 교육의 주제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되어야 할 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