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健身教练自我反思与工作满意度的关系:工作专长的中介作用","authors":"i-Kyung Lee, Jin-Young Han, So-Jung Kim","doi":"10.47684/jcd.2023.09.25.5.3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생활체육지도자의 자기성찰이 직무만족에 가는 경로에서 직업전문성의 매개 역할을 규명함으로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전국 생활체육지도자 240명(남자 95명, 여자 114명)을 대상으로 대면과 비대면(Google survey)을 활용하여 자기성찰, 직업전문성, 직무만족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Cronbach’ α 계수,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 타당도 분석, Pearson’s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성찰은 직업전문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전문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찰이 직무만족에 가는 경로에서 직업전문성을 완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성찰이 선행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자기성찰이 직업전문성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하였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Relationship between Fitness Instructors Self-Reflec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Job Expertise\",\"authors\":\"i-Kyung Lee, Jin-Young Han, So-Jung Kim\",\"doi\":\"10.47684/jcd.2023.09.25.5.3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생활체육지도자의 자기성찰이 직무만족에 가는 경로에서 직업전문성의 매개 역할을 규명함으로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전국 생활체육지도자 240명(남자 95명, 여자 114명)을 대상으로 대면과 비대면(Google survey)을 활용하여 자기성찰, 직업전문성, 직무만족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Cronbach’ α 계수,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 타당도 분석, Pearson’s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성찰은 직업전문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전문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찰이 직무만족에 가는 경로에서 직업전문성을 완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성찰이 선행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자기성찰이 직업전문성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하였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3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3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Relationship between Fitness Instructors Self-Reflec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Job Expertise
본 연구는 생활체육지도자의 자기성찰이 직무만족에 가는 경로에서 직업전문성의 매개 역할을 규명함으로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전국 생활체육지도자 240명(남자 95명, 여자 114명)을 대상으로 대면과 비대면(Google survey)을 활용하여 자기성찰, 직업전문성, 직무만족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Cronbach’ α 계수,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 타당도 분석, Pearson’s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성찰은 직업전문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전문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찰이 직무만족에 가는 경로에서 직업전문성을 완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성찰이 선행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자기성찰이 직업전문성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