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福利运动项目中老年妇女HbA1c与血脂的关系","authors":"Bong-Seok Oh","doi":"10.47684/jcd.2023.09.25.5.151","DOIUrl":null,"url":null,"abstract":"기대수명 연장 및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당뇨병 노인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여성들의 당화혈색소(HbA1c) 수준과 혈액 지질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운동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여성(74.54±5.14세) 384명을 HbA1c 수준에 기반하여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즉, HbA1c〈 5.7%를 비당뇨병 집단(NDG, n=178), HbA1c 5.7~6.4%를 당뇨병 전단계 집단(PDG, n=158), HbA1c≥6.5%를 당뇨병 집단(DG, n=48)으로 구분하였다. 혈액 지질지표는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non-HDL-C, TC/HDL-C, TG/HDL-C, non-HDL-C/TG 등 8개였다. 연구변인들의 집단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법(ANOVA)을 적용하였고,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종속변수(HbA1c)와 독립변수(8개 지질지표)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NDG가 DG보다 TC, LDL-C, non-HDL-C, non-HDL-C/T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C는 약 200mg/dL 수준이고 LDL-C는 130mg/dL보다 약간 낮은 수준에 있는 노인여성들이 비당뇨병(HbA1c〈 5.7%)인 양상을 보였다. NDG에서는 non-HDL-C/TG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non-HDL-C/TG 증가 시 HbA1c는 감소하는 관계성이 나타났다. PDG에서는 LDL-C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LDL-C 증가 시 HbA1c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G에서는 HDL-C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HDL-C 증가 시 HbA1c는 낮아지는 관계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인여성들의 경우 혈액 TC는 200mg/dL, LDL-C는 130mg/dL보다 약간 낮은 수준일 때 비당뇨병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HbA1c가 당뇨병 수준인 노인여성들의 경우 HDL-C를 높이는 운동 및 생활습관 중재는 HbA1c 수준을 낮추고 당뇨병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함께 노인의 TC 및 LDL-C가 어느 정도 수준에서 높고 낮을 때 때 당뇨병 등 만성질환 및 수명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를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Lipid Profiles in Elderly Women in Welfare Exercise Programs\",\"authors\":\"Bong-Seok Oh\",\"doi\":\"10.47684/jcd.2023.09.25.5.151\",\"DOIUrl\":null,\"url\":null,\"abstract\":\"기대수명 연장 및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당뇨병 노인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여성들의 당화혈색소(HbA1c) 수준과 혈액 지질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운동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여성(74.54±5.14세) 384명을 HbA1c 수준에 기반하여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즉, HbA1c〈 5.7%를 비당뇨병 집단(NDG, n=178), HbA1c 5.7~6.4%를 당뇨병 전단계 집단(PDG, n=158), HbA1c≥6.5%를 당뇨병 집단(DG, n=48)으로 구분하였다. 혈액 지질지표는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non-HDL-C, TC/HDL-C, TG/HDL-C, non-HDL-C/TG 등 8개였다. 연구변인들의 집단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법(ANOVA)을 적용하였고,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종속변수(HbA1c)와 독립변수(8개 지질지표)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NDG가 DG보다 TC, LDL-C, non-HDL-C, non-HDL-C/T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C는 약 200mg/dL 수준이고 LDL-C는 130mg/dL보다 약간 낮은 수준에 있는 노인여성들이 비당뇨병(HbA1c〈 5.7%)인 양상을 보였다. NDG에서는 non-HDL-C/TG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non-HDL-C/TG 증가 시 HbA1c는 감소하는 관계성이 나타났다. PDG에서는 LDL-C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LDL-C 증가 시 HbA1c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G에서는 HDL-C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HDL-C 증가 시 HbA1c는 낮아지는 관계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인여성들의 경우 혈액 TC는 200mg/dL, LDL-C는 130mg/dL보다 약간 낮은 수준일 때 비당뇨병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HbA1c가 당뇨병 수준인 노인여성들의 경우 HDL-C를 높이는 운동 및 생활습관 중재는 HbA1c 수준을 낮추고 당뇨병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함께 노인의 TC 및 LDL-C가 어느 정도 수준에서 높고 낮을 때 때 당뇨병 등 만성질환 및 수명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를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PeriodicalId\":500788,\"journ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ching neunglyeog gae'bal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7684/jcd.2023.09.25.5.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Relationship between HbA1c and Lipid Profiles in Elderly Women in Welfare Exercise Programs
기대수명 연장 및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당뇨병 노인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여성들의 당화혈색소(HbA1c) 수준과 혈액 지질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운동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여성(74.54±5.14세) 384명을 HbA1c 수준에 기반하여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즉, HbA1c〈 5.7%를 비당뇨병 집단(NDG, n=178), HbA1c 5.7~6.4%를 당뇨병 전단계 집단(PDG, n=158), HbA1c≥6.5%를 당뇨병 집단(DG, n=48)으로 구분하였다. 혈액 지질지표는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non-HDL-C, TC/HDL-C, TG/HDL-C, non-HDL-C/TG 등 8개였다. 연구변인들의 집단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법(ANOVA)을 적용하였고,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종속변수(HbA1c)와 독립변수(8개 지질지표)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NDG가 DG보다 TC, LDL-C, non-HDL-C, non-HDL-C/T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C는 약 200mg/dL 수준이고 LDL-C는 130mg/dL보다 약간 낮은 수준에 있는 노인여성들이 비당뇨병(HbA1c〈 5.7%)인 양상을 보였다. NDG에서는 non-HDL-C/TG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non-HDL-C/TG 증가 시 HbA1c는 감소하는 관계성이 나타났다. PDG에서는 LDL-C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LDL-C 증가 시 HbA1c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G에서는 HDL-C가 HbA1c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HDL-C 증가 시 HbA1c는 낮아지는 관계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인여성들의 경우 혈액 TC는 200mg/dL, LDL-C는 130mg/dL보다 약간 낮은 수준일 때 비당뇨병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HbA1c가 당뇨병 수준인 노인여성들의 경우 HDL-C를 높이는 운동 및 생활습관 중재는 HbA1c 수준을 낮추고 당뇨병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함께 노인의 TC 및 LDL-C가 어느 정도 수준에서 높고 낮을 때 때 당뇨병 등 만성질환 및 수명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를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