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无形自然物的视觉表现要素研究——以《冰雪奇缘2》中大风之魂为例","authors":"Kyung-Eun Lee, Hyoun-Sun Moon","doi":"10.51467/asko.2023.09.19.3.284","DOIUrl":null,"url":null,"abstract":"2019년 개봉한 〈겨울왕국 2〉 바람의 정령 ‘게일’은 무형의 자연물인 바람을 의인화한 캐릭터다. 바람은 주로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움직임을 통해 배경적인 요소로 표현되어 왔다. 그러나 ‘게일’은 다른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독립적 개체로서 의인화와 시각적 재현에 성공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형의 자연물에 대한 효과적인 시각적 재현 방식을 파악하고자 ‘게일’의 캐릭터라이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바람의 물리적 특성과 애니메이션의 의인화 특성을 살피고 주요 요소를 추출한 뒤, ‘게일’이 등장하는 장면의 시각적 재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주변의 환경 요소들을 활용하여 형태가 없는 바람의 자유롭고 불규칙한 움직임을 시각화함으로써 그 움직임 자체를 ‘게일’의 존재로 명확히 인식시켰다. 둘째, ‘게일’의 색채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그 상징 의미와 캐릭터의 감정 표현을 결합하여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장면의 분위기를 주도할 수 있도록 했다. 셋째, 바람의 빠르거나 느린 속도감을 활용해 스토리의 전개와 전달력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캐릭터의 움직임, 즉 속도에 의한 형태 변화가 시각적 재미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재미 요소임을 시사한다. 넷째, 주변 캐릭터의 움직임을 통해 무형의 캐릭터인 게일의 존재감이 부각되었다. 다섯째, 상호작용하는 상대 캐릭터의 표정과 대사를 통해 ‘게일’의 감정과 의도를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게일’의 속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 캐릭터의 움직임을 통해 ‘게일’의 성격을 시각적으로 재현해 냈다. 이처럼 ‘게일’의 시각적 재현은 무형의 자연물이 개성 있는 캐릭터로 변모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성공적인 캐릭터라이징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Elements of an Intangible Natural Object : Focusing on the Spirit of Wind, Gale, in 〈Frozen 2〉\",\"authors\":\"Kyung-Eun Lee, Hyoun-Sun Moon\",\"doi\":\"10.51467/asko.2023.09.19.3.284\",\"DOIUrl\":null,\"url\":null,\"abstract\":\"2019년 개봉한 〈겨울왕국 2〉 바람의 정령 ‘게일’은 무형의 자연물인 바람을 의인화한 캐릭터다. 바람은 주로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움직임을 통해 배경적인 요소로 표현되어 왔다. 그러나 ‘게일’은 다른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독립적 개체로서 의인화와 시각적 재현에 성공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형의 자연물에 대한 효과적인 시각적 재현 방식을 파악하고자 ‘게일’의 캐릭터라이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바람의 물리적 특성과 애니메이션의 의인화 특성을 살피고 주요 요소를 추출한 뒤, ‘게일’이 등장하는 장면의 시각적 재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주변의 환경 요소들을 활용하여 형태가 없는 바람의 자유롭고 불규칙한 움직임을 시각화함으로써 그 움직임 자체를 ‘게일’의 존재로 명확히 인식시켰다. 둘째, ‘게일’의 색채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그 상징 의미와 캐릭터의 감정 표현을 결합하여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장면의 분위기를 주도할 수 있도록 했다. 셋째, 바람의 빠르거나 느린 속도감을 활용해 스토리의 전개와 전달력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캐릭터의 움직임, 즉 속도에 의한 형태 변화가 시각적 재미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재미 요소임을 시사한다. 넷째, 주변 캐릭터의 움직임을 통해 무형의 캐릭터인 게일의 존재감이 부각되었다. 다섯째, 상호작용하는 상대 캐릭터의 표정과 대사를 통해 ‘게일’의 감정과 의도를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게일’의 속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 캐릭터의 움직임을 통해 ‘게일’의 성격을 시각적으로 재현해 냈다. 이처럼 ‘게일’의 시각적 재현은 무형의 자연물이 개성 있는 캐릭터로 변모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성공적인 캐릭터라이징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e'ni'meisyeon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28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e'ni'meisyeon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28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Elements of an Intangible Natural Object : Focusing on the Spirit of Wind, Gale, in 〈Frozen 2〉
2019년 개봉한 〈겨울왕국 2〉 바람의 정령 ‘게일’은 무형의 자연물인 바람을 의인화한 캐릭터다. 바람은 주로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움직임을 통해 배경적인 요소로 표현되어 왔다. 그러나 ‘게일’은 다른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독립적 개체로서 의인화와 시각적 재현에 성공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형의 자연물에 대한 효과적인 시각적 재현 방식을 파악하고자 ‘게일’의 캐릭터라이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바람의 물리적 특성과 애니메이션의 의인화 특성을 살피고 주요 요소를 추출한 뒤, ‘게일’이 등장하는 장면의 시각적 재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주변의 환경 요소들을 활용하여 형태가 없는 바람의 자유롭고 불규칙한 움직임을 시각화함으로써 그 움직임 자체를 ‘게일’의 존재로 명확히 인식시켰다. 둘째, ‘게일’의 색채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그 상징 의미와 캐릭터의 감정 표현을 결합하여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장면의 분위기를 주도할 수 있도록 했다. 셋째, 바람의 빠르거나 느린 속도감을 활용해 스토리의 전개와 전달력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캐릭터의 움직임, 즉 속도에 의한 형태 변화가 시각적 재미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재미 요소임을 시사한다. 넷째, 주변 캐릭터의 움직임을 통해 무형의 캐릭터인 게일의 존재감이 부각되었다. 다섯째, 상호작용하는 상대 캐릭터의 표정과 대사를 통해 ‘게일’의 감정과 의도를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게일’의 속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 캐릭터의 움직임을 통해 ‘게일’의 성격을 시각적으로 재현해 냈다. 이처럼 ‘게일’의 시각적 재현은 무형의 자연물이 개성 있는 캐릭터로 변모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성공적인 캐릭터라이징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