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OTT平台的动画内容战略演进研究","authors":"Yuhee Ryu","doi":"10.51467/asko.2023.09.19.3.9","DOIUrl":null,"url":null,"abstract":"2020년 시작된 팬데믹으로 인해 콘텐츠 소비 양상에 많은 변화가 생겼으며, 영상 콘텐츠 산업에서 OTT가 매우 빠르게 발전했다. 온라인 중심의 문화생활이 본격화되며 OTT는 집콕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으며, 양적 팽창이 빠르게 이루어졌다. OTT의 발전 속에서 교육적 기능과 여가적 기능을 함께 갖춘 키즈 콘텐츠가 더욱 성장하며 애니메이션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해외의 많은 OTT 플랫폼들도 모두 애니메이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의 비중을 점차 높여 가고 있다. 국내 키즈 콘텐츠에 대한 뜨거운 해외 반응으로 글로벌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새로운 키즈 채널이 만들어지는 등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플랫폼은 이들을 대상으로 트렌드를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하며 전략적인 접근을 고민하고 있다. 키즈를 제외한 국산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OTT들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에 관심을 표하며 다수의 작품들이 제작되고 있다. 여기에 이미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던 웹툰 IP가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등 애니메이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TT 플랫폼과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관계성을 인식하고, 국내 OTT 및 콘텐츠의 현황과 흐름을 분석하고,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발전을 위한 전략적 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3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Strategic Evolution of Animation Content Based on OTT Platform\",\"authors\":\"Yuhee Ryu\",\"doi\":\"10.51467/asko.2023.09.19.3.9\",\"DOIUrl\":null,\"url\":null,\"abstract\":\"2020년 시작된 팬데믹으로 인해 콘텐츠 소비 양상에 많은 변화가 생겼으며, 영상 콘텐츠 산업에서 OTT가 매우 빠르게 발전했다. 온라인 중심의 문화생활이 본격화되며 OTT는 집콕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으며, 양적 팽창이 빠르게 이루어졌다. OTT의 발전 속에서 교육적 기능과 여가적 기능을 함께 갖춘 키즈 콘텐츠가 더욱 성장하며 애니메이션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해외의 많은 OTT 플랫폼들도 모두 애니메이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의 비중을 점차 높여 가고 있다. 국내 키즈 콘텐츠에 대한 뜨거운 해외 반응으로 글로벌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새로운 키즈 채널이 만들어지는 등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플랫폼은 이들을 대상으로 트렌드를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하며 전략적인 접근을 고민하고 있다. 키즈를 제외한 국산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OTT들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에 관심을 표하며 다수의 작품들이 제작되고 있다. 여기에 이미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던 웹툰 IP가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등 애니메이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TT 플랫폼과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관계성을 인식하고, 국내 OTT 및 콘텐츠의 현황과 흐름을 분석하고,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발전을 위한 전략적 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PeriodicalId\":490769,\"journal\":{\"name\":\"Ae'ni'meisyeon yeon'gu\",\"volume\":\"3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e'ni'meisyeon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e'ni'meisyeon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467/asko.2023.09.19.3.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Strategic Evolution of Animation Content Based on OTT Platform
2020년 시작된 팬데믹으로 인해 콘텐츠 소비 양상에 많은 변화가 생겼으며, 영상 콘텐츠 산업에서 OTT가 매우 빠르게 발전했다. 온라인 중심의 문화생활이 본격화되며 OTT는 집콕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으며, 양적 팽창이 빠르게 이루어졌다. OTT의 발전 속에서 교육적 기능과 여가적 기능을 함께 갖춘 키즈 콘텐츠가 더욱 성장하며 애니메이션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해외의 많은 OTT 플랫폼들도 모두 애니메이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의 비중을 점차 높여 가고 있다. 국내 키즈 콘텐츠에 대한 뜨거운 해외 반응으로 글로벌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새로운 키즈 채널이 만들어지는 등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플랫폼은 이들을 대상으로 트렌드를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하며 전략적인 접근을 고민하고 있다. 키즈를 제외한 국산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OTT들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에 관심을 표하며 다수의 작품들이 제작되고 있다. 여기에 이미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던 웹툰 IP가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등 애니메이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TT 플랫폼과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관계성을 인식하고, 국내 OTT 및 콘텐츠의 현황과 흐름을 분석하고,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발전을 위한 전략적 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