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基于语料库的英语同义动词比较研究","authors":"Mi-young Kim","doi":"10.33252/sih.2023.9.78.20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영어 비모국어 사용자가 ‘contain’과 ‘include’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분하는데 있어 겪는 어려움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 통시영어 코퍼스(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 COHA)와 미국 현대영어 코퍼스(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를 활용하고, 아울러 의미범주 분석도구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Rayson(2005)의 Wmatrix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특히 약 5억 어절로 구성된 COHA는 1810년부터 2010년까지 거의 200년간에 걸친 ‘contain’과 ‘include’에 대한 통시적인 사용추이를 밝히는데 사용하였다. 그리고 총 8개의 장르로 구축된 10억 어절의 COCA는 ‘contain’과 ‘include’에서 사용빈도 상위 100위의 명사연어들을 추출한 후, 이를 Wmatrix 프로그램의 의미범주 분석에 활용하였다.BR 이런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contain’과 ‘include’에 대한 COHA의 분석결과를 통해 두 어휘가 1910년대를 기점으로 서로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그들의 사용 추세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힌다. 또한 명사연어에 대한 Wmatrix 프로그램의 분석결과를 보면 ‘contain’과 ‘include’ 모두 일부 의미범주들에 속하는 명사연어들과는 강력한 연어 관계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유사점을 보였다. 하지만 다른 일부 의미범주들에 속하는 명사연어들과는 독점적인 연어관계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차이점을 보였다. 이는 사전적 정의보다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을 통해 두 유의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이 향후 다양한 유의어에 대한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Corpus-based Comparative Study on English Synonymous Verbs\",\"authors\":\"Mi-young Kim\",\"doi\":\"10.33252/sih.2023.9.78.20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영어 비모국어 사용자가 ‘contain’과 ‘include’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분하는데 있어 겪는 어려움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 통시영어 코퍼스(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 COHA)와 미국 현대영어 코퍼스(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를 활용하고, 아울러 의미범주 분석도구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Rayson(2005)의 Wmatrix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특히 약 5억 어절로 구성된 COHA는 1810년부터 2010년까지 거의 200년간에 걸친 ‘contain’과 ‘include’에 대한 통시적인 사용추이를 밝히는데 사용하였다. 그리고 총 8개의 장르로 구축된 10억 어절의 COCA는 ‘contain’과 ‘include’에서 사용빈도 상위 100위의 명사연어들을 추출한 후, 이를 Wmatrix 프로그램의 의미범주 분석에 활용하였다.BR 이런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contain’과 ‘include’에 대한 COHA의 분석결과를 통해 두 어휘가 1910년대를 기점으로 서로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그들의 사용 추세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힌다. 또한 명사연어에 대한 Wmatrix 프로그램의 분석결과를 보면 ‘contain’과 ‘include’ 모두 일부 의미범주들에 속하는 명사연어들과는 강력한 연어 관계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유사점을 보였다. 하지만 다른 일부 의미범주들에 속하는 명사연어들과는 독점적인 연어관계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차이점을 보였다. 이는 사전적 정의보다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을 통해 두 유의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이 향후 다양한 유의어에 대한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2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2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试图揭示英语非母语使用者在区分“contain”和“include”的相似点和不同点时所经历的困难。为此,本研究使用了美国通时英语语病(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 COHA)和美国现代英语语病(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并使用了作为语义范畴分析工具广泛使用的Rayson(2005)的Wmatrix程序。COHA由约5亿词节组成,在1810年至2010年的近200年时间里,COHA被用来揭示“contain”和“include”的通时使用趋势。COCA共由8个类型组成,从“contain”和“include”中提取了使用频率排在前100位的名词条,并将此应用于Wmatrix程序的语义范畴分析。BR由这一系列过程组成的本研究的分析结果如下。首先,COHA对“contain”和“include”的分析结果表明,这两个词汇以1910年为起点,呈现出截然相反的面貌,这表明他们在使用趋势上存在差异。另外,Wmatrix程序对名词大马哈鱼的分析结果显示,“contain”和“include”都与属于一些语义范畴的名词大马哈鱼形成了强有力的大马哈鱼关系,表现出使用上的相似之处。但是与其他一些语义范畴的名词大马哈鱼形成了垄断性的大马哈鱼关系,在使用上有所差异。比起词典上的定义,通过本研究中使用的分析方法可以具体阐明两个同义词之间的相似点和不同点,从这一点来看,具有研究的意义。因此,本研究中使用的分析方法今后有望应用于对多种同义词的分析。
A Corpus-based Comparative Study on English Synonymous Verbs
본 연구는 영어 비모국어 사용자가 ‘contain’과 ‘include’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분하는데 있어 겪는 어려움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 통시영어 코퍼스(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 COHA)와 미국 현대영어 코퍼스(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를 활용하고, 아울러 의미범주 분석도구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Rayson(2005)의 Wmatrix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특히 약 5억 어절로 구성된 COHA는 1810년부터 2010년까지 거의 200년간에 걸친 ‘contain’과 ‘include’에 대한 통시적인 사용추이를 밝히는데 사용하였다. 그리고 총 8개의 장르로 구축된 10억 어절의 COCA는 ‘contain’과 ‘include’에서 사용빈도 상위 100위의 명사연어들을 추출한 후, 이를 Wmatrix 프로그램의 의미범주 분석에 활용하였다.BR 이런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contain’과 ‘include’에 대한 COHA의 분석결과를 통해 두 어휘가 1910년대를 기점으로 서로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그들의 사용 추세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힌다. 또한 명사연어에 대한 Wmatrix 프로그램의 분석결과를 보면 ‘contain’과 ‘include’ 모두 일부 의미범주들에 속하는 명사연어들과는 강력한 연어 관계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유사점을 보였다. 하지만 다른 일부 의미범주들에 속하는 명사연어들과는 독점적인 연어관계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차이점을 보였다. 이는 사전적 정의보다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을 통해 두 유의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방법이 향후 다양한 유의어에 대한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