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赫斯顿《他们的眼睛在看上帝》中的情感与性别等级","authors":"Jong-jin Noh","doi":"10.33252/sih.2023.9.78.5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미국의 흑인여성작가 조라 닐 허스톤의 소설 『그들의 눈은 신을 바라보고 있었다』에 나타난 작중인물들의 정동적 반응에 초점을 맞춘다. 흑인사회 내부의 위계적인 젠더의식과 성차별은 노예제도 시대부터 관습화되고 고착화되어 있으며, 계층과 피부색의 채도와도 밀접히 연동되어 작동된다. 논문은 작중 인물들의 체화된 젠더의식이 남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사건이나 에피소드에서 서로에게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가 하는 양상을 추적한다. 그 과정에서 허스톤이 재현하는 서사의 궁극적인 의도 중 하나는 흑인사회의 젠더위계의 불균형과 불편한 현실을 비판하고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BR 허스톤은 할렘르네상스 시대에 주목받는 여성작가로 부상하였으나, 이 소설로 인해 오히려 흑인사회 내부의 치부를 드러내고 인종문제에 대한 진지함이 부족하다는 혹평을 받으며 흑인문단에서 소외되고 잊혀진 작가였다. 그러나 60년대에 허스톤은 흑인민속과 언어의 유산을 소설에 구현하려 했던 노력이 재평가되고 가치를 인정받았다. 그녀는 또한 이후에 등장하는 흑인여성문학의 부흥에 여성작가가 추구해야 할 문학적 전범을 보이며 중추적인 역할을 한것으로 주목받았다. 허스톤의 문학은 흑인내부사회의 고질적인 젠더와 계층의 문제를 정면에서 도전하며 변화를 모색한 점에서 큰 성취를 이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허스톤은 젠더문제의 불균형과 차별은 여성의 목소리 내기와 자아실현을 획득함으로써 상당히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논문은 소설의 작중인물의 다양한 감정들이 감응하는 양태를 살펴보고 인물들의 젠더의식의 변화를 확인하고 흑인공동체의 인식의 변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ffect and Gender Hierarchy in Hurston’s Their Eyes Were Watching God\",\"authors\":\"Jong-jin Noh\",\"doi\":\"10.33252/sih.2023.9.78.5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미국의 흑인여성작가 조라 닐 허스톤의 소설 『그들의 눈은 신을 바라보고 있었다』에 나타난 작중인물들의 정동적 반응에 초점을 맞춘다. 흑인사회 내부의 위계적인 젠더의식과 성차별은 노예제도 시대부터 관습화되고 고착화되어 있으며, 계층과 피부색의 채도와도 밀접히 연동되어 작동된다. 논문은 작중 인물들의 체화된 젠더의식이 남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사건이나 에피소드에서 서로에게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가 하는 양상을 추적한다. 그 과정에서 허스톤이 재현하는 서사의 궁극적인 의도 중 하나는 흑인사회의 젠더위계의 불균형과 불편한 현실을 비판하고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BR 허스톤은 할렘르네상스 시대에 주목받는 여성작가로 부상하였으나, 이 소설로 인해 오히려 흑인사회 내부의 치부를 드러내고 인종문제에 대한 진지함이 부족하다는 혹평을 받으며 흑인문단에서 소외되고 잊혀진 작가였다. 그러나 60년대에 허스톤은 흑인민속과 언어의 유산을 소설에 구현하려 했던 노력이 재평가되고 가치를 인정받았다. 그녀는 또한 이후에 등장하는 흑인여성문학의 부흥에 여성작가가 추구해야 할 문학적 전범을 보이며 중추적인 역할을 한것으로 주목받았다. 허스톤의 문학은 흑인내부사회의 고질적인 젠더와 계층의 문제를 정면에서 도전하며 변화를 모색한 점에서 큰 성취를 이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허스톤은 젠더문제의 불균형과 차별은 여성의 목소리 내기와 자아실현을 획득함으로써 상당히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논문은 소설의 작중인물의 다양한 감정들이 감응하는 양태를 살펴보고 인물들의 젠더의식의 변화를 확인하고 흑인공동체의 인식의 변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ffect and Gender Hierarchy in Hurston’s Their Eyes Were Watching God
본 논문은 미국의 흑인여성작가 조라 닐 허스톤의 소설 『그들의 눈은 신을 바라보고 있었다』에 나타난 작중인물들의 정동적 반응에 초점을 맞춘다. 흑인사회 내부의 위계적인 젠더의식과 성차별은 노예제도 시대부터 관습화되고 고착화되어 있으며, 계층과 피부색의 채도와도 밀접히 연동되어 작동된다. 논문은 작중 인물들의 체화된 젠더의식이 남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사건이나 에피소드에서 서로에게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가 하는 양상을 추적한다. 그 과정에서 허스톤이 재현하는 서사의 궁극적인 의도 중 하나는 흑인사회의 젠더위계의 불균형과 불편한 현실을 비판하고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BR 허스톤은 할렘르네상스 시대에 주목받는 여성작가로 부상하였으나, 이 소설로 인해 오히려 흑인사회 내부의 치부를 드러내고 인종문제에 대한 진지함이 부족하다는 혹평을 받으며 흑인문단에서 소외되고 잊혀진 작가였다. 그러나 60년대에 허스톤은 흑인민속과 언어의 유산을 소설에 구현하려 했던 노력이 재평가되고 가치를 인정받았다. 그녀는 또한 이후에 등장하는 흑인여성문학의 부흥에 여성작가가 추구해야 할 문학적 전범을 보이며 중추적인 역할을 한것으로 주목받았다. 허스톤의 문학은 흑인내부사회의 고질적인 젠더와 계층의 문제를 정면에서 도전하며 변화를 모색한 점에서 큰 성취를 이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허스톤은 젠더문제의 불균형과 차별은 여성의 목소리 내기와 자아실현을 획득함으로써 상당히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논문은 소설의 작중인물의 다양한 감정들이 감응하는 양태를 살펴보고 인물들의 젠더의식의 변화를 확인하고 흑인공동체의 인식의 변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