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Or What结构的句法和语用分析","authors":"Sae-youn Cho, Han-gyu Lee","doi":"10.33252/sih.2023.9.78.251","DOIUrl":null,"url":null,"abstract":"영어 or what 구문은 예문 “Do you love this weather or what?”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네-아니오 의문문 + or what〕 형태를 취하는 구문으로서 주로 담화체에서 나타나며, 대략 1700년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COCA 및 COHA 등의 다양한 코퍼스 데이터를 토대로 일반적인 영어 문법규칙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or what 구문의 분포 및 의미/화용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당 구문의 통사적 분포 특성이 의미 화용 정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석법으로서의 이동-탈락 규칙을 수반하는 변형문법 장치를 채택하는 도출분석들은 코퍼스 데이터에서 관찰된 or what이 보여주는 특이한 구문 특성을 설명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통사부와 의미/화용부 정보의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구문기반 문법을 채택하여 당면 과제인 영어의 or what 구문이 가지는 통사-화용특성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저생성 접근법은 변형문법 접근법이 논란의 여지가 많은 입력부를 고려하는 것과는 달리 해당 구문을 위해 간단한 설명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4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yntactic and Pragmatic Account of the Or What Construction\",\"authors\":\"Sae-youn Cho, Han-gyu Lee\",\"doi\":\"10.33252/sih.2023.9.78.251\",\"DOIUrl\":null,\"url\":null,\"abstract\":\"영어 or what 구문은 예문 “Do you love this weather or what?”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네-아니오 의문문 + or what〕 형태를 취하는 구문으로서 주로 담화체에서 나타나며, 대략 1700년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COCA 및 COHA 등의 다양한 코퍼스 데이터를 토대로 일반적인 영어 문법규칙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or what 구문의 분포 및 의미/화용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당 구문의 통사적 분포 특성이 의미 화용 정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석법으로서의 이동-탈락 규칙을 수반하는 변형문법 장치를 채택하는 도출분석들은 코퍼스 데이터에서 관찰된 or what이 보여주는 특이한 구문 특성을 설명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통사부와 의미/화용부 정보의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구문기반 문법을 채택하여 당면 과제인 영어의 or what 구문이 가지는 통사-화용특성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저생성 접근법은 변형문법 접근법이 논란의 여지가 많은 입력부를 고려하는 것과는 달리 해당 구문을 위해 간단한 설명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4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2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2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Do you love this weather or what?”“如你所见,疑问句+ or what形式的句子主要出现在谈话体中,大约1700年开始使用。本论文以COCA及COHA等多种语体数据为基础,记述了用普通英语语法规则很难说明的or what语法的分布及意义/和用的特性。在此过程中,发现该句文的通史分布特性与语义化用信息密切相关。但是,作为解释这一特性的分析法,采用伴随移动-淘汰规则的变形语法装置的导出分析在说明从语料库数据中观察到的or what所显示的特殊句文特性时,会面临很多困难。为了克服这样的难关,本论文采用允许通史部和意义/和容部信息相互作用的以句文为基础的语法,提出综合说明当前课题英语的or what句具有的通史-和容特性的分析。这种基底生成接近法表明,与变形语法接近法考虑到有争议的输入部分不同,可以为该语法提供简单的说明。
A Syntactic and Pragmatic Account of the Or What Construction
영어 or what 구문은 예문 “Do you love this weather or what?”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네-아니오 의문문 + or what〕 형태를 취하는 구문으로서 주로 담화체에서 나타나며, 대략 1700년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COCA 및 COHA 등의 다양한 코퍼스 데이터를 토대로 일반적인 영어 문법규칙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or what 구문의 분포 및 의미/화용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당 구문의 통사적 분포 특성이 의미 화용 정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석법으로서의 이동-탈락 규칙을 수반하는 변형문법 장치를 채택하는 도출분석들은 코퍼스 데이터에서 관찰된 or what이 보여주는 특이한 구문 특성을 설명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통사부와 의미/화용부 정보의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구문기반 문법을 채택하여 당면 과제인 영어의 or what 구문이 가지는 통사-화용특성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저생성 접근법은 변형문법 접근법이 논란의 여지가 많은 입력부를 고려하는 것과는 달리 해당 구문을 위해 간단한 설명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