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政教关系变迁研究——以韩国新教为例","authors":"Seijoon Park","doi":"10.46639/kjds.2023.67.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 해방 이후 현재까지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 시기 때, 신천지와 사랑제일교회 교인들을 포함한 개신교인들과 개신교 교회의 행동을 통해 한국에서 국가와 종교의 관계 변화를 살펴봐야할 필요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내용은 종교와 국가 관계이론을 통해 한국 상황을 설명 가능한 부분과 가능하지 않은 부분을 짚은 것이다. 이는 종교와 국가, 종교와 정치, 종교와 정부 관계를 설명하는 설득력 높은 이론들로는 한국의 종교와 국가 관계에서는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난 후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 협력과 갈등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국가는 최근들어 종교뿐만 아니라 많은 사회 영역에 개입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의 역할 증대와 종교의 기능 확장이 만날 때 갈등과 협력이 일어난다. 이때 개신교는 무조건 “종교의 자유” 프레임으로 맞선다. 국가의 정당성이 약할 때, 국가는 종교지도자 집단을 지배구조 안으로 편입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한국의 개신교 지도자들은 개인 영달 또는 이익의 추구, 종교조직체의 생존이나 팽창, 사회 지위나 영향력의 극대화를 위해 협력했다.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식민 모국, 인접 강대국과 같은 국제관계도 중요하다. 한국에서 개신교는 단순히 종교가 아니라 한미동맹, 반공동맹과 같은 수준에서 바라봐야 한다.","PeriodicalId":474167,"journal":{"name":"Donghag hagbo","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f the relationship Change between Religion and State : Focusing on South Korean Protestantism\",\"authors\":\"Seijoon Park\",\"doi\":\"10.46639/kjds.2023.67.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 해방 이후 현재까지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 시기 때, 신천지와 사랑제일교회 교인들을 포함한 개신교인들과 개신교 교회의 행동을 통해 한국에서 국가와 종교의 관계 변화를 살펴봐야할 필요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내용은 종교와 국가 관계이론을 통해 한국 상황을 설명 가능한 부분과 가능하지 않은 부분을 짚은 것이다. 이는 종교와 국가, 종교와 정치, 종교와 정부 관계를 설명하는 설득력 높은 이론들로는 한국의 종교와 국가 관계에서는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난 후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 협력과 갈등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국가는 최근들어 종교뿐만 아니라 많은 사회 영역에 개입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의 역할 증대와 종교의 기능 확장이 만날 때 갈등과 협력이 일어난다. 이때 개신교는 무조건 “종교의 자유” 프레임으로 맞선다. 국가의 정당성이 약할 때, 국가는 종교지도자 집단을 지배구조 안으로 편입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한국의 개신교 지도자들은 개인 영달 또는 이익의 추구, 종교조직체의 생존이나 팽창, 사회 지위나 영향력의 극대화를 위해 협력했다.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식민 모국, 인접 강대국과 같은 국제관계도 중요하다. 한국에서 개신교는 단순히 종교가 아니라 한미동맹, 반공동맹과 같은 수준에서 바라봐야 한다.\",\"PeriodicalId\":474167,\"journal\":{\"name\":\"Donghag hagbo\",\"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hag hagbo\",\"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39/kjds.2023.6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hag hagbo","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39/kjds.2023.6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f the relationship Change between Religion and State : Focusing on South Korean Protestantism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 해방 이후 현재까지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 시기 때, 신천지와 사랑제일교회 교인들을 포함한 개신교인들과 개신교 교회의 행동을 통해 한국에서 국가와 종교의 관계 변화를 살펴봐야할 필요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내용은 종교와 국가 관계이론을 통해 한국 상황을 설명 가능한 부분과 가능하지 않은 부분을 짚은 것이다. 이는 종교와 국가, 종교와 정치, 종교와 정부 관계를 설명하는 설득력 높은 이론들로는 한국의 종교와 국가 관계에서는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난 후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 협력과 갈등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국가는 최근들어 종교뿐만 아니라 많은 사회 영역에 개입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의 역할 증대와 종교의 기능 확장이 만날 때 갈등과 협력이 일어난다. 이때 개신교는 무조건 “종교의 자유” 프레임으로 맞선다. 국가의 정당성이 약할 때, 국가는 종교지도자 집단을 지배구조 안으로 편입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한국의 개신교 지도자들은 개인 영달 또는 이익의 추구, 종교조직체의 생존이나 팽창, 사회 지위나 영향력의 극대화를 위해 협력했다.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식민 모국, 인접 강대국과 같은 국제관계도 중요하다. 한국에서 개신교는 단순히 종교가 아니라 한미동맹, 반공동맹과 같은 수준에서 바라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