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东学研究的可扩展性:原则和方法","authors":"Sangwook Yim","doi":"10.46639/kjds.2023.67.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동학의 학문 후속 세대에게 동학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민생의 문제는 우리 사회 전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민생을 염두에 둔 연구 방향성은 동학 연구의 확장성 제고에 도움 될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 방향 설정에 영감을 줄 수 있도록 영역별로 민생의 필수 주제를 탐색했다. 단, 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작업은 최소화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평등과 상생의 관점에서 인간과 생태계의 민생 개선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첫째, 인간사회의 상생을 위해 1%가 초래한 불평등 시스템에 주목했다. 둘째, 인간과 생태계의 상생을 위해 만물 사이에 놓인 유기적 관련성에 주목했다. 셋째, 동학 연구의 확장성에 걸림돌이 되는 동학이 ‘사라져가는’ 이유에 주목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동학한다’라는 실천적 관점으로부터 도출되었다. 첫째, 무한경쟁이나 신자유주의와 같은 기득권 중심주의에서 공동체 중심의 사회 시스템으로 개혁해갈 필요가 있다. 둘째, 지구 생태계 역시 인간과 평등한 존재라는 인식의 대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비건 식단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시민운동을 통해 ‘살아 있는’‘ 동학으로 회복해갈 수 있다.","PeriodicalId":474167,"journal":{"name":"Donghag hagbo","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xpandability of Donghak Research : Principles and Methods\",\"authors\":\"Sangwook Yim\",\"doi\":\"10.46639/kjds.2023.67.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동학의 학문 후속 세대에게 동학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민생의 문제는 우리 사회 전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민생을 염두에 둔 연구 방향성은 동학 연구의 확장성 제고에 도움 될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 방향 설정에 영감을 줄 수 있도록 영역별로 민생의 필수 주제를 탐색했다. 단, 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작업은 최소화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평등과 상생의 관점에서 인간과 생태계의 민생 개선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첫째, 인간사회의 상생을 위해 1%가 초래한 불평등 시스템에 주목했다. 둘째, 인간과 생태계의 상생을 위해 만물 사이에 놓인 유기적 관련성에 주목했다. 셋째, 동학 연구의 확장성에 걸림돌이 되는 동학이 ‘사라져가는’ 이유에 주목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동학한다’라는 실천적 관점으로부터 도출되었다. 첫째, 무한경쟁이나 신자유주의와 같은 기득권 중심주의에서 공동체 중심의 사회 시스템으로 개혁해갈 필요가 있다. 둘째, 지구 생태계 역시 인간과 평등한 존재라는 인식의 대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비건 식단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시민운동을 통해 ‘살아 있는’‘ 동학으로 회복해갈 수 있다.\",\"PeriodicalId\":474167,\"journal\":{\"name\":\"Donghag hagbo\",\"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hag hagbo\",\"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39/kjds.2023.67.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hag hagbo","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39/kjds.2023.67.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Expandability of Donghak Research : Principles and Methods
이 연구는 동학의 학문 후속 세대에게 동학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민생의 문제는 우리 사회 전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민생을 염두에 둔 연구 방향성은 동학 연구의 확장성 제고에 도움 될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 방향 설정에 영감을 줄 수 있도록 영역별로 민생의 필수 주제를 탐색했다. 단, 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작업은 최소화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평등과 상생의 관점에서 인간과 생태계의 민생 개선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첫째, 인간사회의 상생을 위해 1%가 초래한 불평등 시스템에 주목했다. 둘째, 인간과 생태계의 상생을 위해 만물 사이에 놓인 유기적 관련성에 주목했다. 셋째, 동학 연구의 확장성에 걸림돌이 되는 동학이 ‘사라져가는’ 이유에 주목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동학한다’라는 실천적 관점으로부터 도출되었다. 첫째, 무한경쟁이나 신자유주의와 같은 기득권 중심주의에서 공동체 중심의 사회 시스템으로 개혁해갈 필요가 있다. 둘째, 지구 생태계 역시 인간과 평등한 존재라는 인식의 대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비건 식단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시민운동을 통해 ‘살아 있는’‘ 동학으로 회복해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