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鲜王室子女教育的现代价值

Jisu Kim, Youngchul Kim
{"title":"朝鲜王室子女教育的现代价值","authors":"Jisu Kim, Youngchul Kim","doi":"10.46639/kjds.2023.67.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을 받은 세자의 어린 시절 교육을 고찰하면서 오늘날의 올바른 자녀교육 문제를 제시한다. 또한 조선시대 세자의 인성교육을 통해 현대 물질문명의 혜택 속에 살고 있는 우리 교육 현실을 논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징을 살폈다. 둘째, 조선 왕실의 태교가 지닌 목적과 특징을 살폈다. 셋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연계하여 논의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에서는 인성교육을 강조했다. 둘째, 조선의 인성교육은 어릴 때부터 시작했다. 특히 귀족층일수록 인성교육을 일찍부터 시작했다. 셋째, 현대 한국의 학교교육 현장에서도 조선의 세자 및 귀족층 교육 방식에 따라 어릴 때부터 인성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PeriodicalId":474167,"journal":{"name":"Donghag hagbo","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odern Value of Education for Children of the Joseon Royal Family\",\"authors\":\"Jisu Kim, Youngchul Kim\",\"doi\":\"10.46639/kjds.2023.67.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을 받은 세자의 어린 시절 교육을 고찰하면서 오늘날의 올바른 자녀교육 문제를 제시한다. 또한 조선시대 세자의 인성교육을 통해 현대 물질문명의 혜택 속에 살고 있는 우리 교육 현실을 논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징을 살폈다. 둘째, 조선 왕실의 태교가 지닌 목적과 특징을 살폈다. 셋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연계하여 논의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에서는 인성교육을 강조했다. 둘째, 조선의 인성교육은 어릴 때부터 시작했다. 특히 귀족층일수록 인성교육을 일찍부터 시작했다. 셋째, 현대 한국의 학교교육 현장에서도 조선의 세자 및 귀족층 교육 방식에 따라 어릴 때부터 인성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PeriodicalId\":474167,\"journal\":{\"name\":\"Donghag hagbo\",\"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hag hagbo\",\"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39/kjds.2023.6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hag hagbo","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39/kjds.2023.6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该研究的目的是考察朝鲜时代接受最高教育的世子小时候的教育,并提出今天正确的子女教育问题。另外,通过朝鲜时代世子的人性教育,讨论了生活在现代物质文明的恩惠中的我国教育现实。这项研究的内容是:第一,观察了朝鲜世子教育的特征。第二,观察了朝鲜王室胎教所具有的目的和特征。第三,将朝鲜世子教育的特性与人性教育联系起来进行了讨论。这项研究的结论是:第一,朝鲜世子教育强调人性教育。第二,朝鲜的人性教育从小开始。特别是贵族阶层更早开始进行人性教育。第三,在现代韩国的学校教育现场,也有必要根据朝鲜世子及贵族层的教育方式,从小开始进行人性教育。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Modern Value of Education for Children of the Joseon Royal Family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을 받은 세자의 어린 시절 교육을 고찰하면서 오늘날의 올바른 자녀교육 문제를 제시한다. 또한 조선시대 세자의 인성교육을 통해 현대 물질문명의 혜택 속에 살고 있는 우리 교육 현실을 논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징을 살폈다. 둘째, 조선 왕실의 태교가 지닌 목적과 특징을 살폈다. 셋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연계하여 논의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에서는 인성교육을 강조했다. 둘째, 조선의 인성교육은 어릴 때부터 시작했다. 특히 귀족층일수록 인성교육을 일찍부터 시작했다. 셋째, 현대 한국의 학교교육 현장에서도 조선의 세자 및 귀족층 교육 방식에 따라 어릴 때부터 인성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