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朝鲜王室子女教育的现代价值","authors":"Jisu Kim, Youngchul Kim","doi":"10.46639/kjds.2023.67.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을 받은 세자의 어린 시절 교육을 고찰하면서 오늘날의 올바른 자녀교육 문제를 제시한다. 또한 조선시대 세자의 인성교육을 통해 현대 물질문명의 혜택 속에 살고 있는 우리 교육 현실을 논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징을 살폈다. 둘째, 조선 왕실의 태교가 지닌 목적과 특징을 살폈다. 셋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연계하여 논의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에서는 인성교육을 강조했다. 둘째, 조선의 인성교육은 어릴 때부터 시작했다. 특히 귀족층일수록 인성교육을 일찍부터 시작했다. 셋째, 현대 한국의 학교교육 현장에서도 조선의 세자 및 귀족층 교육 방식에 따라 어릴 때부터 인성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PeriodicalId":474167,"journal":{"name":"Donghag hagbo","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Modern Value of Education for Children of the Joseon Royal Family\",\"authors\":\"Jisu Kim, Youngchul Kim\",\"doi\":\"10.46639/kjds.2023.67.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을 받은 세자의 어린 시절 교육을 고찰하면서 오늘날의 올바른 자녀교육 문제를 제시한다. 또한 조선시대 세자의 인성교육을 통해 현대 물질문명의 혜택 속에 살고 있는 우리 교육 현실을 논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징을 살폈다. 둘째, 조선 왕실의 태교가 지닌 목적과 특징을 살폈다. 셋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연계하여 논의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에서는 인성교육을 강조했다. 둘째, 조선의 인성교육은 어릴 때부터 시작했다. 특히 귀족층일수록 인성교육을 일찍부터 시작했다. 셋째, 현대 한국의 학교교육 현장에서도 조선의 세자 및 귀족층 교육 방식에 따라 어릴 때부터 인성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PeriodicalId\":474167,\"journal\":{\"name\":\"Donghag hagbo\",\"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hag hagbo\",\"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39/kjds.2023.6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onghag hagbo","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639/kjds.2023.6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Modern Value of Education for Children of the Joseon Royal Family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을 받은 세자의 어린 시절 교육을 고찰하면서 오늘날의 올바른 자녀교육 문제를 제시한다. 또한 조선시대 세자의 인성교육을 통해 현대 물질문명의 혜택 속에 살고 있는 우리 교육 현실을 논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징을 살폈다. 둘째, 조선 왕실의 태교가 지닌 목적과 특징을 살폈다. 셋째, 조선의 세자 교육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연계하여 논의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선의 세자 교육에서는 인성교육을 강조했다. 둘째, 조선의 인성교육은 어릴 때부터 시작했다. 특히 귀족층일수록 인성교육을 일찍부터 시작했다. 셋째, 현대 한국의 학교교육 현장에서도 조선의 세자 및 귀족층 교육 방식에 따라 어릴 때부터 인성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