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书经”、“书经珠”、“朝鲜沙”、津田寿一的比较研究","authors":"Won-sook Kye, Gi-dae Bok","doi":"10.33252/sih.2023.9.78.105","DOIUrl":null,"url":null,"abstract":"현재 학계에서 패수의 위치는 한반도의 평안도 대동강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한사군의 낙랑군을 평양으로 비정하기 때문에 나오는 자연적인 결론이다. 역사에서 패수의 첫 등장은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 나타난다. 서쪽에서부터 동쪽으로 이 패수를 건너 망명한 위만의 조선은 역시 이 방향으로 온 한 무제 좌군의 공격을 받는다. 결국 위만조선의 왕검성이 무너지고 패수는 한사군의 낙랑군 소속이 된다. 훗날 북위(北魏)의 역도원은 『수경주』를 쓰면서 고구려 평양성에 패수가 있다는 말을 듣게 된다. 그리고 이 강은 동에서 서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니 기존의 『수경』이 틀렸다고 결론짓는다. 그래서 패수가 있는 평양성이 곧 왕검성이고, 또 곧 낙랑군이라는 주장을 하기에 이른다. 이 패수는 시간이 흘러 조선 학자들에 이르러 드디어 한반도에서 가까운, 혹은 한반도 안의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으로 주장된다. 결정적으로 쓰다 소우키치가 대동강 패수설을 주장하고 이 주장이 『조선사』를 비롯한 여러 사서에 인용되면서 현재까지 이르는 것이다. 그런데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지 않고 요서 지역에 있었다는 최근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기』 「조선열전」의 패수방향을 살펴보면 현재의 난하 물줄기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수경』의 서술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패수에 대한 시대별 주장을 살펴 어느 기록이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서의 패수에 부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f Peasu-Comparing 『Shujing(水經)』, 『Shujing zhu(水經注)』, 『JoseonSa』 and Tsuda Shoukichi\",\"authors\":\"Won-sook Kye, Gi-dae Bok\",\"doi\":\"10.33252/sih.2023.9.78.105\",\"DOIUrl\":null,\"url\":null,\"abstract\":\"현재 학계에서 패수의 위치는 한반도의 평안도 대동강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한사군의 낙랑군을 평양으로 비정하기 때문에 나오는 자연적인 결론이다. 역사에서 패수의 첫 등장은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 나타난다. 서쪽에서부터 동쪽으로 이 패수를 건너 망명한 위만의 조선은 역시 이 방향으로 온 한 무제 좌군의 공격을 받는다. 결국 위만조선의 왕검성이 무너지고 패수는 한사군의 낙랑군 소속이 된다. 훗날 북위(北魏)의 역도원은 『수경주』를 쓰면서 고구려 평양성에 패수가 있다는 말을 듣게 된다. 그리고 이 강은 동에서 서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니 기존의 『수경』이 틀렸다고 결론짓는다. 그래서 패수가 있는 평양성이 곧 왕검성이고, 또 곧 낙랑군이라는 주장을 하기에 이른다. 이 패수는 시간이 흘러 조선 학자들에 이르러 드디어 한반도에서 가까운, 혹은 한반도 안의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으로 주장된다. 결정적으로 쓰다 소우키치가 대동강 패수설을 주장하고 이 주장이 『조선사』를 비롯한 여러 사서에 인용되면서 현재까지 이르는 것이다. 그런데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지 않고 요서 지역에 있었다는 최근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기』 「조선열전」의 패수방향을 살펴보면 현재의 난하 물줄기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수경』의 서술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패수에 대한 시대별 주장을 살펴 어느 기록이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서의 패수에 부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6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1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2/sih.2023.9.78.1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f Peasu-Comparing 『Shujing(水經)』, 『Shujing zhu(水經注)』, 『JoseonSa』 and Tsuda Shoukichi
현재 학계에서 패수의 위치는 한반도의 평안도 대동강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한사군의 낙랑군을 평양으로 비정하기 때문에 나오는 자연적인 결론이다. 역사에서 패수의 첫 등장은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 나타난다. 서쪽에서부터 동쪽으로 이 패수를 건너 망명한 위만의 조선은 역시 이 방향으로 온 한 무제 좌군의 공격을 받는다. 결국 위만조선의 왕검성이 무너지고 패수는 한사군의 낙랑군 소속이 된다. 훗날 북위(北魏)의 역도원은 『수경주』를 쓰면서 고구려 평양성에 패수가 있다는 말을 듣게 된다. 그리고 이 강은 동에서 서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니 기존의 『수경』이 틀렸다고 결론짓는다. 그래서 패수가 있는 평양성이 곧 왕검성이고, 또 곧 낙랑군이라는 주장을 하기에 이른다. 이 패수는 시간이 흘러 조선 학자들에 이르러 드디어 한반도에서 가까운, 혹은 한반도 안의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으로 주장된다. 결정적으로 쓰다 소우키치가 대동강 패수설을 주장하고 이 주장이 『조선사』를 비롯한 여러 사서에 인용되면서 현재까지 이르는 것이다. 그런데 한사군이 한반도에 있지 않고 요서 지역에 있었다는 최근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기』 「조선열전」의 패수방향을 살펴보면 현재의 난하 물줄기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수경』의 서술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패수에 대한 시대별 주장을 살펴 어느 기록이 (고)조선과 한나라와의 경계로서의 패수에 부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