重新评价郑烈模的韩语语法理论

Byung-Moon Kim
{"title":"重新评价郑烈模的韩语语法理论","authors":"Byung-Moon Kim","doi":"10.15811/jkl.2023..107.004","DOIUrl":null,"url":null,"abstract":"국어문법의 유형을 ‘분석주의(제1 유형), 준종합주의(제2 유형), 종합주의(제3 유형)’로 나누고 각각을 대표하는 인물로 주시경, 최현배, 정렬모를 드는 것은 국어학사에서 폭넓게 인정받고 있는 견해이다. 이는 물론 조사와 어미를 독립된 품사로 설정하느냐의 여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 글은 정렬모의 문법이 이른바 ‘종합주의’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문법을 당대의 관점에서 재평가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흔히 ‘종합주의’라고 불리는 제3 유형은 어미를 용언의 일부로 보고 용언 어간과 어미의 결합을 ‘활용’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 제2 유형(‘준종합주의’)의 방식을 체언과 조사의 결합에까지 적용한 문법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렬모는 최현배가 설정한 것과 같은 활용 개념을 인정하거나 받아들인 바가 없을뿐더러 이를 체언에까지 적용한 적은 더더욱 없다. 따라서 우리는 정렬모의 문법을 그가 동인지 ≪한글≫에 <조선어문법론>(1927∼28)을 연재하던 바로 그 당대의 관점에서 재평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또한 1950년대 이후 ‘체언+조사’의 결합을 ‘용언 어간+어미’에 상당하는 체언의 어형(語形) 변화로 보고자 하던 시각에서 정립된, 그리하여 이제는 국어학사의 상식과도 같이 인정받고 있는, 국어 문법론의 세 가지 유형 분류에 대한 재검토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작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물론 정렬모의 문법이 당대 조선어 연구의 장(場)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정당하게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PeriodicalId":472278,"journal":{"name":"Gug'eohag - Gug'eo haghoe","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n Essay for Reevaluation of a Korean Grammar Theory by Jeong Ryeol-mo\",\"authors\":\"Byung-Moon Kim\",\"doi\":\"10.15811/jkl.2023..107.004\",\"DOIUrl\":null,\"url\":null,\"abstract\":\"국어문법의 유형을 ‘분석주의(제1 유형), 준종합주의(제2 유형), 종합주의(제3 유형)’로 나누고 각각을 대표하는 인물로 주시경, 최현배, 정렬모를 드는 것은 국어학사에서 폭넓게 인정받고 있는 견해이다. 이는 물론 조사와 어미를 독립된 품사로 설정하느냐의 여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 글은 정렬모의 문법이 이른바 ‘종합주의’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문법을 당대의 관점에서 재평가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흔히 ‘종합주의’라고 불리는 제3 유형은 어미를 용언의 일부로 보고 용언 어간과 어미의 결합을 ‘활용’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 제2 유형(‘준종합주의’)의 방식을 체언과 조사의 결합에까지 적용한 문법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렬모는 최현배가 설정한 것과 같은 활용 개념을 인정하거나 받아들인 바가 없을뿐더러 이를 체언에까지 적용한 적은 더더욱 없다. 따라서 우리는 정렬모의 문법을 그가 동인지 ≪한글≫에 <조선어문법론>(1927∼28)을 연재하던 바로 그 당대의 관점에서 재평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또한 1950년대 이후 ‘체언+조사’의 결합을 ‘용언 어간+어미’에 상당하는 체언의 어형(語形) 변화로 보고자 하던 시각에서 정립된, 그리하여 이제는 국어학사의 상식과도 같이 인정받고 있는, 국어 문법론의 세 가지 유형 분류에 대한 재검토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작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물론 정렬모의 문법이 당대 조선어 연구의 장(場)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정당하게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PeriodicalId\":472278,\"journal\":{\"name\":\"Gug'eohag - Gug'eo haghoe\",\"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g'eohag - Gug'eo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11/jkl.2023..107.0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g'eohag - Gug'eo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11/jkl.2023..107.0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国语语法的类型分为“分析主义(第1类型)”、“准综合主义(第2类型)”、“综合主义(第3类型)”,作为各自的代表人物,举出《周时经》、《崔贤培》、《郑烈模》,这是在国语史学上得到广泛认可的见解。这当然是以调查和词尾是否设定为独立的词类为标准。这篇文章主张,有必要批判地研究排序模式的语法是否属于所谓的“综合主义”,并从当代的观点重新评价他的语法。通常被称为“综合主义”的第三种类型可以说是将词尾视为用语的一部分,将用语词干和词尾的结合以“活用”的概念进行说明的第二种类型(“准综合主义”)方式适用于体词和助词的结合的语法类型。但是郑烈模不仅没有承认或接受崔贤培设定的活用概念,更没有将此适用于体言。因此,我们有必要从他在同人志《韩文》上(1927 ~ 28)连载的当代观点出发,重新评价郑烈模的语法。这也是1950年代以后“체언+调查”的结合相当“谓词词干+词尾的체언词形(用语凶)报告人的角度确立变化的,于是,现在正在受到公司的常识与国语学家认为,国语语法学对分类进行重新研究的三种类型也是的意思。这一工作的最终目标当然是正确评价排序模拟语法在当代朝鲜语研究领域的位置。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An Essay for Reevaluation of a Korean Grammar Theory by Jeong Ryeol-mo
국어문법의 유형을 ‘분석주의(제1 유형), 준종합주의(제2 유형), 종합주의(제3 유형)’로 나누고 각각을 대표하는 인물로 주시경, 최현배, 정렬모를 드는 것은 국어학사에서 폭넓게 인정받고 있는 견해이다. 이는 물론 조사와 어미를 독립된 품사로 설정하느냐의 여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 글은 정렬모의 문법이 이른바 ‘종합주의’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문법을 당대의 관점에서 재평가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흔히 ‘종합주의’라고 불리는 제3 유형은 어미를 용언의 일부로 보고 용언 어간과 어미의 결합을 ‘활용’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 제2 유형(‘준종합주의’)의 방식을 체언과 조사의 결합에까지 적용한 문법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렬모는 최현배가 설정한 것과 같은 활용 개념을 인정하거나 받아들인 바가 없을뿐더러 이를 체언에까지 적용한 적은 더더욱 없다. 따라서 우리는 정렬모의 문법을 그가 동인지 ≪한글≫에 <조선어문법론>(1927∼28)을 연재하던 바로 그 당대의 관점에서 재평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또한 1950년대 이후 ‘체언+조사’의 결합을 ‘용언 어간+어미’에 상당하는 체언의 어형(語形) 변화로 보고자 하던 시각에서 정립된, 그리하여 이제는 국어학사의 상식과도 같이 인정받고 있는, 국어 문법론의 세 가지 유형 분류에 대한 재검토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작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물론 정렬모의 문법이 당대 조선어 연구의 장(場)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정당하게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