基于Case Alignment类型学的韩语否定结构问题研究

Hae-Gwon Jeong
{"title":"基于Case Alignment类型学的韩语否定结构问题研究","authors":"Hae-Gwon Jeong","doi":"10.15811/jkl.2023..107.003","DOIUrl":null,"url":null,"abstract":"한국어의 능격성에 대한 논의는 중세 한국어의 자타 양용 동사를 소위 능격 동사라 칭하면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으나 이는 격 정렬 유형론의 관점에서 중립 정렬에 해당한다. 또한 왕이나 위인의 출중한 능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역전 또는 가능의 의미에 가깝다고 분석된다. 반면에 소유/존재, 필요, 심리 등을 나타내는 여격 주어 구문은 S 논항과 P 논항이 동일한 격 표지로 표시되고 A 논항이 여격 또는 처격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낮은 타동성의 능격-절대격 정렬과 동일한 분포이다. 여격/처격-주격 구문은 S/P 주축의 통사적 능격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진행 상에서 처소를 ‘에서’가 아닌 ‘에’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한국어의 능격-절대격 구문이 단순한 문장 변환이 아니라 존재론적 1차 실체에 대한 서술을 담당하는 통사 현상임을 보여 준다.","PeriodicalId":472278,"journal":{"name":"Gug'eohag - Gug'eo haghoe","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Issues on Erg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based on Case Alignment Typology\",\"authors\":\"Hae-Gwon Jeong\",\"doi\":\"10.15811/jkl.2023..107.003\",\"DOIUrl\":null,\"url\":null,\"abstract\":\"한국어의 능격성에 대한 논의는 중세 한국어의 자타 양용 동사를 소위 능격 동사라 칭하면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으나 이는 격 정렬 유형론의 관점에서 중립 정렬에 해당한다. 또한 왕이나 위인의 출중한 능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역전 또는 가능의 의미에 가깝다고 분석된다. 반면에 소유/존재, 필요, 심리 등을 나타내는 여격 주어 구문은 S 논항과 P 논항이 동일한 격 표지로 표시되고 A 논항이 여격 또는 처격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낮은 타동성의 능격-절대격 정렬과 동일한 분포이다. 여격/처격-주격 구문은 S/P 주축의 통사적 능격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진행 상에서 처소를 ‘에서’가 아닌 ‘에’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한국어의 능격-절대격 구문이 단순한 문장 변환이 아니라 존재론적 1차 실체에 대한 서술을 담당하는 통사 현상임을 보여 준다.\",\"PeriodicalId\":472278,\"journal\":{\"name\":\"Gug'eohag - Gug'eo haghoe\",\"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g'eohag - Gug'eo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11/jkl.2023..107.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g'eohag - Gug'eo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11/jkl.2023..107.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对韩国语的能格性的讨论在中世纪将韩国语的自他两用动词称为所谓能格动词之后正式进行了讨论,但是从格排序类型论的观点来看,这相当于中立排序。另外,从表现出国王或伟人的出众能力这一点来看,接近于逆转或可能的意义。相反,表示所有/存在、需要、心理等的余格主语句,S论项和P论项用相同的格标志表示,A论项以余格或妻格表示,这与低他同性的能格-绝对格排序是相同的分布。“余格/妻格-主格句文”不仅体现出S/P主轴的通史性能格性,而且在进行上可以用“乙”来表示住所,而不是“乙”来表示。这种特性表明,韩国语的“能格-绝对格”句子并不是单纯的句子变换,而是负责叙述存在论的1次实体的通史现象。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Issues on Erg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based on Case Alignment Typology
한국어의 능격성에 대한 논의는 중세 한국어의 자타 양용 동사를 소위 능격 동사라 칭하면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으나 이는 격 정렬 유형론의 관점에서 중립 정렬에 해당한다. 또한 왕이나 위인의 출중한 능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역전 또는 가능의 의미에 가깝다고 분석된다. 반면에 소유/존재, 필요, 심리 등을 나타내는 여격 주어 구문은 S 논항과 P 논항이 동일한 격 표지로 표시되고 A 논항이 여격 또는 처격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낮은 타동성의 능격-절대격 정렬과 동일한 분포이다. 여격/처격-주격 구문은 S/P 주축의 통사적 능격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진행 상에서 처소를 ‘에서’가 아닌 ‘에’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한국어의 능격-절대격 구문이 단순한 문장 변환이 아니라 존재론적 1차 실체에 대한 서술을 담당하는 통사 현상임을 보여 준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