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穷竭性标记的形式与功能

Yu-Seok Kwak
{"title":"非穷竭性标记的形式与功能","authors":"Yu-Seok Kwak","doi":"10.15811/jkl.2023..107.01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병렬 구문의 비망라성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지의 특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비망라성을 ‘담화 상황에서 상정되는 집합의 요소들을 모두 포괄하지는 않는 성질’로 정의하고, 비망라성 표지의 유형으로 ‘어휘적 표지’와 ‘형태적 표지’를 상정하였다. 3장에서는 어휘적 표지로는 ‘등, 등등, 따위’를, 형태적 표지로는 ‘이며, 이니’ 및 ‘-거나, -든지’를 제시하였다. 이때 어휘적 표지는 자립적이고 최종 병렬항 다음에 분포하며 비망라성을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반면에 형태적 표지는 의존적이고 개별 병렬항에 결합하며 비망라성을 암시적으로 드러낸다는 차이가 있다. 4장에서는 비망라성 표지가 화자의 부정적인 가치 판단을 반영하는 경우와 완화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례에 대해 차례로 살펴보았다.","PeriodicalId":472278,"journal":{"name":"Gug'eohag - Gug'eo haghoe","volume":"5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Form and Function of Non-exhaustivity Markers\",\"authors\":\"Yu-Seok Kwak\",\"doi\":\"10.15811/jkl.2023..107.01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병렬 구문의 비망라성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지의 특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비망라성을 ‘담화 상황에서 상정되는 집합의 요소들을 모두 포괄하지는 않는 성질’로 정의하고, 비망라성 표지의 유형으로 ‘어휘적 표지’와 ‘형태적 표지’를 상정하였다. 3장에서는 어휘적 표지로는 ‘등, 등등, 따위’를, 형태적 표지로는 ‘이며, 이니’ 및 ‘-거나, -든지’를 제시하였다. 이때 어휘적 표지는 자립적이고 최종 병렬항 다음에 분포하며 비망라성을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반면에 형태적 표지는 의존적이고 개별 병렬항에 결합하며 비망라성을 암시적으로 드러낸다는 차이가 있다. 4장에서는 비망라성 표지가 화자의 부정적인 가치 판단을 반영하는 경우와 완화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례에 대해 차례로 살펴보았다.\",\"PeriodicalId\":472278,\"journal\":{\"name\":\"Gug'eohag - Gug'eo haghoe\",\"volume\":\"5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g'eohag - Gug'eo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11/jkl.2023..107.01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g'eohag - Gug'eo hagho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11/jkl.2023..107.01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的目的是对韩语中并列句的非包包性时可以使用的标志特性进行综合讨论。为此,第2章将非包罗性定义为“不包括谈话情况中商定的集合要素的性质”,非包罗性标志的类型是“词汇性标志”和“形态性标志”。在第3章中,作为词汇的标志提出了“灯,等等,等等”,作为形态的标志提出了“是”和“是”、“是”或“是”。不同的是,词汇的标志是独立的,分布在最终并列项之后,明确地显示非包包性,而形态的标志是依赖的,结合于个别并列项,暗示地显示非包包性。在第4章中,依次观察了非包罗性标志反映谈话人的否定价值判断的情况和履行缓和功能的事例。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The Form and Function of Non-exhaustivity Markers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병렬 구문의 비망라성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지의 특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비망라성을 ‘담화 상황에서 상정되는 집합의 요소들을 모두 포괄하지는 않는 성질’로 정의하고, 비망라성 표지의 유형으로 ‘어휘적 표지’와 ‘형태적 표지’를 상정하였다. 3장에서는 어휘적 표지로는 ‘등, 등등, 따위’를, 형태적 표지로는 ‘이며, 이니’ 및 ‘-거나, -든지’를 제시하였다. 이때 어휘적 표지는 자립적이고 최종 병렬항 다음에 분포하며 비망라성을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반면에 형태적 표지는 의존적이고 개별 병렬항에 결합하며 비망라성을 암시적으로 드러낸다는 차이가 있다. 4장에서는 비망라성 표지가 화자의 부정적인 가치 판단을 반영하는 경우와 완화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례에 대해 차례로 살펴보았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