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hee Choi, Cheol Gang, Hwa-Kyu Lee, Hyun-Sug Cho
{"title":"华城地区火灾特征分析对策研究","authors":"Junhee Choi, Cheol Gang, Hwa-Kyu Lee, Hyun-Sug Cho","doi":"10.14801/jkiit.2023.21.9.25","DOIUrl":null,"url":null,"abstract":"국내에서 해마다 약 4만 건의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며, 소방청과 각 시·도 본부에서는 매년 화재통계연보 발간 및 통계처리에 따른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9년에 진행된 화재안전특별조사 데이터와 함께 2019년 화성지역의 화재를 기본자료로 활용하여 화재 특성을 분석하였다. 1년 간 화성지역은 연 637건의 실화재가 발생하였으며, 평균 재산 피해액은 6,400만원으로 전국 1위의 화재발생지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화성시의 화재특성을 분석하였고, 결과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신규 소방서/안전센터 설치, 공장종량제 시행, 농업 폐기물 처리 규정 제정 등 총 다섯가지를 제안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20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Countermeasures Through Fire Characteristics Analysis in Hwaseong Area\",\"authors\":\"Junhee Choi, Cheol Gang, Hwa-Kyu Lee, Hyun-Sug Cho\",\"doi\":\"10.14801/jkiit.2023.21.9.25\",\"DOIUrl\":null,\"url\":null,\"abstract\":\"국내에서 해마다 약 4만 건의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며, 소방청과 각 시·도 본부에서는 매년 화재통계연보 발간 및 통계처리에 따른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9년에 진행된 화재안전특별조사 데이터와 함께 2019년 화성지역의 화재를 기본자료로 활용하여 화재 특성을 분석하였다. 1년 간 화성지역은 연 637건의 실화재가 발생하였으며, 평균 재산 피해액은 6,400만원으로 전국 1위의 화재발생지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화성시의 화재특성을 분석하였고, 결과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신규 소방서/안전센터 설치, 공장종량제 시행, 농업 폐기물 처리 규정 제정 등 총 다섯가지를 제안하였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20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01/jkiit.2023.21.9.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Countermeasures Through Fire Characteristics Analysis in Hwaseong Area
국내에서 해마다 약 4만 건의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며, 소방청과 각 시·도 본부에서는 매년 화재통계연보 발간 및 통계처리에 따른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9년에 진행된 화재안전특별조사 데이터와 함께 2019년 화성지역의 화재를 기본자료로 활용하여 화재 특성을 분석하였다. 1년 간 화성지역은 연 637건의 실화재가 발생하였으며, 평균 재산 피해액은 6,400만원으로 전국 1위의 화재발생지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화성시의 화재특성을 분석하였고, 결과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신규 소방서/안전센터 설치, 공장종량제 시행, 농업 폐기물 처리 규정 제정 등 총 다섯가지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