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ness of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n the Korean Market)

Jinwoo Park
{"title":"(Effectiveness of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n the Korean Market)","authors":"Jinwoo Park","doi":"10.2139/SSRN.3017062","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배당주 투자와 관련하여 시장에 알려진 바대로 과연 고배당 주식투자가 유효한지를 실증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 가운데 매년 9월말 주가 대비 당해 연도 지급한 전년도 배당금으로 계산한 배당수익률이 높은 상위 20개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월말부터 다음 해 2월말까지 5개월 동안 고배당 주식의 평균 누적초과수익률은 9.64%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고배당주투자가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투자시점은 시장의 통념대로 9월 이후로 가능하지만 투자시점이 다소 늦추어져도 고배당주 투자의 유효성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연도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고배당 주식의 투자성과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고, 시장의 속설처럼 대체로 주식시장이 침체일 때 배당주 투자가 더욱 유효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고배당 주식의 투자성과가 표본의 다른 특성이나 표본 중 일부 종목이 극단적인 수익률에 의해 평균값이 왜곡된 것으로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고배당주 투자를 중대형 주식에 한정하더라도 여전히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고배당 주식을 대상으로 배당락 효과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전체 표본기간동안 이론 배당락은 평균 6.85%인 반면에 실제 배당락의 평균은 4.32%로서 평균 2.53%의 초과수익률이 발생하고 있어서 고배당주 주식을 배당부일 종가에 매입하여 배당락일 시가에 주식을 매도하는 초단기 배당락 투자가 유효함을 보여주고 있다. \n \nEnglish Abstract: Using the stock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KRX) for the period from 2001 to 2007, this paper examines whether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s effective in the Korean market. Based on the dividend yield that is estimated as ratio of the previous year’s dividend to the stock price at the end of September, each year top 20 high-yield stocks are selected for the sample. The empirical result exhibits that th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during five months from the end of September to the end of February is 9.64%, indicating that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s effective in the Korean market. However, the result is somewhat different every year, showing that the high-yield effect tends to manifest during a downturn in the stock market. In addition, the average results are not distorted by outlier, and the high-yield effect persists after excluding small-firm sample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ex-day abnormal returns that are compu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price drop and actual pr e changes around the ex-dividend day, the average excess return amounts to 2.53% for the sample of high-yield stocks, indicating that the ex-dividend trading strategy is effective at least for the high-yield stocks in the Korean stock market.","PeriodicalId":166226,"journal":{"name":"Korea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KDIC) Research Paper Serie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2-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한국 주식시장에서 고배당주 투자는 유효한가(Effectiveness of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n the Korean Market)\",\"authors\":\"Jinwoo Park\",\"doi\":\"10.2139/SSRN.3017062\",\"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배당주 투자와 관련하여 시장에 알려진 바대로 과연 고배당 주식투자가 유효한지를 실증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 가운데 매년 9월말 주가 대비 당해 연도 지급한 전년도 배당금으로 계산한 배당수익률이 높은 상위 20개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월말부터 다음 해 2월말까지 5개월 동안 고배당 주식의 평균 누적초과수익률은 9.64%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고배당주투자가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투자시점은 시장의 통념대로 9월 이후로 가능하지만 투자시점이 다소 늦추어져도 고배당주 투자의 유효성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연도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고배당 주식의 투자성과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고, 시장의 속설처럼 대체로 주식시장이 침체일 때 배당주 투자가 더욱 유효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고배당 주식의 투자성과가 표본의 다른 특성이나 표본 중 일부 종목이 극단적인 수익률에 의해 평균값이 왜곡된 것으로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고배당주 투자를 중대형 주식에 한정하더라도 여전히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고배당 주식을 대상으로 배당락 효과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전체 표본기간동안 이론 배당락은 평균 6.85%인 반면에 실제 배당락의 평균은 4.32%로서 평균 2.53%의 초과수익률이 발생하고 있어서 고배당주 주식을 배당부일 종가에 매입하여 배당락일 시가에 주식을 매도하는 초단기 배당락 투자가 유효함을 보여주고 있다. \\n \\nEnglish Abstract: Using the stock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KRX) for the period from 2001 to 2007, this paper examines whether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s effective in the Korean market. Based on the dividend yield that is estimated as ratio of the previous year’s dividend to the stock price at the end of September, each year top 20 high-yield stocks are selected for the sample. The empirical result exhibits that th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during five months from the end of September to the end of February is 9.64%, indicating that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s effective in the Korean market. However, the result is somewhat different every year, showing that the high-yield effect tends to manifest during a downturn in the stock market. In addition, the average results are not distorted by outlier, and the high-yield effect persists after excluding small-firm sample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ex-day abnormal returns that are compu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price drop and actual pr e changes around the ex-dividend day, the average excess return amounts to 2.53% for the sample of high-yield stocks, indicating that the ex-dividend trading strategy is effective at least for the high-yield stocks in the Korean stock market.\",\"PeriodicalId\":166226,\"journal\":{\"name\":\"Korea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KDIC) Research Paper Serie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2-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KDIC) Research Paper Ser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01706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KDIC) Research Paper Ser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01706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Korean Abstract:本论文就最近在我国股票市场上备受关注的分红股投资,对市场所知道的高分红股票投资是否有效进行了实证分析。为此,从2001年到2007年为止,除了在韩国交易所的有价证券市场上市的金融业之外,在12月结算法人中,以每年9月末与股价相比当年支付的前一年度红利来计算的分红收益率较高的前20家企业为样本进行了分析。分析结果显示,从9月底到第二年2月底的5个月时间里,高分红股票的平均累计超额收益率为9.64%,由此可见,韩国股市的高分红投资有效。按照市场的一般概念,投资时间可以在9月以后,但是即使投资时点有所推迟,高分红股投资的有效性也没有太大的变化。但是从年度来看,高分红股票的投资成果显示出很大的差异,就像市场的传说一样,大体上在股票市场停滞的时候,分红股投资更加有效。这种高分红股票的投资成果并没有被看作是标本的其他特性或标本中部分项目因极端的收益率而歪曲了平均值。另外,即使将高分红股投资限定在中大型股票上,也依然有效。另外,面向苦酒党股份股息下降效果测定的结果,在整个标本期间,平均分配理论乐的85%,而在实际股息下降的平均是4 . 32%,平均2 . 53%的超额收益率正在发生,苦酒唐珠分红釜日收盘价买入股票,在除息日市价抛售股票的超短期分红乐有效展示其投资。English Abstract: Using the stock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KRX) for the period from 2001 to 2007, this paper examines whether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s effective in the Korean market。Based on the dividend yield that is estimated as ratio of the previous year ' s dividend to the stock price at the end of September, each year top 20 high-yield stocks are selected for the sample。The empirical result exhibits that Th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during five months from The end of September to The end of February is 9.64%;indicating that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s effective in the Korean market。However, the result is somewhat different every year, showing that the high-yield effect tends to manifest during a downturn in the stock market。In addition, the average results are not distorted by outlier, and the high-yield effect persists after excluding small-firm samples。In the investigation of the ex-day abnormal returns that are compu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price drop and actual pr e changes around the ex-dividend daythe average excess return amounts to 2.53% for the sample of high-yield stocksindicating that the ex-dividend trading strategy is effective at least for the high-yield stocks in the Korean stock market。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한국 주식시장에서 고배당주 투자는 유효한가(Effectiveness of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배당주 투자와 관련하여 시장에 알려진 바대로 과연 고배당 주식투자가 유효한지를 실증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 가운데 매년 9월말 주가 대비 당해 연도 지급한 전년도 배당금으로 계산한 배당수익률이 높은 상위 20개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월말부터 다음 해 2월말까지 5개월 동안 고배당 주식의 평균 누적초과수익률은 9.64%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고배당주투자가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투자시점은 시장의 통념대로 9월 이후로 가능하지만 투자시점이 다소 늦추어져도 고배당주 투자의 유효성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연도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고배당 주식의 투자성과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고, 시장의 속설처럼 대체로 주식시장이 침체일 때 배당주 투자가 더욱 유효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고배당 주식의 투자성과가 표본의 다른 특성이나 표본 중 일부 종목이 극단적인 수익률에 의해 평균값이 왜곡된 것으로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고배당주 투자를 중대형 주식에 한정하더라도 여전히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고배당 주식을 대상으로 배당락 효과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전체 표본기간동안 이론 배당락은 평균 6.85%인 반면에 실제 배당락의 평균은 4.32%로서 평균 2.53%의 초과수익률이 발생하고 있어서 고배당주 주식을 배당부일 종가에 매입하여 배당락일 시가에 주식을 매도하는 초단기 배당락 투자가 유효함을 보여주고 있다. English Abstract: Using the stock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KRX) for the period from 2001 to 2007, this paper examines whether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s effective in the Korean market. Based on the dividend yield that is estimated as ratio of the previous year’s dividend to the stock price at the end of September, each year top 20 high-yield stocks are selected for the sample. The empirical result exhibits that th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during five months from the end of September to the end of February is 9.64%, indicating that investing in high-yield stocks is effective in the Korean market. However, the result is somewhat different every year, showing that the high-yield effect tends to manifest during a downturn in the stock market. In addition, the average results are not distorted by outlier, and the high-yield effect persists after excluding small-firm samples. In the investigation of the ex-day abnormal returns that are compu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price drop and actual pr e changes around the ex-dividend day, the average excess return amounts to 2.53% for the sample of high-yield stocks, indicating that the ex-dividend trading strategy is effective at least for the high-yield stocks in the Korean stock market.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