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北韩对外债务的争论焦点和课题:以国际规范和海外事例为中心(Issues and Tasks Regarding External Debt of the DPRK: Centering around International Rules and Cases Abroad)","authors":"Yoojeong Choi, Halin Han","doi":"10.2139/ssrn.3916575","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북한은 세계 각국에 채무를 가지고 있지만 1984년 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이렇다 할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채무 이자 누적으로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2년에는 러시아가 북한의 구소련에 대한 대규모 채무를 개발 재원 전환 방식(Debt for Development)으로 탕감해 줌에 따라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2018~19년 북미 관계가 급속도로 진전된 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북한이 개혁개방의 의지를 피력하고, 북·미 관계가 전환점을 맞이하는 경우 북한의 대외 채무에 대한 논의 역시 급속도로 진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는 2021년 한반도의 당면 과제는 아니지만 한국이 중장기적으로 결국 직면하게 될 주요한 경제·외교적 사안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 현황을 파악하고, 대외 채무 관련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한반도 상황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하에서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 대외 채무 문제 현황과 관련 국제 규범, 해외 사례, 그리고 해소 방안 및 정책 대안을 새로운 관점에서 검토·모색하고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먼저, ① 북한의 대외 채무 규모 파악하고 ② 채무 해소에 관한 국제 규범을 살펴본 후 ③ 통일과 경제통합(남북한 공존)의 시나리오에 따른 북한 대외 채무 해결 방향 ④ 향후 북한의 체제전환과 남북한 경제통합 과정에서의 정책 과제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2010년대 후반까지 북한 대외 채무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통일과 국가 승계의 관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연구는 국가 승계를 다루기는 하지만, 국가 공존의 상황에서 야기되는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각 장별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장에서는 북한 대외 채무 현황과 통계를 살펴보았다. 그동안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온 북한의 대외 채무 규모를 다양한 통계 출처와 유형, 국가별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공적 채무와 상업 채무를 관장하는 국제 규범(파리클럽, 런던클럽)과 국가 승계에 대한 국제 법제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들과 달리 사례 연구 대상 국가들을 ① 체제전환국(베트남, 미얀마) ② 국가 통합(독일, 예멘) ③ 중국으로 유형화하여 살펴보았다. 그중에서도 대북 채권을 가장 많이 보유한 동시에 최근 저소득·개발도상국의 최대 채권자로 부상한 중국의 사례를 ‘채권국가’의 관점에서 살펴본 점이 이 연구의 차별성이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통일 혹은 남북한 공존 등과 같이 시나리오별 북한 대외 채무 문제 해결 방향과 이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종합하면, 북한 대외 채무 문제는 남북 관계의 변화 방향, 비핵화 논의의 진전과 북한의 국제금융기구 가입 여부, 대중국 채무 해소 방법에 따라 해결 방법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북한이 체제전환을 선언하고 자발적으로 대외 채무 해소를 시도하는 경우 대외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북·미 관계 정상화와 북한의 IMF 가입이 선결되어야 한다. 파리클럽과 런던클럽을 통한 다자간 채무 조정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IMF가 요구하는 개혁 프로그램 이행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때 북한이 IMF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적성국가의 국제금융기구 가입을 제한하는 미국의 제재가 해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의 적극적인 개혁 의지와 실질적 이행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급변사태로 인해 남북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국제 규범과 관례에 따라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 채무가 한국에 승계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그 규모와 처리 방식은 통일한국의 주변국 외교 전략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북한의 대중국 채무는 대외 채무 해소 과정뿐만 아니라, 개혁개방 이후 재원 조달에 있어서도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최근 중국이 개발도상국에 대한 채권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북·미 관계 정상화 과정에서 북·중 간의 채권·채무 관계가 어느 시점에, 또 어떻게 해결되느냐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때 북·중 양자 협상을 통해 중국의 채무 조정 혹은 대북 신규 차관이 북한의 경제 상황을 현격하게 개선하는 경우 북한의 대중국 채무는 북한의 국제사회 편입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남북 관계가 개선되고, 북핵 문제가 진전을 보이는 등 북한이 대외 관계 정상화를 통해 정상 국가화를 추진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우리 정부가 대북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주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nglish Abstrac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DPRK) holds external debt against the rest of the world yet has not made its position clear on how to repay this after declaring moratorium in 1984. The magnitude of the debt subject for repayment is increasing annually as the interest for arrears has accumulated. The issues regarding approaches that the DPRK would take in regards to repayment of its debt were raised when Russia relieved it from its duties for repayment of external debt against the former Soviet Union in 2012. In light of the situation in 2018 and 2019, when rapprochement between the DPRK and the United States was burgeoning, once the former shows its willingness to open its economy and to enter the phase of reformation,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the discussion on how to resolve the mounting external debt of DPRK would be expedited when US-DPRK relations enter this new phase. Against this background, the external debt of DPRK will likely be one of the primary diplomatic and economic matters facing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longer perspective, albeit not an imminent issue to be taken care of.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external debt incurred by the DPRK and international norms on how to manage this, as well as cases abroad to identify the tasks at hand for the Republic of Korea’s government to respond to various scenarios on changes in circumstances on the Korean Peninsula. 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international standards, cases in other countries, and policy measures to consider when resolving the DPRK external debt issue, separating itself from previous ones in the following four features. First, it covers the estimates o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debt that the DPRK holds. Second, it delves into international rules on resolving debt. Third, it suggests means to relieve the external debt of DPRK under two different scenarios, one of which is when both Koreas are united, and the other where the two economies are integrated but not the countries themselves. And last but not least, it offers a systematic overview on tasks for both Koreas’ administrations once the DPRK initiates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and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Most of the related literature prior to 2020 covered the measures to relieve external debt of the North Korea postulating a situation where the two Koreas are united. In this study, however, a scenario where the two Koreas are united is briefly reviewed, with the primary focus placed on the premise of the two Koreas coexisting with economic cooperation in progress. The detail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First, Chapter 2 reviews all the statistics on the external debt of the DPRK. There are various sources of estimates on how much external debt the DPRK holds against its counterparts, showing different ranges and figures depending upon the source. This study aggregated statistics open to the public based upon the counterparts, sources and types of external debt. Chapter 3 covers the international rules that manage the relief/cancellation of public and private debt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laws on state succession. Chapter 4 examines cases abroad, categorizing the countries into three subgroups: ① countries in transition (Vietnam, Myanmar), ② united countries (Germany, Yemen), and ③ China. The case of China is extremely intriguing as it holds the largest claims against the DPRK and has become one of the biggest creditors for low-income and developing countries recently. This study, unlike the previous literature, takes China into account as one of the biggest creditors of the DPRK, a key variable to consider in the future. The final chapter, Chapter 5, discusses potential measures to relieve/cancel the DPRK’s external debt under two different scenarios for two Koreas’ geopolitical situation. It concludes with the policy tasks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bearing in mind two different scenarios of geopolitic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PRK external debt can vary depending o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negotiations of denuclearization, its gaining membership at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measures to relieve/cancel debt against China. First, if the DPRK finds itself in the transition process and tries to relieve the debt on its own, restoration of the US-DPRK relationship and joining the IMF will be prerequisites. This is because in order for the external debt to be rescheduled via the Paris or London Club, it is a must to go through programs imposed by the IMF. In order to do so, the US needs to lift its sanctions specifically prohibiting the DPRK from join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DPRK must be able to show its willingness to transform its country. Second, it is predicted that if the two Koreas are united under an extreme emergency, then it is most likely the Republic of Korea would succeed the external debt of the DPRK,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rules and practices. However, the magnitude of the debt that the administration would take on and measures on how to deal with them would hinge upon the Republic of Korea’s tactics towards its neighboring countries. This study substantiates that the DPRK’s external debt against China will be a major factor that would affect not only the process of relieving this debt but also on procurement of potential financial sources after it opens its economy. In light of recent examples of how China handled its claims against developing countries, it would be imperative to determine when to resolve the bilateral debt between China and DPRK with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the US-DPRK relationship. At that point, bilateral talks between the DPRK and China, which potentially would improve economic circumstances within DPRK thanks to a supply of new funds or drastic debt cancellation from China, would challenge the DPRK’s attempt to reinstate its status as a normal n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nsights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en there is significant progress in denuclearization of the DPRK and an attempt to normalize its relations with the rest of the world.","PeriodicalId":341686,"journal":{"name":"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Research Paper Series","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7-0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Issues and Tasks Regarding External Debt of the DPRK: Centering around International Rules and Cases Abroad)\",\"authors\":\"Yoojeong Choi, Halin Han\",\"doi\":\"10.2139/ssrn.3916575\",\"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북한은 세계 각국에 채무를 가지고 있지만 1984년 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이렇다 할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채무 이자 누적으로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2년에는 러시아가 북한의 구소련에 대한 대규모 채무를 개발 재원 전환 방식(Debt for Development)으로 탕감해 줌에 따라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2018~19년 북미 관계가 급속도로 진전된 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북한이 개혁개방의 의지를 피력하고, 북·미 관계가 전환점을 맞이하는 경우 북한의 대외 채무에 대한 논의 역시 급속도로 진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는 2021년 한반도의 당면 과제는 아니지만 한국이 중장기적으로 결국 직면하게 될 주요한 경제·외교적 사안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 현황을 파악하고, 대외 채무 관련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한반도 상황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하에서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 대외 채무 문제 현황과 관련 국제 규범, 해외 사례, 그리고 해소 방안 및 정책 대안을 새로운 관점에서 검토·모색하고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먼저, ① 북한의 대외 채무 규모 파악하고 ② 채무 해소에 관한 국제 규범을 살펴본 후 ③ 통일과 경제통합(남북한 공존)의 시나리오에 따른 북한 대외 채무 해결 방향 ④ 향후 북한의 체제전환과 남북한 경제통합 과정에서의 정책 과제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2010년대 후반까지 북한 대외 채무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통일과 국가 승계의 관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연구는 국가 승계를 다루기는 하지만, 국가 공존의 상황에서 야기되는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각 장별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장에서는 북한 대외 채무 현황과 통계를 살펴보았다. 그동안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온 북한의 대외 채무 규모를 다양한 통계 출처와 유형, 국가별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공적 채무와 상업 채무를 관장하는 국제 규범(파리클럽, 런던클럽)과 국가 승계에 대한 국제 법제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들과 달리 사례 연구 대상 국가들을 ① 체제전환국(베트남, 미얀마) ② 국가 통합(독일, 예멘) ③ 중국으로 유형화하여 살펴보았다. 그중에서도 대북 채권을 가장 많이 보유한 동시에 최근 저소득·개발도상국의 최대 채권자로 부상한 중국의 사례를 ‘채권국가’의 관점에서 살펴본 점이 이 연구의 차별성이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통일 혹은 남북한 공존 등과 같이 시나리오별 북한 대외 채무 문제 해결 방향과 이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종합하면, 북한 대외 채무 문제는 남북 관계의 변화 방향, 비핵화 논의의 진전과 북한의 국제금융기구 가입 여부, 대중국 채무 해소 방법에 따라 해결 방법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북한이 체제전환을 선언하고 자발적으로 대외 채무 해소를 시도하는 경우 대외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북·미 관계 정상화와 북한의 IMF 가입이 선결되어야 한다. 파리클럽과 런던클럽을 통한 다자간 채무 조정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IMF가 요구하는 개혁 프로그램 이행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때 북한이 IMF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적성국가의 국제금융기구 가입을 제한하는 미국의 제재가 해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의 적극적인 개혁 의지와 실질적 이행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급변사태로 인해 남북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국제 규범과 관례에 따라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 채무가 한국에 승계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그 규모와 처리 방식은 통일한국의 주변국 외교 전략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북한의 대중국 채무는 대외 채무 해소 과정뿐만 아니라, 개혁개방 이후 재원 조달에 있어서도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최근 중국이 개발도상국에 대한 채권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북·미 관계 정상화 과정에서 북·중 간의 채권·채무 관계가 어느 시점에, 또 어떻게 해결되느냐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때 북·중 양자 협상을 통해 중국의 채무 조정 혹은 대북 신규 차관이 북한의 경제 상황을 현격하게 개선하는 경우 북한의 대중국 채무는 북한의 국제사회 편입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남북 관계가 개선되고, 북핵 문제가 진전을 보이는 등 북한이 대외 관계 정상화를 통해 정상 국가화를 추진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우리 정부가 대북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주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nglish Abstrac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DPRK) holds external debt against the rest of the world yet has not made its position clear on how to repay this after declaring moratorium in 1984. The magnitude of the debt subject for repayment is increasing annually as the interest for arrears has accumulated. The issues regarding approaches that the DPRK would take in regards to repayment of its debt were raised when Russia relieved it from its duties for repayment of external debt against the former Soviet Union in 2012. In light of the situation in 2018 and 2019, when rapprochement between the DPRK and the United States was burgeoning, once the former shows its willingness to open its economy and to enter the phase of reformation,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the discussion on how to resolve the mounting external debt of DPRK would be expedited when US-DPRK relations enter this new phase. Against this background, the external debt of DPRK will likely be one of the primary diplomatic and economic matters facing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longer perspective, albeit not an imminent issue to be taken care of.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external debt incurred by the DPRK and international norms on how to manage this, as well as cases abroad to identify the tasks at hand for the Republic of Korea’s government to respond to various scenarios on changes in circumstances on the Korean Peninsula. 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international standards, cases in other countries, and policy measures to consider when resolving the DPRK external debt issue, separating itself from previous ones in the following four features. First, it covers the estimates o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debt that the DPRK holds. Second, it delves into international rules on resolving debt. Third, it suggests means to relieve the external debt of DPRK under two different scenarios, one of which is when both Koreas are united, and the other where the two economies are integrated but not the countries themselves. And last but not least, it offers a systematic overview on tasks for both Koreas’ administrations once the DPRK initiates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and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Most of the related literature prior to 2020 covered the measures to relieve external debt of the North Korea postulating a situation where the two Koreas are united. In this study, however, a scenario where the two Koreas are united is briefly reviewed, with the primary focus placed on the premise of the two Koreas coexisting with economic cooperation in progress. The detail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First, Chapter 2 reviews all the statistics on the external debt of the DPRK. There are various sources of estimates on how much external debt the DPRK holds against its counterparts, showing different ranges and figures depending upon the source. This study aggregated statistics open to the public based upon the counterparts, sources and types of external debt. Chapter 3 covers the international rules that manage the relief/cancellation of public and private debt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laws on state succession. Chapter 4 examines cases abroad, categorizing the countries into three subgroups: ① countries in transition (Vietnam, Myanmar), ② united countries (Germany, Yemen), and ③ China. The case of China is extremely intriguing as it holds the largest claims against the DPRK and has become one of the biggest creditors for low-income and developing countries recently. This study, unlike the previous literature, takes China into account as one of the biggest creditors of the DPRK, a key variable to consider in the future. The final chapter, Chapter 5, discusses potential measures to relieve/cancel the DPRK’s external debt under two different scenarios for two Koreas’ geopolitical situation. It concludes with the policy tasks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bearing in mind two different scenarios of geopolitic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PRK external debt can vary depending o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negotiations of denuclearization, its gaining membership at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measures to relieve/cancel debt against China. First, if the DPRK finds itself in the transition process and tries to relieve the debt on its own, restoration of the US-DPRK relationship and joining the IMF will be prerequisites. This is because in order for the external debt to be rescheduled via the Paris or London Club, it is a must to go through programs imposed by the IMF. In order to do so, the US needs to lift its sanctions specifically prohibiting the DPRK from join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DPRK must be able to show its willingness to transform its country. Second, it is predicted that if the two Koreas are united under an extreme emergency, then it is most likely the Republic of Korea would succeed the external debt of the DPRK,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rules and practices. However, the magnitude of the debt that the administration would take on and measures on how to deal with them would hinge upon the Republic of Korea’s tactics towards its neighboring countries. This study substantiates that the DPRK’s external debt against China will be a major factor that would affect not only the process of relieving this debt but also on procurement of potential financial sources after it opens its economy. In light of recent examples of how China handled its claims against developing countries, it would be imperative to determine when to resolve the bilateral debt between China and DPRK with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the US-DPRK relationship. At that point, bilateral talks between the DPRK and China, which potentially would improve economic circumstances within DPRK thanks to a supply of new funds or drastic debt cancellation from China, would challenge the DPRK’s attempt to reinstate its status as a normal n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nsights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en there is significant progress in denuclearization of the DPRK and an attempt to normalize its relations with the rest of the world.\",\"PeriodicalId\":341686,\"journal\":{\"name\":\"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Research Paper Series\",\"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7-0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Research Paper Ser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9165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Research Paper Ser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9165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Korean Abstract:北韩虽然对世界各国负有债务,但自1984年发表moratorium宣言后,没有表现出任何立场。由于债务利息累积,其规模呈现持续增加的趋势。2012年,俄罗斯通过开发财源转换方式(Debt for Development)减免了北韩对前苏联的大规模债务,因此,对北韩对外债务问题的关注程度进一步提高。从2018年至19年北美关系飞速发展的经验来看,如果北韩表现出改革开放的意志,朝美关系迎来转折点,关于北韩对外债务的讨论也可能会迅速取得进展。从这一点来看,北韩的对外债务问题虽然不是2021年韩半岛面临的课题,但却是韩国从中长期角度最终要面临的主要经济、外交问题。因此,该研究的目的在于,掌握北韩的对外债务问题现状,研究对外债务相关的国际规范和海外事例,在根据韩半岛状况变化的多种情况下,提出解决北韩对外债务问题的政策课题和方向。该研究从新的观点出发讨论和探索北韩对外债务问题的现状、相关国际规范、海外事例以及消除方案及政策对策,并综合提出相关内容,从这一点来看,与先行研究有所区别。首先,①掌握北韩的对外债务规模②关于消除债务的国际规范的观察后,③统一和经济一体化(南北韩共存)的剧本根据北韩对外债务方向④今后解决改制和南北韩经济一体化过程中的政策课题等,提出了知识系统地整理。到2010年后期为止,有关朝鲜对外债务的研究大部分都是从统一和国家继承的观点出发进行的,因此该研究虽然涉及国家继承,但重点是在国家共存的情况下引起的焦点问题。各章的具体内容如下:首先,在第2章观察了北韩对外债务现状和统计。对此前零星提出的北韩对外债务规模,按照各种统计出处和类型、国家分类进行了整理。在第三章中,我们观察了管理公共债务和商业债务的国际规范(巴黎俱乐部,伦敦俱乐部)和关于国家继承的国际法制。第四章进行案例研究。与现有的研究不同,将事例研究对象国家分类为“体制转换国(越南、缅甸)”、“国家统一(德国、也门)”、“中国”。其中,中国拥有最多的对朝债券,同时也是最近低收入、发展中国家的最大债权人。从“债权国家”的观点来看,这就是该研究的差别性。最后,在第5章中提出了统一或南北韩共存等不同情况下解决北韩对外债务问题的方向和为此的政策课题。综合研究结果,北韩对外债务问题的解决方法将根据南北关系的变化方向、无核化讨论的进展、北韩是否加入国际金融机构、消除对华债务的方法等不同而有所不同。首先,如果北韩宣布体制转换并主动试图解除对外债务,那么为了解决对外债务问题,首先应该实现朝美关系正常化并让北韩加入国际货币基金组织。因为,要想通过巴黎俱乐部和伦敦俱乐部享受多边债务调整优惠,必须履行IMF要求的改革计划。此时,北韩要想加入国际货币基金组织,必须解除美国限制敌对国家加入国际金融机构的制裁。为此,需要朝鲜积极的改革意志和实质性的履行。第二,如果因剧变事态实现南北统一,根据国际规范和惯例,北韩持有的债券和债务可能会由韩国继承。但是其规模和处理方式将根据统一韩国的周边国家外交战略来决定。由此可见,北韩的对华债务不仅在解除对外债务的过程中,而且在改革开放以后的财源筹措方面也是产生主要影响的因素。从中国最近处理对发展中国家债券的方式来看,在朝美关系正常化过程中,朝中之间的债券、债务关系在什么时候、如何解决将会产生不同的影响。据判断,如果通过朝中双边协商,中国的债务调整或对朝新贷款显着改善朝鲜的经济状况,朝鲜的对华债务将成为阻碍朝鲜编入国际社会的要素。本研究的结果将为韩国政府制定对北政策提供主要基础资料,以应对今后南北关系得到改善、北核问题取得进展等北韩通过对外关系正常化推进“正常国家化”的情况。english abstract:The Democratic People ' s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DPRK) holds external debt against The rest of The world yet has not made its position clear on how to repay this after declaring moratorium in1984. The magnitude of The debt subject for repayment is increasing annually as The interest for arrears has accumulated。The issues regarding approaches that The DPRK would take in regards to repayment of its debt were raised when Russia relieved it from its duties for repayment of external debt against The formersoviet union in 2012。In light of the situation In 2018 and 2019, when rapprochement between the DPRK and the United States was burgeoning,once the former shows its willingness to open its economy and to enter of reformation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the discussion on how to resolve the mounting external debt of DPRK would be expedited when US-DPRK relations enter this new phase。Against this background, the external debt of DPRK will likely be one of the primary diplomatic and economic matters facing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longer perspective;albeit not an imminent issue to be taken care of。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external debt incurred by the DPRK and international norms on how to manage this;as well as cases abroad to identify the tasks at hand for the Republic of Korea ' s government to respond to various scenarios on changes in circumstances on the Korean Peninsula。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international standards, cases in other countries, and policy measures to consider when resolving the DPRK external debt issue,separating itself from previous ones in the following four features。First, it covers the estimates o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debt that the DPRK holds。Second, it delves into international rules on resolving debt。Third, it suggests means to relieve the external debt of DPRK under two different scenarios, one of which is when both韩国are united,and the other where the two economies are integrated but not the countries themselves。And last but not leastit offers a systematic overview on tasks for both Koreas ' administrations once the DPRK initiates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and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Most of the related literature prior to 2020 covered the measures to relieve external debt of the North Korea postulating a situation where the two Koreas are united。In this study, however, a scenario where the two Koreas are united is briefly reviewed, with the primary focus placed on the premise of the two korea coexisting with economic cooperation In progress。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Issues and Tasks Regarding External Debt of the DPRK: Centering around International Rules and Cases Abroad)
Korean Abstract: 북한은 세계 각국에 채무를 가지고 있지만 1984년 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이렇다 할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채무 이자 누적으로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2년에는 러시아가 북한의 구소련에 대한 대규모 채무를 개발 재원 전환 방식(Debt for Development)으로 탕감해 줌에 따라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2018~19년 북미 관계가 급속도로 진전된 경험에 비추어 봤을 때, 북한이 개혁개방의 의지를 피력하고, 북·미 관계가 전환점을 맞이하는 경우 북한의 대외 채무에 대한 논의 역시 급속도로 진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는 2021년 한반도의 당면 과제는 아니지만 한국이 중장기적으로 결국 직면하게 될 주요한 경제·외교적 사안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 현황을 파악하고, 대외 채무 관련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한반도 상황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하에서 북한의 대외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 대외 채무 문제 현황과 관련 국제 규범, 해외 사례, 그리고 해소 방안 및 정책 대안을 새로운 관점에서 검토·모색하고 관련 내용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먼저, ① 북한의 대외 채무 규모 파악하고 ② 채무 해소에 관한 국제 규범을 살펴본 후 ③ 통일과 경제통합(남북한 공존)의 시나리오에 따른 북한 대외 채무 해결 방향 ④ 향후 북한의 체제전환과 남북한 경제통합 과정에서의 정책 과제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2010년대 후반까지 북한 대외 채무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통일과 국가 승계의 관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연구는 국가 승계를 다루기는 하지만, 국가 공존의 상황에서 야기되는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각 장별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장에서는 북한 대외 채무 현황과 통계를 살펴보았다. 그동안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온 북한의 대외 채무 규모를 다양한 통계 출처와 유형, 국가별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공적 채무와 상업 채무를 관장하는 국제 규범(파리클럽, 런던클럽)과 국가 승계에 대한 국제 법제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들과 달리 사례 연구 대상 국가들을 ① 체제전환국(베트남, 미얀마) ② 국가 통합(독일, 예멘) ③ 중국으로 유형화하여 살펴보았다. 그중에서도 대북 채권을 가장 많이 보유한 동시에 최근 저소득·개발도상국의 최대 채권자로 부상한 중국의 사례를 ‘채권국가’의 관점에서 살펴본 점이 이 연구의 차별성이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통일 혹은 남북한 공존 등과 같이 시나리오별 북한 대외 채무 문제 해결 방향과 이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를 종합하면, 북한 대외 채무 문제는 남북 관계의 변화 방향, 비핵화 논의의 진전과 북한의 국제금융기구 가입 여부, 대중국 채무 해소 방법에 따라 해결 방법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북한이 체제전환을 선언하고 자발적으로 대외 채무 해소를 시도하는 경우 대외 채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북·미 관계 정상화와 북한의 IMF 가입이 선결되어야 한다. 파리클럽과 런던클럽을 통한 다자간 채무 조정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IMF가 요구하는 개혁 프로그램 이행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때 북한이 IMF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적성국가의 국제금융기구 가입을 제한하는 미국의 제재가 해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의 적극적인 개혁 의지와 실질적 이행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급변사태로 인해 남북 통일이 이루어지는 경우 국제 규범과 관례에 따라 북한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 채무가 한국에 승계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그 규모와 처리 방식은 통일한국의 주변국 외교 전략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북한의 대중국 채무는 대외 채무 해소 과정뿐만 아니라, 개혁개방 이후 재원 조달에 있어서도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최근 중국이 개발도상국에 대한 채권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북·미 관계 정상화 과정에서 북·중 간의 채권·채무 관계가 어느 시점에, 또 어떻게 해결되느냐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때 북·중 양자 협상을 통해 중국의 채무 조정 혹은 대북 신규 차관이 북한의 경제 상황을 현격하게 개선하는 경우 북한의 대중국 채무는 북한의 국제사회 편입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남북 관계가 개선되고, 북핵 문제가 진전을 보이는 등 북한이 대외 관계 정상화를 통해 정상 국가화를 추진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우리 정부가 대북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주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nglish Abstrac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DPRK) holds external debt against the rest of the world yet has not made its position clear on how to repay this after declaring moratorium in 1984. The magnitude of the debt subject for repayment is increasing annually as the interest for arrears has accumulated. The issues regarding approaches that the DPRK would take in regards to repayment of its debt were raised when Russia relieved it from its duties for repayment of external debt against the former Soviet Union in 2012. In light of the situation in 2018 and 2019, when rapprochement between the DPRK and the United States was burgeoning, once the former shows its willingness to open its economy and to enter the phase of reformation,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the discussion on how to resolve the mounting external debt of DPRK would be expedited when US-DPRK relations enter this new phase. Against this background, the external debt of DPRK will likely be one of the primary diplomatic and economic matters facing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longer perspective, albeit not an imminent issue to be taken care of.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external debt incurred by the DPRK and international norms on how to manage this, as well as cases abroad to identify the tasks at hand for the Republic of Korea’s government to respond to various scenarios on changes in circumstances on the Korean Peninsula. 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international standards, cases in other countries, and policy measures to consider when resolving the DPRK external debt issue, separating itself from previous ones in the following four features. First, it covers the estimates o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debt that the DPRK holds. Second, it delves into international rules on resolving debt. Third, it suggests means to relieve the external debt of DPRK under two different scenarios, one of which is when both Koreas are united, and the other where the two economies are integrated but not the countries themselves. And last but not least, it offers a systematic overview on tasks for both Koreas’ administrations once the DPRK initiates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and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Most of the related literature prior to 2020 covered the measures to relieve external debt of the North Korea postulating a situation where the two Koreas are united. In this study, however, a scenario where the two Koreas are united is briefly reviewed, with the primary focus placed on the premise of the two Koreas coexisting with economic cooperation in progress. The detail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First, Chapter 2 reviews all the statistics on the external debt of the DPRK. There are various sources of estimates on how much external debt the DPRK holds against its counterparts, showing different ranges and figures depending upon the source. This study aggregated statistics open to the public based upon the counterparts, sources and types of external debt. Chapter 3 covers the international rules that manage the relief/cancellation of public and private debt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laws on state succession. Chapter 4 examines cases abroad, categorizing the countries into three subgroups: ① countries in transition (Vietnam, Myanmar), ② united countries (Germany, Yemen), and ③ China. The case of China is extremely intriguing as it holds the largest claims against the DPRK and has become one of the biggest creditors for low-income and developing countries recently. This study, unlike the previous literature, takes China into account as one of the biggest creditors of the DPRK, a key variable to consider in the future. The final chapter, Chapter 5, discusses potential measures to relieve/cancel the DPRK’s external debt under two different scenarios for two Koreas’ geopolitical situation. It concludes with the policy tasks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bearing in mind two different scenarios of geopolitic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PRK external debt can vary depending o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negotiations of denuclearization, its gaining membership at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measures to relieve/cancel debt against China. First, if the DPRK finds itself in the transition process and tries to relieve the debt on its own, restoration of the US-DPRK relationship and joining the IMF will be prerequisites. This is because in order for the external debt to be rescheduled via the Paris or London Club, it is a must to go through programs imposed by the IMF. In order to do so, the US needs to lift its sanctions specifically prohibiting the DPRK from join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DPRK must be able to show its willingness to transform its country. Second, it is predicted that if the two Koreas are united under an extreme emergency, then it is most likely the Republic of Korea would succeed the external debt of the DPRK,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rules and practices. However, the magnitude of the debt that the administration would take on and measures on how to deal with them would hinge upon the Republic of Korea’s tactics towards its neighboring countries. This study substantiates that the DPRK’s external debt against China will be a major factor that would affect not only the process of relieving this debt but also on procurement of potential financial sources after it opens its economy. In light of recent examples of how China handled its claims against developing countries, it would be imperative to determine when to resolve the bilateral debt between China and DPRK with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the US-DPRK relationship. At that point, bilateral talks between the DPRK and China, which potentially would improve economic circumstances within DPRK thanks to a supply of new funds or drastic debt cancellation from China, would challenge the DPRK’s attempt to reinstate its status as a normal n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nsights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en there is significant progress in denuclearization of the DPRK and an attempt to normalize its relations with the rest of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