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清代山东书院铭文的结构与文化意蕴","authors":"An Peung Seo, Heung Min Noh","doi":"10.15186/ikc.2022.12.31.02","DOIUrl":null,"url":null,"abstract":"This article examines the constitutional structure of more than 100 inscriptions on Shandong Academy in Qing Dynasty, and reveals that there is a similar writing pattern among them: the author first cites the teachings of the former kings, and regards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y as a grand event to inherit the legacy of the three generations, and its significance is highlighted ; Then the author puts his brushwork on the tradition of a place, the mountains and rivers are so beautiful, the predecessors are so outstanding, how can the future generations be left alone, the rise of the academy is an act of reviving the humanities; Hard work, it is imperative to create an academy, but its creation is not easy, so future generations should not fall into their careers, and follow things to increase ; Finally, the author expresses his desir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To explore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is similar writing mode, we must return to the outstanding stylistic features of the stele, that is, the inscription, materiality and display presented on the stele. It seems to be a kind of “solid”·Writing writings that are expected to be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they are produced in a rich context : In Shandong, which has rich cultural accumulation, it is an academy for cultivating talents; it was formed through the hands of local officials or local scribes; it is preserved in local chronicles such as art and literature records, school records, political and educational records, construction records, document records and historical site records. Each of them The background or related measures endow the inscription with special cultural and literary meaning , showing the cultural heritage and “local scenery” in the clu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n \n본고에서는 백여 편에 달하는 청대 산동서원 비문의 구성 체계를 검토해봄으로써 그 가운데 존재하는 유사한 문장 양식을 도출해볼 것이다. 우선, 비문의 작자는 선왕(先王)의 가르침을 열거하면서 서원의 창건이 삼대(三代)의 유산을 전승하는 성대한 행사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작자는 필촉(筆觸)을 한 점에 두는 전통에 입각하여, ‘산천(山川)이 이처럼 영명하고, 고대 현인들이 이처럼 훌륭하니, 후손들이 어찌 이 장소를 방치할 수 있겠는가, 서원의 부흥이 바로 인문(人文)을 중흥하는 일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또 그는 당면한 현실에대해 묘사하면서, 사인(士人)들이 과거를 준비하는 데 노고가 많으니 반드시서원을 창건, 수복하여 세(勢)를 회복하여야만 하는데, 이것은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므로 후손들이 마땅히 그 업무를 놓지 않고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고말한다. 마지막으로, 작자는 인문(人文) 부흥이라는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상호 유사한 문장 양식의 형성 근거를 탐구하려면, 반드시 비문에 드러나는 문체 특징을 검토하여야만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비석에 드러난 각명(刻銘)의 특징이자 고유한 물질성, 표현성이라 할 수 있다. 서원의 비문은 일종의 ‘견고함’을 특징으로 가지며, 후대에 전승되길 바라는 의도가 담긴 문자작품인 것으로 보인다. 비문은 지방 관원 또는 현지 선비들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보통 지방지의 예문지(藝文志), 학교지(學校志), 정교지(政敎志), 영건지(營建志), 문헌지(文獻志), 고적지(古跡志) 속에 많이 보존되어 있다. 각 비문의배경 혹은 이에 관련된 조치들은 모두 비문에 대하여 특별한 문화적, 문학적의미를 부여한다. 그것은 과거, 현재, 미래의 연속선 상에서 문화적 함의와“현지의 분위기”를 드러낸다.","PeriodicalId":255388,"journal":{"name":"Institute of Korean Cultural Studies Yeungnam University","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2-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Structure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Inscriptions of Shandong Academy in the Qing Dynasty\",\"authors\":\"An Peung Seo, Heung Min Noh\",\"doi\":\"10.15186/ikc.2022.12.31.02\",\"DOIUrl\":null,\"url\":null,\"abstract\":\"This article examines the constitutional structure of more than 100 inscriptions on Shandong Academy in Qing Dynasty, and reveals that there is a similar writing pattern among them: the author first cites the teachings of the former kings, and regards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y as a grand event to inherit the legacy of the three generations, and its significance is highlighted ; Then the author puts his brushwork on the tradition of a place, the mountains and rivers are so beautiful, the predecessors are so outstanding, how can the future generations be left alone, the rise of the academy is an act of reviving the humanities; Hard work, it is imperative to create an academy, but its creation is not easy, so future generations should not fall into their careers, and follow things to increase ; Finally, the author expresses his desir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To explore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is similar writing mode, we must return to the outstanding stylistic features of the stele, that is, the inscription, materiality and display presented on the stele. It seems to be a kind of “solid”·Writing writings that are expected to be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they are produced in a rich context : In Shandong, which has rich cultural accumulation, it is an academy for cultivating talents; it was formed through the hands of local officials or local scribes; it is preserved in local chronicles such as art and literature records, school records, political and educational records, construction records, document records and historical site records. Each of them The background or related measures endow the inscription with special cultural and literary meaning , showing the cultural heritage and “local scenery” in the clu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n \\n본고에서는 백여 편에 달하는 청대 산동서원 비문의 구성 체계를 검토해봄으로써 그 가운데 존재하는 유사한 문장 양식을 도출해볼 것이다. 우선, 비문의 작자는 선왕(先王)의 가르침을 열거하면서 서원의 창건이 삼대(三代)의 유산을 전승하는 성대한 행사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작자는 필촉(筆觸)을 한 점에 두는 전통에 입각하여, ‘산천(山川)이 이처럼 영명하고, 고대 현인들이 이처럼 훌륭하니, 후손들이 어찌 이 장소를 방치할 수 있겠는가, 서원의 부흥이 바로 인문(人文)을 중흥하는 일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또 그는 당면한 현실에대해 묘사하면서, 사인(士人)들이 과거를 준비하는 데 노고가 많으니 반드시서원을 창건, 수복하여 세(勢)를 회복하여야만 하는데, 이것은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므로 후손들이 마땅히 그 업무를 놓지 않고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고말한다. 마지막으로, 작자는 인문(人文) 부흥이라는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상호 유사한 문장 양식의 형성 근거를 탐구하려면, 반드시 비문에 드러나는 문체 특징을 검토하여야만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비석에 드러난 각명(刻銘)의 특징이자 고유한 물질성, 표현성이라 할 수 있다. 서원의 비문은 일종의 ‘견고함’을 특징으로 가지며, 후대에 전승되길 바라는 의도가 담긴 문자작품인 것으로 보인다. 비문은 지방 관원 또는 현지 선비들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보통 지방지의 예문지(藝文志), 학교지(學校志), 정교지(政敎志), 영건지(營建志), 문헌지(文獻志), 고적지(古跡志) 속에 많이 보존되어 있다. 각 비문의배경 혹은 이에 관련된 조치들은 모두 비문에 대하여 특별한 문화적, 문학적의미를 부여한다. 그것은 과거, 현재, 미래의 연속선 상에서 문화적 함의와“현지의 분위기”를 드러낸다.\",\"PeriodicalId\":255388,\"journal\":{\"name\":\"Institute of Korean Cultural Studies Yeungnam University\",\"volume\":\"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2-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stitute of Korean Cultural Studies Yeungnam Universi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6/ikc.2022.12.31.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stitute of Korean Cultural Studies Yeungnam Universi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6/ikc.2022.12.31.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Structure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Inscriptions of Shandong Academy in the Qing Dynasty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stitutional structure of more than 100 inscriptions on Shandong Academy in Qing Dynasty, and reveals that there is a similar writing pattern among them: the author first cites the teachings of the former kings, and regards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y as a grand event to inherit the legacy of the three generations, and its significance is highlighted ; Then the author puts his brushwork on the tradition of a place, the mountains and rivers are so beautiful, the predecessors are so outstanding, how can the future generations be left alone, the rise of the academy is an act of reviving the humanities; Hard work, it is imperative to create an academy, but its creation is not easy, so future generations should not fall into their careers, and follow things to increase ; Finally, the author expresses his desir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To explore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is similar writing mode, we must return to the outstanding stylistic features of the stele, that is, the inscription, materiality and display presented on the stele. It seems to be a kind of “solid”·Writing writings that are expected to be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they are produced in a rich context : In Shandong, which has rich cultural accumulation, it is an academy for cultivating talents; it was formed through the hands of local officials or local scribes; it is preserved in local chronicles such as art and literature records, school records, political and educational records, construction records, document records and historical site records. Each of them The background or related measures endow the inscription with special cultural and literary meaning , showing the cultural heritage and “local scenery” in the clu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본고에서는 백여 편에 달하는 청대 산동서원 비문의 구성 체계를 검토해봄으로써 그 가운데 존재하는 유사한 문장 양식을 도출해볼 것이다. 우선, 비문의 작자는 선왕(先王)의 가르침을 열거하면서 서원의 창건이 삼대(三代)의 유산을 전승하는 성대한 행사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작자는 필촉(筆觸)을 한 점에 두는 전통에 입각하여, ‘산천(山川)이 이처럼 영명하고, 고대 현인들이 이처럼 훌륭하니, 후손들이 어찌 이 장소를 방치할 수 있겠는가, 서원의 부흥이 바로 인문(人文)을 중흥하는 일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또 그는 당면한 현실에대해 묘사하면서, 사인(士人)들이 과거를 준비하는 데 노고가 많으니 반드시서원을 창건, 수복하여 세(勢)를 회복하여야만 하는데, 이것은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니므로 후손들이 마땅히 그 업무를 놓지 않고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고말한다. 마지막으로, 작자는 인문(人文) 부흥이라는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상호 유사한 문장 양식의 형성 근거를 탐구하려면, 반드시 비문에 드러나는 문체 특징을 검토하여야만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비석에 드러난 각명(刻銘)의 특징이자 고유한 물질성, 표현성이라 할 수 있다. 서원의 비문은 일종의 ‘견고함’을 특징으로 가지며, 후대에 전승되길 바라는 의도가 담긴 문자작품인 것으로 보인다. 비문은 지방 관원 또는 현지 선비들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보통 지방지의 예문지(藝文志), 학교지(學校志), 정교지(政敎志), 영건지(營建志), 문헌지(文獻志), 고적지(古跡志) 속에 많이 보존되어 있다. 각 비문의배경 혹은 이에 관련된 조치들은 모두 비문에 대하여 특별한 문화적, 문학적의미를 부여한다. 그것은 과거, 현재, 미래의 연속선 상에서 문화적 함의와“현지의 분위기”를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