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Moon, W. J. Cho, D. Lim, Seung Baik, J. Rho, C. Kim, D. Jang
{"title":"女性压力性尿失禁无张力阴道胶带术后排尿功能障碍的非手术治疗。","authors":"H. Moon, W. J. Cho, D. Lim, Seung Baik, J. Rho, C. Kim, D. Jang","doi":"10.5213/JKCS.2005.9.1.46","DOIUrl":null,"url":null,"abstract":"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지 46 Ulmstein 등 (1)이 1996년에 소개한 tension-free vaginal tape (TVT)은 최소침습적인 술식으로 국소마취하도에 시행할 수 있고 조기에 일상생활로 복귀가 가능하며 또한 성공률 과 만족도가 높아 복압성 요실금에 가장 효과적인 수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복압성 요실금 치료 술식처럼 TVT술식에서도 술 후 배뇨곤란 합병증이 1.5∼10%로 보고 되고 있다 (2). TVT술식 후 배뇨곤란의 치료는 다양하게 보 고되고 있는데, TVT술식 후 배뇨장애 환자에게 12일까지 단지 도뇨관 삽입한 경우, 알파교감신경억제제나 항콜린성 약제를 증상에 따라 단독 혹은 혼합 투여와 깨끗한 간혈적 도뇨를 실시한 경우, 배뇨곤란을 장기간 경과 관찰 또는 Hegar 확장기로 요도와 요도주위를 이완하는 것으로는 증 상이 호전되지 않아서 테이프를 이완하거나 절제하는 등의 추가적인 교정수술을 시행해야 할 경우가 있다 (1-5). 이에 저자들은 TVT 술식 후 나타난 배뇨곤란을 요도확장기 (urethral sound)를 이용하여 치료한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 고한다.","PeriodicalId":231333,"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Continence Society","volume":"15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5-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Non-surgical Treatment of Voiding Dysfunction Following Tension-Free Vaginal Tape Procedure in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authors\":\"H. Moon, W. J. Cho, D. Lim, Seung Baik, J. Rho, C. Kim, D. Jang\",\"doi\":\"10.5213/JKCS.2005.9.1.46\",\"DOIUrl\":null,\"url\":null,\"abstract\":\"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지 46 Ulmstein 등 (1)이 1996년에 소개한 tension-free vaginal tape (TVT)은 최소침습적인 술식으로 국소마취하도에 시행할 수 있고 조기에 일상생활로 복귀가 가능하며 또한 성공률 과 만족도가 높아 복압성 요실금에 가장 효과적인 수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복압성 요실금 치료 술식처럼 TVT술식에서도 술 후 배뇨곤란 합병증이 1.5∼10%로 보고 되고 있다 (2). TVT술식 후 배뇨곤란의 치료는 다양하게 보 고되고 있는데, TVT술식 후 배뇨장애 환자에게 12일까지 단지 도뇨관 삽입한 경우, 알파교감신경억제제나 항콜린성 약제를 증상에 따라 단독 혹은 혼합 투여와 깨끗한 간혈적 도뇨를 실시한 경우, 배뇨곤란을 장기간 경과 관찰 또는 Hegar 확장기로 요도와 요도주위를 이완하는 것으로는 증 상이 호전되지 않아서 테이프를 이완하거나 절제하는 등의 추가적인 교정수술을 시행해야 할 경우가 있다 (1-5). 이에 저자들은 TVT 술식 후 나타난 배뇨곤란을 요도확장기 (urethral sound)를 이용하여 치료한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 고한다.\",\"PeriodicalId\":231333,\"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Continence Society\",\"volume\":\"15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5-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Continence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13/JKCS.2005.9.1.4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Continence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13/JKCS.2005.9.1.4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Non-surgical Treatment of Voiding Dysfunction Following Tension-Free Vaginal Tape Procedure in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지 46 Ulmstein 등 (1)이 1996년에 소개한 tension-free vaginal tape (TVT)은 최소침습적인 술식으로 국소마취하도에 시행할 수 있고 조기에 일상생활로 복귀가 가능하며 또한 성공률 과 만족도가 높아 복압성 요실금에 가장 효과적인 수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복압성 요실금 치료 술식처럼 TVT술식에서도 술 후 배뇨곤란 합병증이 1.5∼10%로 보고 되고 있다 (2). TVT술식 후 배뇨곤란의 치료는 다양하게 보 고되고 있는데, TVT술식 후 배뇨장애 환자에게 12일까지 단지 도뇨관 삽입한 경우, 알파교감신경억제제나 항콜린성 약제를 증상에 따라 단독 혹은 혼합 투여와 깨끗한 간혈적 도뇨를 실시한 경우, 배뇨곤란을 장기간 경과 관찰 또는 Hegar 확장기로 요도와 요도주위를 이완하는 것으로는 증 상이 호전되지 않아서 테이프를 이완하거나 절제하는 등의 추가적인 교정수술을 시행해야 할 경우가 있다 (1-5). 이에 저자들은 TVT 술식 후 나타난 배뇨곤란을 요도확장기 (urethral sound)를 이용하여 치료한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 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