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Post-Brexit EU System: Forecast and Policy Implications)","authors":"Dong Hee Joe, Cheol-won Lee, Tae-Hyun Oh, Hyun Jean Lee, You-Jin Lim","doi":"10.2139/ssrn.3147531","DOIUrl":null,"url":null,"abstract":"The UK's decision to leave the EU (European Union) has put the Union in an unprecedented crisis. The exit per se of such a large member state in both economic and population size is causing turmoil, and the accumulated discontent towards the current system of the EU during the euro-area sovereign debt crisis and refugee crisis has come to the fore due to Brexit. Backed by this discontent, political forces arguing for their own countries' exit from the Union have also risen in other member states, and heads of governments of other major member states and EU institutions are rushing to propose reforms to the current system. The deepening and extending of the European integration since the creation of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for peace and prosperity in Europe right after the World War Ⅱ is put on break, and the uncertainty on the future shape of the EU has risen to an unprecedented level. This uncertainty is likely to cause troubles not only to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but also to third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in long-term decision makings at the levels of business, consumer and government, due to the Union's importance in world economy and international trade.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port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of the EU, forecasts its future shape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government. 영국의 탈퇴 결정으로 EU(European Union, 유럽연합)는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인구 및 경제 규모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회원국의 탈퇴 자체가 가져오는 혼란뿐만 아니라, 유로지역 재정위기, 난민사태 등을 겪으며 쌓여온 EU 체제에 대한 불만이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를 계기로 표면화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만을 등에 업고 자국의 EU 탈퇴를 주장하는 정치세력들이 영국 외 EU 회원국들에서도 발호하였고, 주요 회원국 정상들과 EU 기관들은 현행 EU 체제에 대한 개혁안을 앞다투어 제시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유럽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설립된 유럽석탄철강공동체를 시작으로 줄곧 심화와 확대를 추구해온 유럽통합에 심각한 제동이 걸렸고, EU 체제의 미래가 어느 때보다 불확실해진 상황이다. EU 체제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당사자인 EU 및 회원국들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와 국제무역에서 EU가 차지하는 높은 비중으로 인해 우리나라와 같은 제3국에도 기업, 소비자, 정부 등의 장기적인 의사결정에 큰 어려움을 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보고서는 브렉시트를 계기로 표면화된 현행 EU 체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브렉시트 이후 EU 체제의 미래를 전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 정부를 위한 정책시사점을 도출한다.","PeriodicalId":296326,"journal":{"name":"International Institutions: European Union eJournal","volume":"19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27","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브렉시트 이후 EU 체제의 전망과 정책시사점 (Post-Brexit EU System: Forecast and Policy Implications)\",\"authors\":\"Dong Hee Joe, Cheol-won Lee, Tae-Hyun Oh, Hyun Jean Lee, You-Jin Lim\",\"doi\":\"10.2139/ssrn.3147531\",\"DOIUrl\":null,\"url\":null,\"abstract\":\"The UK's decision to leave the EU (European Union) has put the Union in an unprecedented crisis. The exit per se of such a large member state in both economic and population size is causing turmoil, and the accumulated discontent towards the current system of the EU during the euro-area sovereign debt crisis and refugee crisis has come to the fore due to Brexit. Backed by this discontent, political forces arguing for their own countries' exit from the Union have also risen in other member states, and heads of governments of other major member states and EU institutions are rushing to propose reforms to the current system. The deepening and extending of the European integration since the creation of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for peace and prosperity in Europe right after the World War Ⅱ is put on break, and the uncertainty on the future shape of the EU has risen to an unprecedented level. This uncertainty is likely to cause troubles not only to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but also to third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in long-term decision makings at the levels of business, consumer and government, due to the Union's importance in world economy and international trade.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port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of the EU, forecasts its future shape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government. 영국의 탈퇴 결정으로 EU(European Union, 유럽연합)는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인구 및 경제 규모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회원국의 탈퇴 자체가 가져오는 혼란뿐만 아니라, 유로지역 재정위기, 난민사태 등을 겪으며 쌓여온 EU 체제에 대한 불만이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를 계기로 표면화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만을 등에 업고 자국의 EU 탈퇴를 주장하는 정치세력들이 영국 외 EU 회원국들에서도 발호하였고, 주요 회원국 정상들과 EU 기관들은 현행 EU 체제에 대한 개혁안을 앞다투어 제시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유럽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설립된 유럽석탄철강공동체를 시작으로 줄곧 심화와 확대를 추구해온 유럽통합에 심각한 제동이 걸렸고, EU 체제의 미래가 어느 때보다 불확실해진 상황이다. EU 체제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당사자인 EU 및 회원국들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와 국제무역에서 EU가 차지하는 높은 비중으로 인해 우리나라와 같은 제3국에도 기업, 소비자, 정부 등의 장기적인 의사결정에 큰 어려움을 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보고서는 브렉시트를 계기로 표면화된 현행 EU 체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브렉시트 이후 EU 체제의 미래를 전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 정부를 위한 정책시사점을 도출한다.\",\"PeriodicalId\":296326,\"journal\":{\"name\":\"International Institutions: European Union eJournal\",\"volume\":\"19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27\",\"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ternational Institutions: European Union e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1475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ternational Institutions: European Union e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1475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브렉시트 이후 EU 체제의 전망과 정책시사점 (Post-Brexit EU System: Forecast and Policy Implications)
The UK's decision to leave the EU (European Union) has put the Union in an unprecedented crisis. The exit per se of such a large member state in both economic and population size is causing turmoil, and the accumulated discontent towards the current system of the EU during the euro-area sovereign debt crisis and refugee crisis has come to the fore due to Brexit. Backed by this discontent, political forces arguing for their own countries' exit from the Union have also risen in other member states, and heads of governments of other major member states and EU institutions are rushing to propose reforms to the current system. The deepening and extending of the European integration since the creation of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for peace and prosperity in Europe right after the World War Ⅱ is put on break, and the uncertainty on the future shape of the EU has risen to an unprecedented level. This uncertainty is likely to cause troubles not only to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but also to third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in long-term decision makings at the levels of business, consumer and government, due to the Union's importance in world economy and international trade.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port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of the EU, forecasts its future shape and derive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government. 영국의 탈퇴 결정으로 EU(European Union, 유럽연합)는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인구 및 경제 규모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회원국의 탈퇴 자체가 가져오는 혼란뿐만 아니라, 유로지역 재정위기, 난민사태 등을 겪으며 쌓여온 EU 체제에 대한 불만이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를 계기로 표면화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만을 등에 업고 자국의 EU 탈퇴를 주장하는 정치세력들이 영국 외 EU 회원국들에서도 발호하였고, 주요 회원국 정상들과 EU 기관들은 현행 EU 체제에 대한 개혁안을 앞다투어 제시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유럽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설립된 유럽석탄철강공동체를 시작으로 줄곧 심화와 확대를 추구해온 유럽통합에 심각한 제동이 걸렸고, EU 체제의 미래가 어느 때보다 불확실해진 상황이다. EU 체제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당사자인 EU 및 회원국들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와 국제무역에서 EU가 차지하는 높은 비중으로 인해 우리나라와 같은 제3국에도 기업, 소비자, 정부 등의 장기적인 의사결정에 큰 어려움을 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보고서는 브렉시트를 계기로 표면화된 현행 EU 체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브렉시트 이후 EU 체제의 미래를 전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 정부를 위한 정책시사점을 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