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nsu Kang, Min-Ja Jeong, Soo Hyun Moon, Kyu Tae Park
{"title":"比较土地制度特性对农业生产的影响:以埃塞俄比亚和马拉维为中心(Land Tenure Security, Institution and Agricultural Production: Evidence from Ethiopia and Malawi)","authors":"Munsu Kang, Min-Ja Jeong, Soo Hyun Moon, Kyu Tae Park","doi":"10.2139/ssrn.3906443","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토지는 단순한 재산의 개념을 넘는,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산이다. 그러나 식민지 경험에 따른 성문법과 관습법의 혼재, 지역 지도자의 토지 분배 권한, 급격한 인구 증가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의 토지 소유는 농업 생산성, 노동 및 농자재 투자 등 농가 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국제 사회의 원조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농업 분야 ODA 지원에 대한 원조 효과성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고 있다. 특히 마푸토(Maputo) 선언과 말라보(Malabo) 선언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지 이용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OECD/DAC 공여국들은 농업 자원 부문에 대한 원조를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그러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토지제도 및 소유권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면서도 국제 사회의 농업 분야 ODA 원조 효과성 평가에 있어 토지 소유가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농업 지원 효과가 토지소유권의 상이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농업 분야 ODA 사업 효과성에 있어 토지소유권 인식의 중요성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2개국의 토지제도 비교 및 토지소유권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대표적인 농업 국가이며 농민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국 정부의 비료 및 종자 지원 등 농민 대상 지원이 활발하다. 특히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양국은 옥수수 농가를 대상으로 한 비료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대표적인 국가들이며 비료 지원을 받은 농가도 전체 농가의 20%를 상회한다. 그러므로 2개국의 농업 지원 정책이 토지소유권에 의해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에 적절하다. 둘째, 국제 사회의 농업 분야 원조 규모 또한 큰 편이다. 대(對)에티오피아·말라위 농업 분야 원조 규모가 큰 국가는 대표적으로 미국, 영국 등이 있으며 특히 농지 자원에 대한 원조 규모가 공여금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한국의 중점협력국이며 농촌 개발에 대한 우리나라의 원조 규모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정부의 농업 지원 정책 효과성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원조 공여국의 농업 분야에 대한 지원 규모 역시 크기 때문에 농업 분야 ODA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도 함께 제공하기 용이하다. 셋째, 말라위가 아프리카 내 영국 식민지를 겪었던 아프리카 영어권 국가들과 비슷하게 영국식 토지제도가 정착되어 있는 국가라면 에티오피아는 토지 국유화 및 국가 중심의 재분배 정책을 실시한 국가이기 때문에 양국간 토지제도의 상이성과 농업 생산의 영향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다. 특히 말라위가 영국식 성문법과 기존의 관습법이 혼재되어 있는 토지제도를 가지고 있다면 에티오피아는 가족 간 상속만 허용하고 그 외의 매매를 통한 토지 이전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토지 취득 경로나 매매 권한에 따른 농가의 행위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각 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의 농업 정책과 토지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양국은 옥수수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한 농자재 지원 정책을 펼쳐 왔으며 비료 지원 사업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그러나 에티오피아가 신용 대출의 형태로 비료를 지원한 반면 말라위는 쿠폰 형태의 현물 지원 정책을 펼쳤다.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각국의 토지제도가 수립된 배경, 역사 및 농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각국의 토지제도가 수립된 배경에 대해 중점적으로 서술하고 있는데, 에티오피아의 토지 국유화 및 재분배 정책, 말라위 정부의 관습법상 토지 분배 정책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토지 국유화 및 정부 주도적 재분배 정책으로 1인당 토지 보유 면적이 급격하게 감소했으며 토지 보유에 대한 불안정성으로 농가의 소극적인 투자가 지속되면서 농업 생산성이 감소하였다. 말라위는 관습법에 의해 토지가 재분배되고 있어 지역 지도자의 권력이 절대적이며 지역 내 이주민의 경우 토지를 구매 혹은 이전받지 못해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정부 모두 여성에 차별적인 토지 정책을 시행하면서 토지 상속, 증여, 매매 등 소유권 이전에 있어 여성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여성의 토지소유권이 보장되지 않아 경제활동에 있어서도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의 농업 분야 ODA 수원 현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농업 분야 ODA의 경우 각국에 가장 많은 지원을 하는 공여국은 미국과 영국이다. 에티오피아가 중점협력국인 한국의 경우 에티오피아에 농업 및 지역 개발 ODA 규모가 크지만 중점협력국이 아닌 대(對)말라위 ODA 사업 규모는 매우 미미하다. 우리나라는 다른 공여국과 달리 아프리카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한 지역 개발 ODA 원조 규모가 큰 편이며 농업 생산에 대해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의 공여국이 기여하는 비중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제4장에서는 토지소유권이 정부 비료·종자 지원을 받은 농가의 농업 활동 및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세계은행 LSMS-ISA 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 토지 취득 경로와 토지에 대한 매매 권한 보유 여부 등 2가지 변수를 토지소유권 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지원을 받았더라도 토지소유권이 다른 집단 간 노동 투입과 농업 생산성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지 취득 경로보다는 토지에 대한 매매 권한 보유 여부가 농가의 의사결정 및 생산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Besley(1995)가 주장한 토지소유권에 있어 매매 권한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제도적으로 여성이 차별적인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지의 소유권 자체가 정부 지원을 받은 농가 간 생산성이나 노동 공급 결정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다만 정부 지원을 받지 않은 농가의 경우, 여성 세대주와 남성 세대주 간 차이가 소유권 체계에 의해 발생하고 있어 추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제4장의 결과를 토대로 농업 분야 ODA 사업의 효과성 분석에 있어 토지소유권 체계와 토지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ODA 사업 자체에 대한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설문 조사를 하는 경향에서 벗어나 수원국 수혜자들의 토지소유권, 여성의 의사결정권 등에 대한 추가적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는 것이 개발원조 효과성 측정에 있어 평균적인 효과가 가지는 맹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지소유권과 제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 특유의 제도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English Abstract: The importance of land in the sub-Saharan Africa is necessary for survival beyond the concept as a simply real estate. However, due to factors such as land institution from colonial experience, instability in political systems, and rapid population growth in rural areas, land ownership in rural area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such as productivity, labor and input investment. Ethiopia and Malawi are commonly known as agricultural countries, and the global donor’s contribution to the agricultural sector is also large. However, land in Ethiopia is controlled by the state and Malawi has a land system that was mixed with British colonial law and traditional common law. Meanwhile, as the siz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continues to increase, discussions continue on the effectiveness of ODA support in the agricultural sector.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land tenure system in the sub-Saharan Africa,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how land ownership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agricultural OD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on how the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support can be heterogeneous by the difference of land ownership. In particular,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the ODA in the agricultural sector, we focus on how land ownership and tenure securit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focusing on agricultural support projects. Chapter 2 looked at the agricultural policies of Ethiopia and Malawi and the status of aid received from OECD/DAC countries. Both the Ethiopian and Malawi governments operate supporting policies for farmers. Ethiopia is more focused on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for social development, whereas Malawi is more focused on supporting fertilizers and seeds through agricultural policies. However, Ethiopia also has a support policy for maize farmers by providing fertilizer support projects. In the case of ODA in agriculture,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re the key donors to each country. However for the case of South Korea, the proportion of ODA for agricultural sector is high for th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in Ethiopia, while the size of the ODA against Malawi is very small. Chapter 3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land tenure system in Ethiopia and Malawi, and their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gender issues. Section 1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each country’s land tenure. The government of Ethiopia nationalized rural lands and redistributed to every people. Ethiopia’s nationalization of land and government-led redistribution policies have led to a sharp decrease in land holdings per capita,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has declined due to continued reluctant investment by farmers due to instability in land ownership. Malawi, where most of the land is redistributed under common law, local leaders (or chiefs) decides whom to distribute. Accordingly, migrants from other regions often cannot purchase or transfer the land and falls in the poverty. In addition, both the Ethiopian and Malawian governments established land policies that were disadvantageous to women. Both governments put women at a relative disadvantage in the land ownership, such as inheritance, gift, and sale of land. In addition, women’s land tenure security is relatively weak, which also works as a constraint on economic activities. Chapter 4 analyzes the effects of land ownership on farm activities and productivity of far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e use the World Bank LSMS-ISA panel data and generaged two different land ownership variables: land acquisition type and land transfer rights. According to the analysis, even with the government support, there is a difference in labor input invest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land ownership. In particular, land transfer rights rather than the land acquisition type has more impact on farmers’ decision-making and productivity, which was discussed by Besley (1995). In addition, even though women are in a discriminatory position, ownership of the land itself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roductivity or labor supply decisions among government-supported farms. However, in the case of farms that have no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in the future as the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household owners is correlated with the tenure security. Finally, Chapter 5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the land tenure security i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ODA projec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the results of Chapter 4. In particular, conducting additional surveys on land ownership, women’s decision-making rights, of project beneficiaries in recipient countries might be needed by conducting surveys to avoid the fall mistaken policies by using the average effectiveness. It can be also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countries’ systems such as land tenure system and decision-making process.","PeriodicalId":341686,"journal":{"name":"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Research Paper Series","volume":"15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5-2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Land Tenure Security, Institution and Agricultural Production: Evidence from Ethiopia and Malawi)\",\"authors\":\"Munsu Kang, Min-Ja Jeong, Soo Hyun Moon, Kyu Tae Park\",\"doi\":\"10.2139/ssrn.3906443\",\"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토지는 단순한 재산의 개념을 넘는,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산이다. 그러나 식민지 경험에 따른 성문법과 관습법의 혼재, 지역 지도자의 토지 분배 권한, 급격한 인구 증가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의 토지 소유는 농업 생산성, 노동 및 농자재 투자 등 농가 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국제 사회의 원조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농업 분야 ODA 지원에 대한 원조 효과성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고 있다. 특히 마푸토(Maputo) 선언과 말라보(Malabo) 선언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지 이용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OECD/DAC 공여국들은 농업 자원 부문에 대한 원조를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그러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토지제도 및 소유권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면서도 국제 사회의 농업 분야 ODA 원조 효과성 평가에 있어 토지 소유가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농업 지원 효과가 토지소유권의 상이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농업 분야 ODA 사업 효과성에 있어 토지소유권 인식의 중요성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2개국의 토지제도 비교 및 토지소유권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대표적인 농업 국가이며 농민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국 정부의 비료 및 종자 지원 등 농민 대상 지원이 활발하다. 특히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양국은 옥수수 농가를 대상으로 한 비료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대표적인 국가들이며 비료 지원을 받은 농가도 전체 농가의 20%를 상회한다. 그러므로 2개국의 농업 지원 정책이 토지소유권에 의해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에 적절하다. 둘째, 국제 사회의 농업 분야 원조 규모 또한 큰 편이다. 대(對)에티오피아·말라위 농업 분야 원조 규모가 큰 국가는 대표적으로 미국, 영국 등이 있으며 특히 농지 자원에 대한 원조 규모가 공여금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한국의 중점협력국이며 농촌 개발에 대한 우리나라의 원조 규모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정부의 농업 지원 정책 효과성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원조 공여국의 농업 분야에 대한 지원 규모 역시 크기 때문에 농업 분야 ODA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도 함께 제공하기 용이하다. 셋째, 말라위가 아프리카 내 영국 식민지를 겪었던 아프리카 영어권 국가들과 비슷하게 영국식 토지제도가 정착되어 있는 국가라면 에티오피아는 토지 국유화 및 국가 중심의 재분배 정책을 실시한 국가이기 때문에 양국간 토지제도의 상이성과 농업 생산의 영향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다. 특히 말라위가 영국식 성문법과 기존의 관습법이 혼재되어 있는 토지제도를 가지고 있다면 에티오피아는 가족 간 상속만 허용하고 그 외의 매매를 통한 토지 이전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토지 취득 경로나 매매 권한에 따른 농가의 행위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각 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의 농업 정책과 토지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양국은 옥수수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한 농자재 지원 정책을 펼쳐 왔으며 비료 지원 사업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그러나 에티오피아가 신용 대출의 형태로 비료를 지원한 반면 말라위는 쿠폰 형태의 현물 지원 정책을 펼쳤다.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각국의 토지제도가 수립된 배경, 역사 및 농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각국의 토지제도가 수립된 배경에 대해 중점적으로 서술하고 있는데, 에티오피아의 토지 국유화 및 재분배 정책, 말라위 정부의 관습법상 토지 분배 정책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토지 국유화 및 정부 주도적 재분배 정책으로 1인당 토지 보유 면적이 급격하게 감소했으며 토지 보유에 대한 불안정성으로 농가의 소극적인 투자가 지속되면서 농업 생산성이 감소하였다. 말라위는 관습법에 의해 토지가 재분배되고 있어 지역 지도자의 권력이 절대적이며 지역 내 이주민의 경우 토지를 구매 혹은 이전받지 못해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정부 모두 여성에 차별적인 토지 정책을 시행하면서 토지 상속, 증여, 매매 등 소유권 이전에 있어 여성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여성의 토지소유권이 보장되지 않아 경제활동에 있어서도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의 농업 분야 ODA 수원 현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농업 분야 ODA의 경우 각국에 가장 많은 지원을 하는 공여국은 미국과 영국이다. 에티오피아가 중점협력국인 한국의 경우 에티오피아에 농업 및 지역 개발 ODA 규모가 크지만 중점협력국이 아닌 대(對)말라위 ODA 사업 규모는 매우 미미하다. 우리나라는 다른 공여국과 달리 아프리카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한 지역 개발 ODA 원조 규모가 큰 편이며 농업 생산에 대해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의 공여국이 기여하는 비중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제4장에서는 토지소유권이 정부 비료·종자 지원을 받은 농가의 농업 활동 및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세계은행 LSMS-ISA 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 토지 취득 경로와 토지에 대한 매매 권한 보유 여부 등 2가지 변수를 토지소유권 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지원을 받았더라도 토지소유권이 다른 집단 간 노동 투입과 농업 생산성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지 취득 경로보다는 토지에 대한 매매 권한 보유 여부가 농가의 의사결정 및 생산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Besley(1995)가 주장한 토지소유권에 있어 매매 권한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제도적으로 여성이 차별적인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지의 소유권 자체가 정부 지원을 받은 농가 간 생산성이나 노동 공급 결정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다만 정부 지원을 받지 않은 농가의 경우, 여성 세대주와 남성 세대주 간 차이가 소유권 체계에 의해 발생하고 있어 추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제4장의 결과를 토대로 농업 분야 ODA 사업의 효과성 분석에 있어 토지소유권 체계와 토지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ODA 사업 자체에 대한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설문 조사를 하는 경향에서 벗어나 수원국 수혜자들의 토지소유권, 여성의 의사결정권 등에 대한 추가적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는 것이 개발원조 효과성 측정에 있어 평균적인 효과가 가지는 맹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지소유권과 제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 특유의 제도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English Abstract: The importance of land in the sub-Saharan Africa is necessary for survival beyond the concept as a simply real estate. However, due to factors such as land institution from colonial experience, instability in political systems, and rapid population growth in rural areas, land ownership in rural area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such as productivity, labor and input investment. Ethiopia and Malawi are commonly known as agricultural countries, and the global donor’s contribution to the agricultural sector is also large. However, land in Ethiopia is controlled by the state and Malawi has a land system that was mixed with British colonial law and traditional common law. Meanwhile, as the siz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continues to increase, discussions continue on the effectiveness of ODA support in the agricultural sector.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land tenure system in the sub-Saharan Africa,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how land ownership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agricultural OD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on how the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support can be heterogeneous by the difference of land ownership. In particular,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the ODA in the agricultural sector, we focus on how land ownership and tenure securit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focusing on agricultural support projects. Chapter 2 looked at the agricultural policies of Ethiopia and Malawi and the status of aid received from OECD/DAC countries. Both the Ethiopian and Malawi governments operate supporting policies for farmers. Ethiopia is more focused on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for social development, whereas Malawi is more focused on supporting fertilizers and seeds through agricultural policies. However, Ethiopia also has a support policy for maize farmers by providing fertilizer support projects. In the case of ODA in agriculture,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re the key donors to each country. However for the case of South Korea, the proportion of ODA for agricultural sector is high for th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in Ethiopia, while the size of the ODA against Malawi is very small. Chapter 3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land tenure system in Ethiopia and Malawi, and their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gender issues. Section 1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each country’s land tenure. The government of Ethiopia nationalized rural lands and redistributed to every people. Ethiopia’s nationalization of land and government-led redistribution policies have led to a sharp decrease in land holdings per capita,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has declined due to continued reluctant investment by farmers due to instability in land ownership. Malawi, where most of the land is redistributed under common law, local leaders (or chiefs) decides whom to distribute. Accordingly, migrants from other regions often cannot purchase or transfer the land and falls in the poverty. In addition, both the Ethiopian and Malawian governments established land policies that were disadvantageous to women. Both governments put women at a relative disadvantage in the land ownership, such as inheritance, gift, and sale of land. In addition, women’s land tenure security is relatively weak, which also works as a constraint on economic activities. Chapter 4 analyzes the effects of land ownership on farm activities and productivity of far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e use the World Bank LSMS-ISA panel data and generaged two different land ownership variables: land acquisition type and land transfer rights. According to the analysis, even with the government support, there is a difference in labor input invest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land ownership. In particular, land transfer rights rather than the land acquisition type has more impact on farmers’ decision-making and productivity, which was discussed by Besley (1995). In addition, even though women are in a discriminatory position, ownership of the land itself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roductivity or labor supply decisions among government-supported farms. However, in the case of farms that have no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in the future as the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household owners is correlated with the tenure security. Finally, Chapter 5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the land tenure security i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ODA projec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the results of Chapter 4. In particular, conducting additional surveys on land ownership, women’s decision-making rights, of project beneficiaries in recipient countries might be needed by conducting surveys to avoid the fall mistaken policies by using the average effectiveness. It can be also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countries’ systems such as land tenure system and decision-making process.\",\"PeriodicalId\":341686,\"journal\":{\"name\":\"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Research Paper Series\",\"volume\":\"15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5-2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Research Paper Ser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90644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Research Paper Ser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90644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Korean Abstract:在从事农业的人口占全体人口一半以上的撒哈拉以南非洲,土地超越了单纯的财产概念,是生存绝对必要的资产。但是,由于根据殖民地经验的成文法和习惯法的混合、地区领导人的土地分配权限、人口急剧增加等多种因素,农村地区的土地所有对农业生产性、劳动及农业原材料投资等农户行为产生了极大的影响。另外,随着国际社会的援助规模持续增加,对农业领域ODA援助的援助效果的讨论也在持续进行。特别是通过马普托(Maputo)宣言和马拉博(Malabo)宣言,可持续利用农地的重要性得到了重视,OECD/DAC提供国持续增加了对农业资源部门的援助。但是,在撒哈拉以南非洲持续强调土地制度及所有权的重要性的同时,越来越多的人需要研究在国际社会农业领域ODA援助效果评价中土地所有会产生什么影响。为此,本研究以埃塞俄比亚和马拉维的事例为中心,分析了政府的农业支持效果会因土地所有权的不同而发生怎样的变化。以此揭示了土地所有权认识在农业领域ODA事业效益中的重要性。本研究以以下理由对埃塞俄比亚和马拉维两国的土地制度进行了比较,并对土地所有权对农业生产的影响进行了分析。第一,埃塞俄比亚和马拉维是撒哈拉以南非洲具有代表性的农业国家,农民占总人口的一半以上。因此,各国政府的化肥及种子支援等以农民为对象的支援非常活跃。特别是,埃塞俄比亚和马拉维两国是成功落实以玉米农户为对象的化肥支援事业的代表性国家,而且得到化肥支援的农户也超过全体农户的20%。因此,两国的农业支持政策能否因土地所有权而改变效果,非常适合进行讨论。第二,国际社会在农业领域的援助规模较大。对埃塞俄比亚、马拉维农业领域援助规模最大的国家有美国、英国等,特别是对农田资源的援助规模占了很大一部分。埃塞俄比亚是韩国的重点合作国,韩国对农村开发的援助规模也可以说很大。本研究以埃塞俄比亚和马拉维政府的农业援助政策的效果为中心进行了分析,但提供援助的国家对农业领域的援助规模仍然很大,因此很容易同时提供农业领域ODA援助政策的启示。第三,马拉维在非洲内英国殖民地经历的非洲英语国家和相似的英国式如果土地制度是定居的国家埃塞俄比亚的土地国有化及国家中心的再分配政策实施的国家,因此两国之间的土地制度的分歧成果对农业生产的影响,可以说明。特别是在马拉维英国式的成文法和现有的习惯法混合的土地制度存着埃塞俄比亚只允许家人之间继承,并禁止其外,通过买卖的土地流转,因此取得土地的途径或交易权限根据农户的行为可能会出现差异。各章由以下内容组成。第二章介绍了埃塞俄比亚和马拉维的农业政策和土地制度。埃塞俄比亚和马拉维两国一直以种植玉米的农户为对象,展开了农业原材料支援政策,化肥支援事业也持续进行。但是,埃塞俄比亚以信用贷款的形式提供化肥援助,而马拉维则采取了优惠券形式的实物援助政策。随后,书中介绍了埃塞俄比亚和马拉维各国建立土地制度的背景、历史及对农户产生的影响。书中重点叙述了各国建立土地制度的背景,包括埃塞俄比亚的土地国有化和再分配政策,以及马拉维政府的习惯法中的土地分配政策。埃塞俄比亚因土地国有化和政府主导的再分配政策,人均土地拥有面积急剧减少,由于土地拥有的不稳定性,农户持续消极投资,导致农业生产效率下降。马拉维的土地根据习惯法被重新分配,因此地区领导人的权力是绝对的,而且地区内移民因无法购买或转移土地而沦为贫困阶层的情况频繁发生。不仅如此,埃塞俄比亚和马拉维政府都对女性实行差别的土地政策,使女性在土地继承、赠与、买卖等所有权转移方面处于相对不利的地位。因此,女性的土地所有权没有得到保障,在经济活动上也起到了制约条件的作用。第三章以埃塞俄比亚和马拉维农业领域ODA水源现状为中心进行了记述。以农业领域ODA为例,向各国提供最多援助的国家是美国和英国。以埃塞俄比亚为重点合作国的韩国,虽然埃塞俄比亚的农业及地区开发ODA规模较大,但不是重点合作国的马拉维ODA规模微乎其微。韩国与其他提供援助的国家不同,以非洲重点合作国家为对象的地区开发ODA援助规模较大,在农业生产方面,美国、英国、日本等提供援助的国家贡献的比重较高。第四章分析了土地所有权对政府肥料,种子支持农户农业活动及生产率的影响。在利用世界银行LSMS-ISA调查资料的分析中,将土地取得途径和是否拥有土地买卖权限等2个变数活用为土地所有权变数。分析结果显示,即使得到政府的支援,土地所有权不同的集团之间的劳动投入和农业生产效率也会出现差异。特别是,比起土地取得途径,是否拥有土地买卖权限对农户的决策及生产效率产生的影响更大。这可以看作是在强调Besley(1995)主张的在土地所有权上买卖权限的重要性。另外,虽然在制度上女性处于差别地位,但是土地所有权本身对接受政府支援的农户间的生产性或劳动供给决定并没有产生有意义的影响。但是,从没有得到政府支援的农户的情况来看,女性户主和男性户主之间的差异是由所有权体系产生的,因此今后有必要对此进行进一步的研究。最后,第五章以第四章的结果为基础,对农业领域ODA事业的效果分析提供了土地所有权体系和土地制度重要性的政策启示。特别是oda对工作本身的评价指标为标准进行问卷调查的倾向,水原国摆脱对受惠者的土地所有权,女性的决定权等实行追加性的问卷调查的测定,平均开发援助效益的效果有漏洞,就可以摆脱的。另外,还引出了政策性启示,即,首先要理解包括土地所有权和制度在内的发展中国家特有的制度特性,才能进行更有效的评价。英语Abstract: The importance of land in The sub-Saharan Africa is necessary for survival beyond The concept as a simply real estate。However, due to factors such as land institution from colonial experience, instability in political systems, and rapid population growth in rural areas;land ownership in rural area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such as productivity, labor and input investment。Ethiopia and Malawi are commonly known as agricultural countries, and the global donor ' s contribution to the agricultural sector is also large。However, land in Ethiopia is controlled by the state and Malawi has a land system that was mixed with British colonial law and traditional common law。Meanwhile, as the siz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continues to increase, discussions continue on the effectiveness of ODA support in the agricultural sector。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land tenure system in the sub-Saharan Africa,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how land ownership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agricultural ODA。In this study, we investigate on how the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support can be heterogeneous by the difference of land ownership。In particular,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the ODA In the agricultural sector, we focus on how land ownership and tenure securit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focusing on agricultural support projects。 第2章审查了埃塞俄比亚和马拉维的农业政策以及从经合发组织/发援会国家收到的援助状况。埃塞俄比亚和马拉维政府都为农民提供支持政策。埃塞俄比亚更侧重于支持弱势群体促进社会发展,而马拉维更侧重于通过农业政策支持化肥和种子。然而,埃塞俄比亚也通过提供肥料支持项目为种植玉米的农民提供支持政策。在农业方面的官方发展援助方面,美国和联合王国是每个国家的主要捐助国。但是,就南朝鲜而言,埃塞俄比亚农业和农村发展的官方发展援助中农业部门的比例很高,而马拉维的官方发展援助的规模却很小。第三章介绍了埃塞俄比亚和马拉维建立土地权制的背景,及其对农业生产和性别问题的影响。第1节侧重于各国土地权属的背景。埃塞俄比亚政府将农村土地收归国有并重新分配给每个人。埃塞俄比亚的土地国有化和政府主导的再分配政策导致人均土地拥有量急剧下降,由于土地所有权不稳定,农民持续不愿投资,农业生产力下降。在马拉维,大部分土地是根据普通法重新分配的,由当地领导人(或酋长)决定谁来分配。因此,来自其他地区的移民往往无法购买或转让土地,陷入贫困。此外,埃塞俄比亚和马拉维政府都制定了不利于妇女的土地政策。两国政府在继承、赠予和出售土地等土地所有权方面,都将妇女置于相对不利的地位。此外,妇女的土地保有保障相对薄弱,这也对经济活动产生了制约作用。第四章分析了土地所有权对政府支持农场的农业活动和生产力的影响。我们使用世界银行LSMS-ISA面板数据,生成了两个不同的土地所有权变量:土地获取类型和土地出让权。分析表明,即使在政府的支持下,不同土地所有权的群体在劳动投入投入和农业生产率方面存在差异。特别是土地出让权比土地征用类型对农民决策和生产力的影响更大,Besley(1995)对此进行了讨论。此外,尽管妇女处于歧视地位,但在政府支持的农场中,土地所有权本身并没有显著影响生产力或劳动力供应决策。然而,在没有得到政府支持的农场的情况下,由于男女户主之间的差异与权属保障有关,预计将来会有进一步的研究。最后,第5章利用第4章的结果,在分析农业部门官方发展援助项目的有效性时,提供了土地保有权保障重要性的政策含义。特别是,可能需要对受援国项目受益人的土地所有权、妇女的决策权进行更多的调查,通过进行调查来避免因使用平均效力而导致错误的政策。还可以强调的是,了解发展中国家制度特点的重要性,如土地权属制度和决策过程。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Land Tenure Security, Institution and Agricultural Production: Evidence from Ethiopia and Malawi)
Korean Abstract: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토지는 단순한 재산의 개념을 넘는,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산이다. 그러나 식민지 경험에 따른 성문법과 관습법의 혼재, 지역 지도자의 토지 분배 권한, 급격한 인구 증가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의 토지 소유는 농업 생산성, 노동 및 농자재 투자 등 농가 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국제 사회의 원조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농업 분야 ODA 지원에 대한 원조 효과성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고 있다. 특히 마푸토(Maputo) 선언과 말라보(Malabo) 선언을 통해 지속가능한 농지 이용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OECD/DAC 공여국들은 농업 자원 부문에 대한 원조를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그러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토지제도 및 소유권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면서도 국제 사회의 농업 분야 ODA 원조 효과성 평가에 있어 토지 소유가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농업 지원 효과가 토지소유권의 상이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농업 분야 ODA 사업 효과성에 있어 토지소유권 인식의 중요성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2개국의 토지제도 비교 및 토지소유권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대표적인 농업 국가이며 농민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국 정부의 비료 및 종자 지원 등 농민 대상 지원이 활발하다. 특히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양국은 옥수수 농가를 대상으로 한 비료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대표적인 국가들이며 비료 지원을 받은 농가도 전체 농가의 20%를 상회한다. 그러므로 2개국의 농업 지원 정책이 토지소유권에 의해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에 적절하다. 둘째, 국제 사회의 농업 분야 원조 규모 또한 큰 편이다. 대(對)에티오피아·말라위 농업 분야 원조 규모가 큰 국가는 대표적으로 미국, 영국 등이 있으며 특히 농지 자원에 대한 원조 규모가 공여금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한국의 중점협력국이며 농촌 개발에 대한 우리나라의 원조 규모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정부의 농업 지원 정책 효과성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원조 공여국의 농업 분야에 대한 지원 규모 역시 크기 때문에 농업 분야 ODA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도 함께 제공하기 용이하다. 셋째, 말라위가 아프리카 내 영국 식민지를 겪었던 아프리카 영어권 국가들과 비슷하게 영국식 토지제도가 정착되어 있는 국가라면 에티오피아는 토지 국유화 및 국가 중심의 재분배 정책을 실시한 국가이기 때문에 양국간 토지제도의 상이성과 농업 생산의 영향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다. 특히 말라위가 영국식 성문법과 기존의 관습법이 혼재되어 있는 토지제도를 가지고 있다면 에티오피아는 가족 간 상속만 허용하고 그 외의 매매를 통한 토지 이전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토지 취득 경로나 매매 권한에 따른 농가의 행위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각 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의 농업 정책과 토지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양국은 옥수수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한 농자재 지원 정책을 펼쳐 왔으며 비료 지원 사업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그러나 에티오피아가 신용 대출의 형태로 비료를 지원한 반면 말라위는 쿠폰 형태의 현물 지원 정책을 펼쳤다. 뒤를 이어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각국의 토지제도가 수립된 배경, 역사 및 농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각국의 토지제도가 수립된 배경에 대해 중점적으로 서술하고 있는데, 에티오피아의 토지 국유화 및 재분배 정책, 말라위 정부의 관습법상 토지 분배 정책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토지 국유화 및 정부 주도적 재분배 정책으로 1인당 토지 보유 면적이 급격하게 감소했으며 토지 보유에 대한 불안정성으로 농가의 소극적인 투자가 지속되면서 농업 생산성이 감소하였다. 말라위는 관습법에 의해 토지가 재분배되고 있어 지역 지도자의 권력이 절대적이며 지역 내 이주민의 경우 토지를 구매 혹은 이전받지 못해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에티오피아와 말라위 정부 모두 여성에 차별적인 토지 정책을 시행하면서 토지 상속, 증여, 매매 등 소유권 이전에 있어 여성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여성의 토지소유권이 보장되지 않아 경제활동에 있어서도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에티오피아와 말라위의 농업 분야 ODA 수원 현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농업 분야 ODA의 경우 각국에 가장 많은 지원을 하는 공여국은 미국과 영국이다. 에티오피아가 중점협력국인 한국의 경우 에티오피아에 농업 및 지역 개발 ODA 규모가 크지만 중점협력국이 아닌 대(對)말라위 ODA 사업 규모는 매우 미미하다. 우리나라는 다른 공여국과 달리 아프리카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한 지역 개발 ODA 원조 규모가 큰 편이며 농업 생산에 대해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의 공여국이 기여하는 비중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제4장에서는 토지소유권이 정부 비료·종자 지원을 받은 농가의 농업 활동 및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세계은행 LSMS-ISA 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 토지 취득 경로와 토지에 대한 매매 권한 보유 여부 등 2가지 변수를 토지소유권 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지원을 받았더라도 토지소유권이 다른 집단 간 노동 투입과 농업 생산성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지 취득 경로보다는 토지에 대한 매매 권한 보유 여부가 농가의 의사결정 및 생산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Besley(1995)가 주장한 토지소유권에 있어 매매 권한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제도적으로 여성이 차별적인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지의 소유권 자체가 정부 지원을 받은 농가 간 생산성이나 노동 공급 결정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다만 정부 지원을 받지 않은 농가의 경우, 여성 세대주와 남성 세대주 간 차이가 소유권 체계에 의해 발생하고 있어 추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제4장의 결과를 토대로 농업 분야 ODA 사업의 효과성 분석에 있어 토지소유권 체계와 토지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ODA 사업 자체에 대한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설문 조사를 하는 경향에서 벗어나 수원국 수혜자들의 토지소유권, 여성의 의사결정권 등에 대한 추가적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는 것이 개발원조 효과성 측정에 있어 평균적인 효과가 가지는 맹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지소유권과 제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 특유의 제도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English Abstract: The importance of land in the sub-Saharan Africa is necessary for survival beyond the concept as a simply real estate. However, due to factors such as land institution from colonial experience, instability in political systems, and rapid population growth in rural areas, land ownership in rural area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such as productivity, labor and input investment. Ethiopia and Malawi are commonly known as agricultural countries, and the global donor’s contribution to the agricultural sector is also large. However, land in Ethiopia is controlled by the state and Malawi has a land system that was mixed with British colonial law and traditional common law. Meanwhile, as the siz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continues to increase, discussions continue on the effectiveness of ODA support in the agricultural sector.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land tenure system in the sub-Saharan Africa,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how land ownership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agricultural OD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on how the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support can be heterogeneous by the difference of land ownership. In particular,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the ODA in the agricultural sector, we focus on how land ownership and tenure securit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 focusing on agricultural support projects. Chapter 2 looked at the agricultural policies of Ethiopia and Malawi and the status of aid received from OECD/DAC countries. Both the Ethiopian and Malawi governments operate supporting policies for farmers. Ethiopia is more focused on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for social development, whereas Malawi is more focused on supporting fertilizers and seeds through agricultural policies. However, Ethiopia also has a support policy for maize farmers by providing fertilizer support projects. In the case of ODA in agriculture,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re the key donors to each country. However for the case of South Korea, the proportion of ODA for agricultural sector is high for the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in Ethiopia, while the size of the ODA against Malawi is very small. Chapter 3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land tenure system in Ethiopia and Malawi, and their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gender issues. Section 1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each country’s land tenure. The government of Ethiopia nationalized rural lands and redistributed to every people. Ethiopia’s nationalization of land and government-led redistribution policies have led to a sharp decrease in land holdings per capita,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has declined due to continued reluctant investment by farmers due to instability in land ownership. Malawi, where most of the land is redistributed under common law, local leaders (or chiefs) decides whom to distribute. Accordingly, migrants from other regions often cannot purchase or transfer the land and falls in the poverty. In addition, both the Ethiopian and Malawian governments established land policies that were disadvantageous to women. Both governments put women at a relative disadvantage in the land ownership, such as inheritance, gift, and sale of land. In addition, women’s land tenure security is relatively weak, which also works as a constraint on economic activities. Chapter 4 analyzes the effects of land ownership on farm activities and productivity of far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e use the World Bank LSMS-ISA panel data and generaged two different land ownership variables: land acquisition type and land transfer rights. According to the analysis, even with the government support, there is a difference in labor input investment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land ownership. In particular, land transfer rights rather than the land acquisition type has more impact on farmers’ decision-making and productivity, which was discussed by Besley (1995). In addition, even though women are in a discriminatory position, ownership of the land itself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roductivity or labor supply decisions among government-supported farms. However, in the case of farms that have no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in the future as the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household owners is correlated with the tenure security. Finally, Chapter 5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the land tenure security i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ODA projec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the results of Chapter 4. In particular, conducting additional surveys on land ownership, women’s decision-making rights, of project beneficiaries in recipient countries might be needed by conducting surveys to avoid the fall mistaken policies by using the average effectiveness. It can be also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countries’ systems such as land tenure system and decision-mak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