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幼儿园教师课程活动指南中“家庭”主题内容研究","authors":"이현숙, 조경자","doi":"10.18612/CNUJES.2019.40.1.6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현행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가족 관련 내용이 교사용 지도서의 생활주제 ‘가족’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리고 생활주제 ‘가족’의 활동 내용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생활 주제 ‘가족’의 하위 주제 및 소주제는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위계와 구성상의 논리적 연계가 불충분한 것이 있었다. 생활주제 ‘가족’의 두 개의 하위 주제 중 ‘소중한 가족’ 주제의 내용은 교육과정의 내용과 대부분 연계되었으나 두 번째 하위 주제인 3세의 ‘행복한 우리 집’과 이에 상응하는 4, 5세의 ‘우리 집의 생활과 문화’의 내용은 부분적으로만 연계되었다. 둘째, 지도서의 활동은 ‘가족의 소중함’, ‘가족 구성원’, ‘가족의 역할’, ‘가족의 생활과 문화‘의 네 범주로 재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가족의 소중함’에 대한 활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가족의 생활과 문화’에 대한 활동이었다. 활동 내용에서도 연령별, 주제별로 활동의 균형과 내용의 위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과정 내용과 지도서의 주제 및 활동과의 연계성, 유아의 연령에 따른 지도서 활동 내용의 위계에 대한 검토와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PeriodicalId":376269,"journal":{"name":"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volume":"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A Study on the Contents of the Theme 'Family'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Guidebooks for Curriculum Activities\",\"authors\":\"이현숙, 조경자\",\"doi\":\"10.18612/CNUJES.2019.40.1.6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현행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가족 관련 내용이 교사용 지도서의 생활주제 ‘가족’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리고 생활주제 ‘가족’의 활동 내용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생활 주제 ‘가족’의 하위 주제 및 소주제는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위계와 구성상의 논리적 연계가 불충분한 것이 있었다. 생활주제 ‘가족’의 두 개의 하위 주제 중 ‘소중한 가족’ 주제의 내용은 교육과정의 내용과 대부분 연계되었으나 두 번째 하위 주제인 3세의 ‘행복한 우리 집’과 이에 상응하는 4, 5세의 ‘우리 집의 생활과 문화’의 내용은 부분적으로만 연계되었다. 둘째, 지도서의 활동은 ‘가족의 소중함’, ‘가족 구성원’, ‘가족의 역할’, ‘가족의 생활과 문화‘의 네 범주로 재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가족의 소중함’에 대한 활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가족의 생활과 문화’에 대한 활동이었다. 활동 내용에서도 연령별, 주제별로 활동의 균형과 내용의 위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과정 내용과 지도서의 주제 및 활동과의 연계성, 유아의 연령에 따른 지도서 활동 내용의 위계에 대한 검토와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PeriodicalId\":376269,\"journal\":{\"name\":\"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volume\":\"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612/CNUJES.2019.40.1.6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612/CNUJES.2019.40.1.6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 Study on the Contents of the Theme 'Family'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Guidebooks for Curriculum Activities
본 연구는 현행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가족 관련 내용이 교사용 지도서의 생활주제 ‘가족’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리고 생활주제 ‘가족’의 활동 내용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생활 주제 ‘가족’의 하위 주제 및 소주제는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위계와 구성상의 논리적 연계가 불충분한 것이 있었다. 생활주제 ‘가족’의 두 개의 하위 주제 중 ‘소중한 가족’ 주제의 내용은 교육과정의 내용과 대부분 연계되었으나 두 번째 하위 주제인 3세의 ‘행복한 우리 집’과 이에 상응하는 4, 5세의 ‘우리 집의 생활과 문화’의 내용은 부분적으로만 연계되었다. 둘째, 지도서의 활동은 ‘가족의 소중함’, ‘가족 구성원’, ‘가족의 역할’, ‘가족의 생활과 문화‘의 네 범주로 재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가족의 소중함’에 대한 활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가족의 생활과 문화’에 대한 활동이었다. 활동 내용에서도 연령별, 주제별로 활동의 균형과 내용의 위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과정 내용과 지도서의 주제 및 활동과의 연계성, 유아의 연령에 따른 지도서 활동 내용의 위계에 대한 검토와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