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大学软件教育叙述型教学评价的网络分析","authors":"권오규, 정우성","doi":"10.34226/gcl.2019.9.4.67","DOIUrl":null,"url":null,"abstract":"대한민국에서 운영되는 고속버스 운행수와 그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두 도시 사이를 오가는 고속버스의 운행수는 해당되는 두 도시 인구의 곱의 제곱근에 비례함을 확인 하였다. 반면, 한 도시에서 발생하는 총 운행수는 그 도시의 인구수에 비례함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비례의 특징은 고속버스로 연결되는 도시간 네트워크의 속성에서 유발됨을 검증하였다. 한국의 도시간 네트워크는 서울이 거대한 허브 역할을 하는 별 모양의 그래프 구조를 가지고 있다.","PeriodicalId":404471,"journal":{"name":"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volume":"301 2","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1-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title\":\"대학 소프트웨어 교육의 서술형 강의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authors\":\"권오규, 정우성\",\"doi\":\"10.34226/gcl.2019.9.4.67\",\"DOIUrl\":null,\"url\":null,\"abstract\":\"대한민국에서 운영되는 고속버스 운행수와 그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두 도시 사이를 오가는 고속버스의 운행수는 해당되는 두 도시 인구의 곱의 제곱근에 비례함을 확인 하였다. 반면, 한 도시에서 발생하는 총 운행수는 그 도시의 인구수에 비례함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비례의 특징은 고속버스로 연결되는 도시간 네트워크의 속성에서 유발됨을 검증하였다. 한국의 도시간 네트워크는 서울이 거대한 허브 역할을 하는 별 모양의 그래프 구조를 가지고 있다.\",\"PeriodicalId\":404471,\"journal\":{\"name\":\"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volume\":\"301 2\",\"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1-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4226/gcl.2019.9.4.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4226/gcl.2019.9.4.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대한민국에서 운영되는 고속버스 운행수와 그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두 도시 사이를 오가는 고속버스의 운행수는 해당되는 두 도시 인구의 곱의 제곱근에 비례함을 확인 하였다. 반면, 한 도시에서 발생하는 총 운행수는 그 도시의 인구수에 비례함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비례의 특징은 고속버스로 연결되는 도시간 네트워크의 속성에서 유발됨을 검증하였다. 한국의 도시간 네트워크는 서울이 거대한 허브 역할을 하는 별 모양의 그래프 구조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