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Component and Immunological Efficacy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Joung-Hee Kim, Syng-Ook Lee, Kook Bae Do, W. Ji, Sun Gun Kim, Young-doo Back, Keuk-Jun Kim
{"title":"Analysis of the Component and Immunological Efficacy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authors":"Joung-Hee Kim, Syng-Ook Lee, Kook Bae Do, W. Ji, Sun Gun Kim, Young-doo Back, Keuk-Jun Kim","doi":"10.15324/KJCLS.2018.50.1.3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전라도 장성지역의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in vitro에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50°C에서 감압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25.89±0.31mg GAE/g로 나타났다. 설정된 GC-MS 분석법으로 편백나무잎 추출물의 6종 성분에 대한 함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α-Terpinene 3.03 mg/g, α-Terpineol 9.48 mg/g, limonene 5.96mg/g, borneol 59.78 mg/g, myrcene 4.85 mg/g, sabinene 11.31 mg/g로 borneol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H2O2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추출물의 RC50이 각각 5.47±0.13 mg/mL와 4.00±0.01 mg/mL로 나타났다. 또한 마우스 유래의 대식세포 주인 RAW 264.7 세포에서 LPS 100 ng/mL을 처리를 통한 염증유도 군에서 주요 인자인 NO 생성이 28±0.38 μM까지 증가하였으나 편백나무 잎 추출물 150 μg/mL 처리 농도에서 IC50 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므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이 항염증 작용이 있음을 시사한다. 알레르기 주요 인자인 β-hexosaminidase의 경우 처리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어 항알레르기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에 대해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100∼800 μg/mL 범위에서 세포독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이 향후 기능성 화장품, 연고 등의 산업화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10080,"journal":{"name":"临床检验杂志","volume":"60 1","pages":"37-43"},"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3-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7","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临床检验杂志","FirstCategoryId":"3","ListUrlMain":"https://doi.org/10.15324/KJCLS.2018.50.1.3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7

Abstract

본 연구는 전라도 장성지역의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in vitro에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50°C에서 감압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25.89±0.31mg GAE/g로 나타났다. 설정된 GC-MS 분석법으로 편백나무잎 추출물의 6종 성분에 대한 함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α-Terpinene 3.03 mg/g, α-Terpineol 9.48 mg/g, limonene 5.96mg/g, borneol 59.78 mg/g, myrcene 4.85 mg/g, sabinene 11.31 mg/g로 borneol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H2O2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추출물의 RC50이 각각 5.47±0.13 mg/mL와 4.00±0.01 mg/mL로 나타났다. 또한 마우스 유래의 대식세포 주인 RAW 264.7 세포에서 LPS 100 ng/mL을 처리를 통한 염증유도 군에서 주요 인자인 NO 생성이 28±0.38 μM까지 증가하였으나 편백나무 잎 추출물 150 μg/mL 처리 농도에서 IC50 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므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이 항염증 작용이 있음을 시사한다. 알레르기 주요 인자인 β-hexosaminidase의 경우 처리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어 항알레르기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에 대해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100∼800 μg/mL 범위에서 세포독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이 향후 기능성 화장품, 연고 등의 산업화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薄柏叶提取物成分及免疫功效分析
本研究使用全罗道长城地区扁柏叶提取物在in vitro中取得抗炎症及抗过敏效果而进行了研究。扁柏叶提取物在50°C时减压干燥,用于实验,测定总多酚含量的结果为25.89±0.31毫克GAE/g。用设定的GC-MS分析法对6种枯叶提取物成分进行含量分析的结果,α-Terpinene 3.03 mg/g, α-Terpineol 9.48 mg/g, limonene 5.96mg/g, borneol 59.78 mg/g, myrcene 4.85 mg/g;sabinene为11.31 mg/g, borneol含量最多。测定扁柏树叶提取物抗氧化活性的结果显示,H2O2和ABTS+薰衣草提取物的RC50分别为5.47±0.13 mg/mL和4.00±0.01 mg/mL。也是鼠标由来的巨噬细胞主人列表264。7细胞在lps处理100 ng / ml,通过诱导炎症在军队的主要因子no生成人增加到28±0.38在m,但树叶提取物150在g / ml浓度处理中,ic50为疑似将减少,扁柏树叶提取物有抗炎症作用暗示的。过敏主要因子β- hexosaminidase的处理的扁柏树叶萃取物浓度依赖性减少,抗过敏的功效,它可以知道人类由来纤维炮ccd - 986sk细胞对树叶萃取物浓度在100 ~ 800在g / ml范围内细胞毒性完全不见了。因此,扁柏树叶提取物今后将被广泛利用在功能性化妆品、软膏等的产业化上。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10649
期刊介绍: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