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Projective Identification in Psycho and Being John Malkovich","authors":"Jungmin Oh","doi":"10.19119/CF.2015.08.21.3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의 여러 개념 중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다루되, 알프레드 히치콕의 (1960)와 스파이크 존스의 (1960)라는 두 영화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다. 이를 위하여 I부에서는 프로이트, 페렌치, 아브라함이 말하는 외부투사와 내부투사의 의미를 정리한다. 그리고 II부에서는 외부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게 되는 동기나 조건인 갈망과 선망, 부인(否認)을 검토한 후 투사 대상을 비워내는 문제나 대상의 고유자질에 대한 문제등의 특징을 다룬다. 이 때, 같은 외부투사적 동일시란기제라도 바로 ‘입장 고안’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띤다는 점 역시 구체적으로 증명한다. 의 노먼의 경우는 외부로 투사되는 자신의 부분이 투사대상인 어머니 안에 완전히 매몰되지만 의 크랙, 라티, 맥신 등은 ‘입장 고안’에 성공하였기에 각자의 리비도와 꿈을 실현시킨다. 아울러,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중심으로 논함에 있어 두 영화의 차이점에 주목해야 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기에 노먼의 심리는 실지로 정신 분석할 만한 현실적 근거가 충분하다. 반면 는 인물들 자체의 정신분석적 가치 외에도, ‘인형극’이나 ‘통로’라는 영화적 설정으로써 외부투사적 동일시란 무의식적 심리기제를 상징적으로 구현하고 있다.","PeriodicalId":10322,"journal":{"name":"Cineforum","volume":"21 1","pages":"39-74"},"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15-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ine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119/CF.2015.08.21.39","RegionNum":4,"RegionCategory":"艺术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0","JCRName":"FILM, RADIO, TELEVISION","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의 여러 개념 중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다루되, 알프레드 히치콕의 (1960)와 스파이크 존스의 (1960)라는 두 영화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다. 이를 위하여 I부에서는 프로이트, 페렌치, 아브라함이 말하는 외부투사와 내부투사의 의미를 정리한다. 그리고 II부에서는 외부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게 되는 동기나 조건인 갈망과 선망, 부인(否認)을 검토한 후 투사 대상을 비워내는 문제나 대상의 고유자질에 대한 문제등의 특징을 다룬다. 이 때, 같은 외부투사적 동일시란기제라도 바로 ‘입장 고안’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띤다는 점 역시 구체적으로 증명한다. 의 노먼의 경우는 외부로 투사되는 자신의 부분이 투사대상인 어머니 안에 완전히 매몰되지만 의 크랙, 라티, 맥신 등은 ‘입장 고안’에 성공하였기에 각자의 리비도와 꿈을 실현시킨다. 아울러,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중심으로 논함에 있어 두 영화의 차이점에 주목해야 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기에 노먼의 심리는 실지로 정신 분석할 만한 현실적 근거가 충분하다. 반면 는 인물들 자체의 정신분석적 가치 외에도, ‘인형극’이나 ‘통로’라는 영화적 설정으로써 외부투사적 동일시란 무의식적 심리기제를 상징적으로 구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