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특수교육을 위한 음악 교과용도서 개발 방향 탐색 -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Ji-Hun Park
{"title":"초등 특수교육을 위한 음악 교과용도서 개발 방향 탐색 -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uthors":"Ji-Hun Park","doi":"10.30775/kmes.53.1.10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새롭게 고시된 2022 개정 교육과정 중 특수교육 음악 교과를 위한 초등 교과서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 현행 특수교육 초등 음악 교과서 및 2022 개정 특수교육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과서가 어떠한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하는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첫째, 교과서는 핵심 아이디어 기반 역량 함양 교육을 위해 핵심 질문과 수행과제를 제시하고 목표-내용-방법-평가-보충심화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편찬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생활화는 모든 음악 영역과 통합하여 연계 제시하고 창작 영역은 다양하게 추가 보완하여야 한다는 점, 셋째, 학습량을 적정화하고 보다 자율적인 교과서 내용 구성이 요청된다는 점, 넷째, 다른 교과나 영역과 연계 융합한 내용을 보완하고,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 등 다양한 전략과 방법을 활용한 음악 수업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PeriodicalId":388708,"journ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volume":"15 4","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4-02-29","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775/kmes.53.1.1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새롭게 고시된 2022 개정 교육과정 중 특수교육 음악 교과를 위한 초등 교과서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 현행 특수교육 초등 음악 교과서 및 2022 개정 특수교육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과서가 어떠한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하는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첫째, 교과서는 핵심 아이디어 기반 역량 함양 교육을 위해 핵심 질문과 수행과제를 제시하고 목표-내용-방법-평가-보충심화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편찬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생활화는 모든 음악 영역과 통합하여 연계 제시하고 창작 영역은 다양하게 추가 보완하여야 한다는 점, 셋째, 학습량을 적정화하고 보다 자율적인 교과서 내용 구성이 요청된다는 점, 넷째, 다른 교과나 영역과 연계 융합한 내용을 보완하고,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 등 다양한 전략과 방법을 활용한 음악 수업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探究小学特殊教育音乐教科书的编写--以 2022 年修订的课程为重点
本研究旨在探讨新出版的 2022 年课程中特殊教育音乐小学教科书的编写问题。为此,我们分析了现行的2015年特殊教育小学音乐教科书和2022年特殊教育音乐修订课程,并得出了编写新教材的启示。通过研究,提出了以下几点建议:第一,教科书的编撰应提出基于核心理念的能力培养教育的关键问题和任务,并将目标、内容、方法、评价、补充丰富有机地联系起来;第二,应将生动性与音乐的各个领域结合起来,并以各种方式对创造性领域进行补充;第三,应适当增加学习量,组织更多自主性的教科书内容;第四,应通过与其他学科和领域的整合来补充音乐课的内容,并使用人工智能和数字技术等各种策略和方法。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