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human resource flexibility perceived by flight attendants on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work
{"title":"The effect of human resource flexibility perceived by flight attendants on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work","authors":"Jin-Sook Ham, Hyung-Ryong Lee, Seul-Gi Park","doi":"10.31667/jhts.2023.08.103.1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인적자원유연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불안정성의 매개효과 및 일가치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국내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표본 334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인적자원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기술유연성과 행동유연성은 직무불안정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객실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인적자원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행동유연성과 관계유연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객실승무원의 기술유연성과 행동유연성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직무불안정성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직무불안정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일가치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객실승무원의 잠재적 역량인 인적자원 유연성을 강화함으로써 직무불안정성에 대한 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직무불안정성의 인식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직무성과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항공사 객실승무원은 조직의 핵심역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적자원으로서 항공사의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객실승무원에 대한 전략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가 항공사의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8.103.1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인적자원유연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불안정성의 매개효과 및 일가치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국내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의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표본 334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인적자원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기술유연성과 행동유연성은 직무불안정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객실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인적자원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행동유연성과 관계유연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객실승무원의 기술유연성과 행동유연성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직무불안정성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직무불안정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일가치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객실승무원의 잠재적 역량인 인적자원 유연성을 강화함으로써 직무불안정성에 대한 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직무불안정성의 인식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직무성과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항공사 객실승무원은 조직의 핵심역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적자원으로서 항공사의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객실승무원에 대한 전략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가 항공사의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