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What are the associations between tourist destinations? focusing on the old city districts of Busan, Korea","authors":"Sang-Hoon Kang, Deuk-Hee Park","doi":"10.31667/jhts.2023.08.103.59","DOIUrl":null,"url":null,"abstract":"다목적지 여행에서 관광지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은 관광지의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및 관광객의 관광체험의 질 향상과 관련해서도 중요하다. 관광객의 공간에 대한 인지 정도는 공간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 정도에 따라서 집단을 구분했으며, 연관성 규칙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각 집단별 방문했던 관광지 간에 연관성을 파악했다. 부산 원도심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에 따라서 관광객이 방문하는 관광지의 유형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에 따라 관광지 간 연관성의 규칙 수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도가 높을수록 그 규칙이 많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에 따라 부산 원도심에 위치한 앵커 포인트의 수와 종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서,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거나 보통인 관광객 그룹에서는 ‘국제시장’, ‘자갈치시장’, 그리고 ‘부평깡통시장’이 공통적으로 앵커 포인트로 도출되었지만, 인지도가 보통인 그룹에서는 ‘영도대교’ 또한 앵커 포인트로 나타나 공통적인 앵커 포인트와 상이한 앵커 포인트가 함께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관광객 그룹에서는 앞선 두 그룹에서 도출되지 않은 앵커 포인트가 도출되어 인지도에 따른 앵커 포인트의 유형이 달라짐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관광지 관리자들에게 더 나은 마케팅 및 관리 전략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PeriodicalId":486653,"journal":{"name":"Hotel gwan'gwang yeon'gu","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otel gwan'gwan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67/jhts.2023.08.103.5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다목적지 여행에서 관광지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은 관광지의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및 관광객의 관광체험의 질 향상과 관련해서도 중요하다. 관광객의 공간에 대한 인지 정도는 공간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지에 대한 관광객의 인지 정도에 따라서 집단을 구분했으며, 연관성 규칙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각 집단별 방문했던 관광지 간에 연관성을 파악했다. 부산 원도심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을 통해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에 따라서 관광객이 방문하는 관광지의 유형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에 따라 관광지 간 연관성의 규칙 수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도가 높을수록 그 규칙이 많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에 따라 부산 원도심에 위치한 앵커 포인트의 수와 종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서,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거나 보통인 관광객 그룹에서는 ‘국제시장’, ‘자갈치시장’, 그리고 ‘부평깡통시장’이 공통적으로 앵커 포인트로 도출되었지만, 인지도가 보통인 그룹에서는 ‘영도대교’ 또한 앵커 포인트로 나타나 공통적인 앵커 포인트와 상이한 앵커 포인트가 함께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관광객 그룹에서는 앞선 두 그룹에서 도출되지 않은 앵커 포인트가 도출되어 인지도에 따른 앵커 포인트의 유형이 달라짐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관광지 관리자들에게 더 나은 마케팅 및 관리 전략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