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view of Sam-yŏn Kim Ch'anghŭp’s Farewell Poetry : Highlighting the works included in Nong Yŏn Man Pyŏl

Jinyoup Jang
{"title":"A Review of Sam-yŏn Kim Ch'anghŭp’s Farewell Poetry : Highlighting the works included in Nong Yŏn Man Pyŏl","authors":"Jinyoup Jang","doi":"10.33253/gohan.2023.40.097","DOIUrl":null,"url":null,"abstract":"『農淵挽別』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1책 51장의 필사본 자료로, 農巖 金昌協과 三淵 金昌翕의 挽詩와 贈別詩를 수록한 선집이다. 이 책은 농암과 삼연 작품의 후대 수용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농연만별』 수록작을 중심으로 김창흡의 증별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농연만별에 수록된 삼연 증별시의 목록을 제시하고 작품 수록 양상 및 選詩 기준을 살펴보았다. 이 책에 수록된 삼연의 증별시는 39제 87수로서, 拾遺는 제외하고 『三淵集』 原集에서만 뽑은 것이다. 책의 편자는 使行과 赴任과 같은 公務 관련 送詩를 우선적으로 선발하고, 이어서 여타 사유의 증별시를 뽑았다. 사행과 부임 송시는 古詩를 제외한 近體詩는 모두 수록하였으며, 증별시임이 분명치 않지만 부임 송시와 비슷한 경개를 담은 작품(2편)을 함께 뽑았다. 공무상의 송시 위주로 선발한 점과 근체만을 수록한 점을 통해 ‘作詩 敎材’로서의 이 책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삼연 증별시의 주된 정조와 그것의 형상화 방식을 세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연의 燕行 送詩에는 오랑캐 청에게 예를 행해야 하는 것에 대한 비분의 정이 강하게 드러나며, 이에 따라 ‘수심에 가득 찬 절의의 인물’ 로서의 사신 형상이 나타난다. 이와 관련하여 ‘蘇武’와 ‘金尙憲’의 표상을 사신들에게 중첩시키는 방식이 주목된다. 둘째, 연행과 통신사행의 송시에서 삼연은 遠游에 대한 선망과 이로 인한 神遊의 체험을 표현하였다. 삼연은 연행 송시에서 역사적·문화적 실체 로서의 ‘中國’을 체험하고자 하는 열망을 직접적으로 표출한다. 그리고 일본 사행의 송시 에서는 광활하고 낯선 풍광에서 종횡무진 시를 쓰는 시인의 형상을 묘사하고, 그들의 떠남이 자신의 神遊를 촉발했음을 토로한다. 또, 이국 체험을 통해 ‘記實’의 시를 쓰고 ‘詩境’을 넓힐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셋째, 삼연의 赴任 送詩에는 隱者의 풍모를 지닌 관리의 형상이 나타나며 神仙的 정취가 주된 정조를 이루고 있는 작품들이 있는데, 이러 한 작품들 속 은자의 형상에는 삼연 자신의 삶의 방식과 시적 지향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다. 이러한 지향은 은거에 대한 권유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고는 山水詩와 <葛驛雜詠> 등의 대표작 외에 김창흡 작품의 다양한 측면을 고찰하였 다는 의의가 있다. 아울러 『농연만별』에 수록된 삼연의 만시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검 토할 필요가 있다. 정형화되기 쉬운 만시와 증별시의 창작에서 삼연이 어떤 방식으로 참신함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것이 삼연의 다른 작품들에 나타나는 시적 지향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삼연의 만시와 증별시에 나타나는 개성적 측면이 전대 및 후대의 창작 경향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이는 18세기 詩壇의 흐름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논의의 주제가 될 것이다.","PeriodicalId":472276,"journal":{"name":"Go'jeon gwa haeseog","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jeon gwa haeseo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3/gohan.2023.40.09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農淵挽別』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1책 51장의 필사본 자료로, 農巖 金昌協과 三淵 金昌翕의 挽詩와 贈別詩를 수록한 선집이다. 이 책은 농암과 삼연 작품의 후대 수용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농연만별』 수록작을 중심으로 김창흡의 증별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농연만별에 수록된 삼연 증별시의 목록을 제시하고 작품 수록 양상 및 選詩 기준을 살펴보았다. 이 책에 수록된 삼연의 증별시는 39제 87수로서, 拾遺는 제외하고 『三淵集』 原集에서만 뽑은 것이다. 책의 편자는 使行과 赴任과 같은 公務 관련 送詩를 우선적으로 선발하고, 이어서 여타 사유의 증별시를 뽑았다. 사행과 부임 송시는 古詩를 제외한 近體詩는 모두 수록하였으며, 증별시임이 분명치 않지만 부임 송시와 비슷한 경개를 담은 작품(2편)을 함께 뽑았다. 공무상의 송시 위주로 선발한 점과 근체만을 수록한 점을 통해 ‘作詩 敎材’로서의 이 책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삼연 증별시의 주된 정조와 그것의 형상화 방식을 세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연의 燕行 送詩에는 오랑캐 청에게 예를 행해야 하는 것에 대한 비분의 정이 강하게 드러나며, 이에 따라 ‘수심에 가득 찬 절의의 인물’ 로서의 사신 형상이 나타난다. 이와 관련하여 ‘蘇武’와 ‘金尙憲’의 표상을 사신들에게 중첩시키는 방식이 주목된다. 둘째, 연행과 통신사행의 송시에서 삼연은 遠游에 대한 선망과 이로 인한 神遊의 체험을 표현하였다. 삼연은 연행 송시에서 역사적·문화적 실체 로서의 ‘中國’을 체험하고자 하는 열망을 직접적으로 표출한다. 그리고 일본 사행의 송시 에서는 광활하고 낯선 풍광에서 종횡무진 시를 쓰는 시인의 형상을 묘사하고, 그들의 떠남이 자신의 神遊를 촉발했음을 토로한다. 또, 이국 체험을 통해 ‘記實’의 시를 쓰고 ‘詩境’을 넓힐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셋째, 삼연의 赴任 送詩에는 隱者의 풍모를 지닌 관리의 형상이 나타나며 神仙的 정취가 주된 정조를 이루고 있는 작품들이 있는데, 이러 한 작품들 속 은자의 형상에는 삼연 자신의 삶의 방식과 시적 지향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다. 이러한 지향은 은거에 대한 권유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고는 山水詩와 <葛驛雜詠> 등의 대표작 외에 김창흡 작품의 다양한 측면을 고찰하였 다는 의의가 있다. 아울러 『농연만별』에 수록된 삼연의 만시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검 토할 필요가 있다. 정형화되기 쉬운 만시와 증별시의 창작에서 삼연이 어떤 방식으로 참신함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것이 삼연의 다른 작품들에 나타나는 시적 지향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삼연의 만시와 증별시에 나타나는 개성적 측면이 전대 및 후대의 창작 경향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이는 18세기 詩壇의 흐름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논의의 주제가 될 것이다.
检讨Sam-yŏn金澈'anghŭp《告别诗》:以农Yŏn满Pyŏl为重点
《农业淵挽一九六》收藏于奎章阁韩国学研究院1书51章的抄件资料,农业巖金"協和三淵金"翕的挽诗,和以一九六诗,收录的选集。这本书表现了农岩和三渊作品的后代接受情况,因此是值得关注的资料。为此,本稿将以《农缘万别》的收录作品为中心,对金昌吸的增别诗进行研讨。先收录在《农年老星星三延市的目录,星星出示工作证件,作品表现以及選诗,收录标准看了看。该书中收录的三渊的曾别诗是第39首,除《三部集》外,只在《三部集》中选出。书的编者优先选择了使行、物任等与公共事务相关的送诗,接着又选择了其他事由的增别诗。在《射行》和《赴任颂》中,除了古诗以外,收录了所有的古典诗。虽然不明确是曾别诗,但同时选择了与赴任颂诗相似的作品(2篇)。通过以公务上的宋诗为主选拔的一点和只收录近体的一点,可以确认作为“作诗教育材料”的这本书的用途。接着将三联增别诗的主要正祖和它的形象化方式分为三个方面进行了研究。分析结果如下:第一,在三渊的燕行送诗中,对向蛮夷清行礼表现出强烈的悲愤之情,因此出现了作为“充满忧虑的节义人物”的四神形象。与此相关,将“苏武”和“金尚存”的表象重叠在使臣身上的方式备受关注。第二,在燕燕和四使行宋诗中,表现了对远游的羡慕和由此产生的神游的体验。三渊在《带走颂》中直接表达了想要体验作为历史文化实体的“中国”的热望。而且,在日本四行的松诗中,描写了在广阔而陌生的风光中纵横驰骋的诗人的形象,并吐露了他们的离去触发了自己的神游。另外,他还嘱咐大家通过异国体验,写“记实”的诗,扩大“诗境”。第三,在三渊的任举诗中,有一些具有隐者风貌的官吏形象,以神仙情趣为主情操的作品。这些作品中的隐者形象强烈地反映了三渊自己的生活方式和诗的志向。这样的志向也会延伸到对隐居的劝诱。本古除了《山水诗》等代表作外,还考察了金昌洽作品的多种方面。同时,有必要对《农缘万别》中收录的三缘万诗进行追加检查。在容易定型的晚诗和曾别诗的创作中,三妍以何种方式确保了新颖性,这与三妍其他作品中表现出的诗的志向有何关联。进一步说,有必要讨论三渊的万诗和增别诗中表现出的个性与前代及后代的创作倾向有何关联。这将成为有关18世纪诗坛潮流的有意义的讨论主题。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