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ifting Perceptions of Kim Goeng-pil in the 16th century : The Impact of Kyeonghyeon-Rok and Literary Elites

Hemi Choi
{"title":"Shifting Perceptions of Kim Goeng-pil in the 16th century : The Impact of Kyeonghyeon-Rok and Literary Elites","authors":"Hemi Choi","doi":"10.33253/gohan.2023.40.17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중종대와 선조대의 金宏弼(1454∼1504)에 대한 공적 평가의 변화를 景賢錄의 편찬 및 개찬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이로써 인물에 관한 특정 사실을 선별 하고 배치하는 방식을 통해 16세기의 사대부가 자신의 학문적·정치적 입장에 따라 대상 인물을 형상화하는 방식을 구명한 것이다. 중종대에 趙光祖(1482∼1519)를 중심으로 정력적으로 추진된 김굉필의 문묘 종사가 실패한 이후 선조 초엽에 이르러 그의 문묘 종사 청원이 다시 거론되었는데, 이때 실록 에 다시 등장한 김굉필은 이전보다 훨씬 강화된 위상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그사이의 시기에 진행된 김굉필에 대한 선양 사업의 결과로서, 여기서 김굉필의 행적을 기록한 언행록인 경현록의 저술과 개찬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李楨(1512∼1571)은 경현록을 편찬한 뒤 李滉(1501∼1570)에게 자문을 요청 하였는데, 이황은 단순한 교정이 아니라 체제를 전반적으로 손보고 자신의 견해로 수정 하여 경현록을 새롭게 편찬하였다. 이 개찬 작업의 방점은 김굉필을 가문의 顯祖보다는 斯文의 宗匠으로서 보편적인 권위를 획득할 수 있도록 김굉필의 학문적 성취를 보다 강조하는 것에 있었다. 그리하여 김굉필이 도통에 포섭될 수 있는 기준을 사승 관계가 아닌 개인의 학문적 성취로 가져오고자 하였다. 김굉필에 대한 이황의 평가는 후대에 신뢰할 만한 전거로 인정받아 김굉필이 국가적 儒賢으로 공인되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로써 김굉필은 이전의 권위 있는 인물 과 연결되지 않고서 도학적 성취를 인정받았으며, 국가의 학문 진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 폭넓게 수용되었다.","PeriodicalId":472276,"journal":{"name":"Go'jeon gwa haeseog","volume":"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jeon gwa haeseo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3/gohan.2023.40.17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중종대와 선조대의 金宏弼(1454∼1504)에 대한 공적 평가의 변화를 景賢錄의 편찬 및 개찬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이로써 인물에 관한 특정 사실을 선별 하고 배치하는 방식을 통해 16세기의 사대부가 자신의 학문적·정치적 입장에 따라 대상 인물을 형상화하는 방식을 구명한 것이다. 중종대에 趙光祖(1482∼1519)를 중심으로 정력적으로 추진된 김굉필의 문묘 종사가 실패한 이후 선조 초엽에 이르러 그의 문묘 종사 청원이 다시 거론되었는데, 이때 실록 에 다시 등장한 김굉필은 이전보다 훨씬 강화된 위상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그사이의 시기에 진행된 김굉필에 대한 선양 사업의 결과로서, 여기서 김굉필의 행적을 기록한 언행록인 경현록의 저술과 개찬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李楨(1512∼1571)은 경현록을 편찬한 뒤 李滉(1501∼1570)에게 자문을 요청 하였는데, 이황은 단순한 교정이 아니라 체제를 전반적으로 손보고 자신의 견해로 수정 하여 경현록을 새롭게 편찬하였다. 이 개찬 작업의 방점은 김굉필을 가문의 顯祖보다는 斯文의 宗匠으로서 보편적인 권위를 획득할 수 있도록 김굉필의 학문적 성취를 보다 강조하는 것에 있었다. 그리하여 김굉필이 도통에 포섭될 수 있는 기준을 사승 관계가 아닌 개인의 학문적 성취로 가져오고자 하였다. 김굉필에 대한 이황의 평가는 후대에 신뢰할 만한 전거로 인정받아 김굉필이 국가적 儒賢으로 공인되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로써 김굉필은 이전의 권위 있는 인물 과 연결되지 않고서 도학적 성취를 인정받았으며, 국가의 학문 진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 폭넓게 수용되었다.
16世纪金景弼观念的变迁:庆贤录与文学精英的影响
本研究是中宗和祖先大学金宏弼(1454 - 1504)对公共评价的变化及文錄的编纂和篡改,说明,至此,关于人物的特定事实的方式,通过筛选并安排16世纪的士大夫根据自己的学术、政治立场救生塑造对象人物的方式的。中宗辆趙日光祖(1482—1519)为中心,努力推进金宏爱乐乐团的文庙从事失败后祖先初到他的文庙从事请愿再提了,这时实录再次登场的金宏菲尔比以往具有得到加强的地位了。这其间的时期进行对金宏爱乐乐团作为沈阳工作的结果,在这里金宏爱乐乐团的行迹记录的言行岳麓山——景县的著述和篡改,起了重要的作用。李楨(1512年至1571)景县摇滚编纂后,李滉要求(1501 ~ 1570)咨询了一下,李滉是单纯的校园,而是体制全面修理,以自己的观点修改景县摇滚重新编纂。这一改赞工作的重点不是强调金宏弼的学问成就,而是强调金宏弼作为斯文的宗匠,使其获得普遍的权威。因此,金宏弼想把能够被道统包容的标准从师承关系中带来,而从个人的学问成就中带来。李滉对金宏弼的评价被后人认为是值得信赖的论据,对金宏弼被公认为国家儒学家起到了重要的作用。因此,金宏弼在没有与以前的权威人物联系的情况下,在道学上的成就得到了认可,在国家学问振兴上起到了核心作用,这一点被广泛接受。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