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Jisan An Hyo-jin’s Reality Perceptions in Hwahaengilgi

Ji-hyeon Song
{"title":"A Study on Jisan An Hyo-jin’s Reality Perceptions in Hwahaengilgi","authors":"Ji-hyeon Song","doi":"10.33253/gohan.2023.40.229","DOIUrl":null,"url":null,"abstract":"우리나라는 20세기에 들어서며 일제의 통치와 서구 문물의 유입 등 국내외적으로 급 격한 변화를 겪었다. 유교의 위상도 점차 설 자리를 잃게 되자 유학을 고수했던 당시 유림들은 심각한 위기 상황으로 판단하고,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에 골몰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남 지역의 유림들은 우리나라에 유학을 도입한 회헌 안향을 대안 으로 삼아 안향의 공적을 기리는 활동을 펼쳐나갔다. 그러면서 ‘공자-주자-안향’의 순으 로 도의 대통이 이어지는 것으로 보아 도통사라는 사당을 세웠다. 공자와 주자, 안향의 연보를 통합한 『삼성현편년연보』를 간행하고 안향의 신도비를 새롭게 세우면서 서문과 비문이 필요했다. 이를 공자의 후손에게서 받아오자는 의견이 모이게 되고, 그 결과 안 향의 후손인 지산 안효진이 곡부를 다녀오는 임무를 맡았다. 안효진은 기차를 타고 이동하여 곡부에 가서 공묘와 공림 등을 둘러보고, 공자의 후손 으로부터 『삼성현편년연보』의 서문과 안향의 신도비 비문을 받아 귀국하였다. 곡부를 다녀온 여정을 날짜별로 기록하였는데 이것이 『화행일기』이다. 공자의 유적지 관람, 공자 후손들과의 교류, 기차를 타고 오가는 여정, 곳곳에서 느낀 바를 읊은 시문 등 다양한 양상이 『화행일기』에 담겨 있다. 그 과정에서 안효진은 곡부에서 공교회의 공교운동을 보고, 도통사의 활동과 맥락이 부합하며 그 정신이 상통한다고 여겼다. 그는 공교회의 총리를 맡고 있던 공상림의 제안 을 받아 도통사에 공교회 지회를 설립하는 데도 지대한 공을 세웠다. 안효진을 비롯한 도통사의 유림들이 공자의 후손에게 문장을 요청하고 공교운동에 관 심을 갖게 된 궁극적인 이유는 유도의 몰락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안효진은 깊은 우려와 탄식을 드러내면서도 극복하려는 의지와 미래에 대한 기대 감을 내비쳤다. 도통사를 창건하여 공자를 비롯한 주자와 안향을 추숭하는 활동에 대해 강조하며, 그렇게 해야만 도를 부지하고 기강을 바로잡아 우리나라가 다시 제대로 일어 설 수 있음을 피력하였다. 안효진은 안향의 후손으로서 공자 후손과의 교류에 앞장선 유림이었다. 63세 노인의 몸으로 결코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유교의 위상을 다시 회복하겠다는 사명감과 결연 한 의지로 버텨낸 인물이다. 안효진과 도통사 유림이 펼친 다양한 활동들은 유도를 부지 하여 우리나라를 다시 바로잡을 수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일종의 유교부흥운동으로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PeriodicalId":472276,"journal":{"name":"Go'jeon gwa haeseog","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o'jeon gwa haeseo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253/gohan.2023.40.2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우리나라는 20세기에 들어서며 일제의 통치와 서구 문물의 유입 등 국내외적으로 급 격한 변화를 겪었다. 유교의 위상도 점차 설 자리를 잃게 되자 유학을 고수했던 당시 유림들은 심각한 위기 상황으로 판단하고,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에 골몰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남 지역의 유림들은 우리나라에 유학을 도입한 회헌 안향을 대안 으로 삼아 안향의 공적을 기리는 활동을 펼쳐나갔다. 그러면서 ‘공자-주자-안향’의 순으 로 도의 대통이 이어지는 것으로 보아 도통사라는 사당을 세웠다. 공자와 주자, 안향의 연보를 통합한 『삼성현편년연보』를 간행하고 안향의 신도비를 새롭게 세우면서 서문과 비문이 필요했다. 이를 공자의 후손에게서 받아오자는 의견이 모이게 되고, 그 결과 안 향의 후손인 지산 안효진이 곡부를 다녀오는 임무를 맡았다. 안효진은 기차를 타고 이동하여 곡부에 가서 공묘와 공림 등을 둘러보고, 공자의 후손 으로부터 『삼성현편년연보』의 서문과 안향의 신도비 비문을 받아 귀국하였다. 곡부를 다녀온 여정을 날짜별로 기록하였는데 이것이 『화행일기』이다. 공자의 유적지 관람, 공자 후손들과의 교류, 기차를 타고 오가는 여정, 곳곳에서 느낀 바를 읊은 시문 등 다양한 양상이 『화행일기』에 담겨 있다. 그 과정에서 안효진은 곡부에서 공교회의 공교운동을 보고, 도통사의 활동과 맥락이 부합하며 그 정신이 상통한다고 여겼다. 그는 공교회의 총리를 맡고 있던 공상림의 제안 을 받아 도통사에 공교회 지회를 설립하는 데도 지대한 공을 세웠다. 안효진을 비롯한 도통사의 유림들이 공자의 후손에게 문장을 요청하고 공교운동에 관 심을 갖게 된 궁극적인 이유는 유도의 몰락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안효진은 깊은 우려와 탄식을 드러내면서도 극복하려는 의지와 미래에 대한 기대 감을 내비쳤다. 도통사를 창건하여 공자를 비롯한 주자와 안향을 추숭하는 활동에 대해 강조하며, 그렇게 해야만 도를 부지하고 기강을 바로잡아 우리나라가 다시 제대로 일어 설 수 있음을 피력하였다. 안효진은 안향의 후손으로서 공자 후손과의 교류에 앞장선 유림이었다. 63세 노인의 몸으로 결코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유교의 위상을 다시 회복하겠다는 사명감과 결연 한 의지로 버텨낸 인물이다. 안효진과 도통사 유림이 펼친 다양한 활동들은 유도를 부지 하여 우리나라를 다시 바로잡을 수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일종의 유교부흥운동으로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花行记》中纪山安孝镇的现实感知研究
进入20世纪,我国经历了日本帝国主义的统治和西欧文化的流入等国内外急剧变化。儒教的地位也逐渐失去了立足之地,当时固守儒学的儒林们认为这是严重的危机状况,并埋头制定如何克服危机的对策。在这样的背景下,庆南地区的儒林们将在我国引进儒学的会献安乡作为代替方案,展开了颂扬安乡功绩的活动。从以“孔子-朱子-安香”的顺序延续道的大统来看,建立了被称为道统寺的祠堂。将孔子、朱子、安乡的年谱综合起来的《三成县编年年谱》发行,重新建立安乡的信徒碑,需要西门和碑文。大家一致认为应该从孔子的后代那里得到,结果安香的后代智山安孝镇负责了去曲阜的任务。安孝镇乘火车移动到曲阜,参观了公庙和公林等地,从孔子的后代那里得到了《三星县编年年报》的序言和安乡的信徒碑碑文后回国。曲阜的旅程按日期记录下来,这就是《花行日记》。参观孔子遗址、与孔子后代的交流、乘火车往返的旅程、处处吟咏所感的诗文等多种面貌都包含在《花行日记》中。在此过程中,安孝镇在曲阜看到了公募会的公募运动,认为与道通社的活动脉络相符,精神相通。他接受公募会总理孔相林的提案,在道通社设立公募会支会也立下了极大的功劳。包括安孝镇在内的道通史儒林们向孔子的后代要求文章,并对凑巧运动产生关心的最终原因是对柔道没落的危机意识。对此,安孝镇表示了深深的忧虑和叹息,同时也表现出了要克服的意志和对未来的期待。他强调道通寺的创建,以孔子为首的追崇朱子和安香的活动,并表示只有这样才能维持道,端正纲纪,使我们国家能够重新站起来。安孝镇作为安香的后代,是带头与孔子后代进行交流的儒林。虽然63岁老人的身体经历了艰难的旅程,但是他以重新恢复儒教地位的使命感和坚决的意志坚持了下来。安孝镇和道通寺儒林展开的多样的活动是一种儒教复兴运动,其价值可以得到很高的评价。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