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and commentary on Jīngāngjīng-zhèngjie

Ho-Gui Kim
{"title":"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and commentary on Jīngāngjīng-zhèngjie","authors":"Ho-Gui Kim","doi":"10.22253/jss.2023.8.65.97","DOIUrl":null,"url":null,"abstract":"『금강경정해』는 잉한거사(剩閒居士) 공기채(龔穊綵)의 주해서인데, 조선 말기의 사람으로 추정되는 연방도인(蓮舫道人) 호정지(扈正智)가 교정자로서 그 역할을 분담하였다. 잉한거사는 소명태자가 나집본 한역 『금강경』에 분과한 32분과에 근거하면서 경문 전체를 50단락으로 나누고, 낱낱의 경문 단락마다 「주(註)」와 「강(講)」을 붙였다. 「주」는 경문의 문구 내지 용어에 대한 낱낱의 설명이다. 개중에는 한역된 한자의 의미에 근거한 해석을 가하여 애초의 범어가 지니고 있는 의미와 전혀 무관한 해석도 많이 보인다. 「강」은 50단락에 걸쳐서 해당 경문의 내용에 대하여 잉한거사 자신의 안목을 발휘하여 조망하면서 상세한 설명을 붙였다. 가령 ‘즉비’와 ‘시명’, ‘삼심불가득’, ‘지견불생’의 해석에 대하여 등에 나름대로 안목을 발휘하여 새롭게 해석을 가하였다. 이후에 교정자인 호정지는 두 가지 점에서 주해자의 견해를 보완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그 근거를 보면, 첫째로 32분과에 붙인 대의(大意)가 주해자의 견해와 동일하지 않다. 둘째로 제10, 제18, 제31의 세 분과에서 교정자가 나름대로 잉한거사의 안목에 대하여 비평을 가하였다. 가령 ‘즉비’와 ‘시명’, ‘삼심불가득’, ‘지견불생’에 대한 비평이 그것이다. 이로써 『금강경정해』는 주해자인 잉한거사의 안목과 교정자인 호정지의 견해가 합쳐진 주해서임을 알 수가 있다.","PeriodicalId":493444,"journal":{"name":"Journal of Seon Studies","volume":"6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Se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3/jss.2023.8.65.9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금강경정해』는 잉한거사(剩閒居士) 공기채(龔穊綵)의 주해서인데, 조선 말기의 사람으로 추정되는 연방도인(蓮舫道人) 호정지(扈正智)가 교정자로서 그 역할을 분담하였다. 잉한거사는 소명태자가 나집본 한역 『금강경』에 분과한 32분과에 근거하면서 경문 전체를 50단락으로 나누고, 낱낱의 경문 단락마다 「주(註)」와 「강(講)」을 붙였다. 「주」는 경문의 문구 내지 용어에 대한 낱낱의 설명이다. 개중에는 한역된 한자의 의미에 근거한 해석을 가하여 애초의 범어가 지니고 있는 의미와 전혀 무관한 해석도 많이 보인다. 「강」은 50단락에 걸쳐서 해당 경문의 내용에 대하여 잉한거사 자신의 안목을 발휘하여 조망하면서 상세한 설명을 붙였다. 가령 ‘즉비’와 ‘시명’, ‘삼심불가득’, ‘지견불생’의 해석에 대하여 등에 나름대로 안목을 발휘하여 새롭게 해석을 가하였다. 이후에 교정자인 호정지는 두 가지 점에서 주해자의 견해를 보완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그 근거를 보면, 첫째로 32분과에 붙인 대의(大意)가 주해자의 견해와 동일하지 않다. 둘째로 제10, 제18, 제31의 세 분과에서 교정자가 나름대로 잉한거사의 안목에 대하여 비평을 가하였다. 가령 ‘즉비’와 ‘시명’, ‘삼심불가득’, ‘지견불생’에 대한 비평이 그것이다. 이로써 『금강경정해』는 주해자인 잉한거사의 안목과 교정자인 호정지의 견해가 합쳐진 주해서임을 알 수가 있다.
结构特征与Jīngāngjīng-zhèngjie评论研究
《金刚经》确定的盈居士(剩閒居士)空气套(龔穊綵)的注。朝鲜末期的人,被推测为联邦道人,舫道人)胡政(扈正理智)矫正者,分担了他的作用。应汉居士根据昭明太子纳集本汉译《金刚经》分科32分科,将经文全部分为50段,每段经文都加上“主”和“课”。"注"是对经文或用语的逐字逐句的说明。其中有很多解释是根据汉译汉字的意义进行解释,与最初的梵语所具有的意义完全无关。《江》用50段篇幅,发挥英汉居士自己的眼光,对该经文的内容作了详细的说明。如对‘即雨’、‘时明’、‘三心不可得’、‘智见不生’的解释等,发挥自己的眼光,作了新的解释。此后,校对胡政志从两点上补充了朱海子的见解。其根据,一是三十二科的大意与注解者的见解不一致。第二,在第十,十八,三十一三个分科中,教正人对所作的举事眼光作了批评。例如对“即雨”、“时明”、“三心不可得”、“知见不生”的批评。由此可见,《金刚经丁海》是注解者应汉居士的眼光和校对者胡正志的见解相结合的注海瑞。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