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actical Meaning of dāna in (Buddha)Avatasakasūtra Ten Transferring-varga(十廻向品)

Ki-Sun(Ven. Do-Up) Kang
{"title":"The Practical Meaning of dāna in (Buddha)Avatasakasūtra Ten Transferring-varga(十廻向品)","authors":"Ki-Sun(Ven. Do-Up) Kang","doi":"10.22253/jss.2023.8.65.12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화엄경』「십회향품」에 대한 이해에 바탕하여 「십회향품」에 담긴 보시의 실천적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불교의 회향사상이 온전한 하나의 품으로 자리매김한 경전은 『화엄경』의 『십회향품』이 유일하다. 제5회 도솔천궁설법에서는 제23「승도솔천궁품」, 제24「도솔천궁게찬품」, 제25「십회향품」의 3개의 품이 설해지는데, 그 핵심은 십회향법문에 있다. 그리고 십회향은 금강당 보살을 위시한 10명의‘당’자 돌림의 보살들이 십행(十行)을 거쳐 십회향(十廻向)의 단계로 인과법문을 성취하고자 한 까닭으로 이품의 온 뜻[來意]을 설한 것이다. 제5회 3품의 구성은 제23 「승도솔천궁품」과 제24 「도솔천궁게찬품」은 붓다(佛)가 도솔천궁으로 올라가시는 과정을 그린 것으로 서분에 해당되고, 제25 「십회향품」은 정종분과 유통분에 속한다. 「십회향품」에서는 부처님의 위신력 삼매로부터 일어난 설주 금강당 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고 있으나, 경문을 분석했을 때, 실제적으로 모두 삼처회향(三處廻向)으로 귀결되고 있다. 『화엄경』「십회향품」에는 불교의 실천행인 육바라밀의 보시(布施)사상이 제6회향에 교설되어 있다. 십회향에 담긴 보시의 내용은 제6 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이며, 여기서 보시는 중생구제를 위한 방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시의 실천적 의미와 양상과 내용은 제6회향에 교설된 60종류의 보시에서 확인되며, 여기에 설해진 보시에는 오늘날 우리 현대인의 삶에 유용한 내용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오늘날 장기기증과도 연관되는 보시와 사회복지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익한 보시가 교설되고 있어 주목된다고 하겠다.","PeriodicalId":493444,"journal":{"name":"Journal of Seon Studies","volume":"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Se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253/jss.2023.8.65.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논문은 『화엄경』「십회향품」에 대한 이해에 바탕하여 「십회향품」에 담긴 보시의 실천적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불교의 회향사상이 온전한 하나의 품으로 자리매김한 경전은 『화엄경』의 『십회향품』이 유일하다. 제5회 도솔천궁설법에서는 제23「승도솔천궁품」, 제24「도솔천궁게찬품」, 제25「십회향품」의 3개의 품이 설해지는데, 그 핵심은 십회향법문에 있다. 그리고 십회향은 금강당 보살을 위시한 10명의‘당’자 돌림의 보살들이 십행(十行)을 거쳐 십회향(十廻向)의 단계로 인과법문을 성취하고자 한 까닭으로 이품의 온 뜻[來意]을 설한 것이다. 제5회 3품의 구성은 제23 「승도솔천궁품」과 제24 「도솔천궁게찬품」은 붓다(佛)가 도솔천궁으로 올라가시는 과정을 그린 것으로 서분에 해당되고, 제25 「십회향품」은 정종분과 유통분에 속한다. 「십회향품」에서는 부처님의 위신력 삼매로부터 일어난 설주 금강당 보살이 열 가지 회향을 설하고 있으나, 경문을 분석했을 때, 실제적으로 모두 삼처회향(三處廻向)으로 귀결되고 있다. 『화엄경』「십회향품」에는 불교의 실천행인 육바라밀의 보시(布施)사상이 제6회향에 교설되어 있다. 십회향에 담긴 보시의 내용은 제6 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이며, 여기서 보시는 중생구제를 위한 방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시의 실천적 의미와 양상과 내용은 제6회향에 교설된 60종류의 보시에서 확인되며, 여기에 설해진 보시에는 오늘날 우리 현대인의 삶에 유용한 내용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오늘날 장기기증과도 연관되는 보시와 사회복지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익한 보시가 교설되고 있어 주목된다고 하겠다.
(佛)Avatasakasūtra中dāna的实际意义
本论文将以对《华严经》《十回香品》的理解为基础,分析《十回香品》中蕴含的诗赋的实践意义。佛教的怀乡思想成为完整的一品的经典,只有《华严经》的《十回乡品》。第5届道率天宫说法中,第23《升道率天宫品》、第24《道率天宫菜凉品》、第25《十回香品》等3个品被阐述,其核心在于十回乡法门。十回乡是由以金刚堂菩萨为首的10名‘唐’字辈分的菩萨经过十行,成为十回乡的阶段,想要成就仁和法文的缘故,所以设了这个品的本意。第5回3品的构成是第23《升道率天宫品》和第24《道率天宫格赞品》,是佛陀登上道率天宫的过程,相当于书分,第25《十回香品》属于正宗分和流通分。《十回香品》中,由佛祖的神力三梅引起的雪主金刚堂菩萨说了十种茴香,但经文分析,实际上都归结为三处桧香。在《华严经》《十回香品》中,佛教实践行六波罗蜜布施思想在第六回乡被教导。十回乡所包含的诗的内容是第6顺序坚固一切善根回乡,在这里所看到的为了挽救生命的权宜之计构成。另外,布施的实践意义、形式和内容可以在第6回乡教述的60种布施中得到确认,在这里布施中包含了很多对我们现代人的生活有用的内容。特别是,目前正在讨论与器官捐赠有关的布施和可以用于社会福利实践的布施,因此备受关注。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