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ature and Idea of Jakbeopmu

Sang-Hee Woo
{"title":"The Nature and Idea of Jakbeopmu","authors":"Sang-Hee Woo","doi":"10.52892/rikd.2023.62.3","DOIUrl":null,"url":null,"abstract":"작법무란 한국 불교의 재의식에서 설행하는 의식무를 말한다. 본래 초기 불교의 승 단은 계율상 가무를 멀리하였지만, 작법무는 세속의 춤과는 그 목적과 본질이 엄연히 다르기 때문에 불교의 재의식 안에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불교의식을 통해 얻은 법 열과 환희심을 바라춤․나비춤․법고춤 등을 통한 몸짓으로 승화시켜 자신은 물론 보 는 이의 마음까지도 청정케 하고 나아가 법열의 세계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기에 작법 (作法): ‘법을 짓는다’이라 명명하게 되었다. 이러한 작법무는 불․보살의 찬탄과 신업공양의 의미, 더불어 수행자의 수행의 방편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요가나 명상에서 활용되는 호흡법이 적용되며 동작과 범패 의 수련을 거쳐 궁극적으로는 삼매에 들어 물아일체의 경지에서 표출되는 춤사위이기 에 작법무 자체에 이미 수행의 방법론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작법무의 설행은 자리이타행 즉 대승보살도의 정신을 근간으로 한다. 자신의 깨달음에 머물지 않고 재의식 안에서 교화적 역할을 함으로써 그 몸짓으로 죽은 사람 과 산사람 일체중생 모두를 깨닫게 하여 진리의 세계로 이끌 수 있는 힘이 있다. 이는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이며 재의식이 추구하는 목적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유마경』, 『육조단경』, 『지장보살본원경』, 재의식 염불문 등의 해석을 통해 작법무를 수행적, 해탈적 관점에서 그 본질과 사상을 바르게 이해하고 작법무가 대승보살행으로서 갖는 의의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PeriodicalId":477328,"journal":{"name":"urichum yeon-gu","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urichum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892/rikd.2023.6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작법무란 한국 불교의 재의식에서 설행하는 의식무를 말한다. 본래 초기 불교의 승 단은 계율상 가무를 멀리하였지만, 작법무는 세속의 춤과는 그 목적과 본질이 엄연히 다르기 때문에 불교의 재의식 안에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불교의식을 통해 얻은 법 열과 환희심을 바라춤․나비춤․법고춤 등을 통한 몸짓으로 승화시켜 자신은 물론 보 는 이의 마음까지도 청정케 하고 나아가 법열의 세계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기에 작법 (作法): ‘법을 짓는다’이라 명명하게 되었다. 이러한 작법무는 불․보살의 찬탄과 신업공양의 의미, 더불어 수행자의 수행의 방편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요가나 명상에서 활용되는 호흡법이 적용되며 동작과 범패 의 수련을 거쳐 궁극적으로는 삼매에 들어 물아일체의 경지에서 표출되는 춤사위이기 에 작법무 자체에 이미 수행의 방법론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작법무의 설행은 자리이타행 즉 대승보살도의 정신을 근간으로 한다. 자신의 깨달음에 머물지 않고 재의식 안에서 교화적 역할을 함으로써 그 몸짓으로 죽은 사람 과 산사람 일체중생 모두를 깨닫게 하여 진리의 세계로 이끌 수 있는 힘이 있다. 이는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이며 재의식이 추구하는 목적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유마경』, 『육조단경』, 『지장보살본원경』, 재의식 염불문 등의 해석을 통해 작법무를 수행적, 해탈적 관점에서 그 본질과 사상을 바르게 이해하고 작법무가 대승보살행으로서 갖는 의의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Jakbeopmu的性质与思想
作法舞是指在韩国佛教的再议仪式上举行的仪式舞。原本初期佛教的僧团在戒律上远离歌舞,但作法舞与世俗的舞蹈的目的和本质是截然不同的,因此在佛教的再议仪式中占有一席之地。通过佛教仪式获得的法悦和欢喜之心,通过望舞、蝴蝶舞、法鼓舞等升华为身体的动作,不仅是自己,连看的人的心也能清净,进而起到引导法悦世界的作用,因此被命名为“法”。这样的作法是佛·菩萨的赞叹和神业供养的意义,同时作为修行者修行的权宜之计的价值也很高。在瑜伽和冥想中使用的呼吸法,经过动作和梵牌的修炼,最终进入三昧,在水啊一切境界中表现出来的舞蹈动作本身就包含着修行的方法论。另外,作法舞的雪行以座利他行即大乘菩萨道的精神为基础。不停留在自己的觉悟上,而是在再意识中起到教化的作用,通过这样的身体动作让死人和山民全体众生都明白,拥有将其引导到真理世界的力量。这是大乘佛教的核心思想,也是重新认识追求的目的。因此,本研究中对委员会为支持这种主张《유마경》、《六朝团经》、《지장보살本愿经》,复议通过式的念佛门等解释做法平从完成的,解脱的观点会正确地理解其本质和思想,他表示:“作为做法萝卜大胜보살행,具有说明意义的目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