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cept of ‘Becoming’ as a Posthuman in Eun Young Jung’s Yeoseong Gukgeuk Project

Eun-Kyung Park, Yeon-Shim Chung
{"title":"A Study on the Concept of ‘Becoming’ as a Posthuman in Eun Young Jung’s Yeoseong Gukgeuk Project","authors":"Eun-Kyung Park, Yeon-Shim Chung","doi":"10.52892/rikd.2023.62.2","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여성국극을 소재 삼아 확장된 예술로 풀어낸 정은영의 프로젝트성 작업 에서 나타나는 다변화된 신체를 들뢰즈의 신체 담론의 견지와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여성국극은 주류적 전통에서 배제된 일종의 국악 연극으로, 정은영은 이 여성국극의 역사적 배경 및 남성 배역을 맡은 여성 배우들의 ‘남성 되기’ 과정에 주목하여 사진 및 영상 등으로 아카이브화하고 퀴어적 시선을 결합하여 동시대 연극으로 무대화한 작가 이다. 정은영이 작업화한 여성국극은 성별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젠더 이슈와 밀접하 게 연결되어 있으나, 연구자는 작가의 <여성국극 프로젝트>에 레즈비언, 게이, 트랜스 젠더 배우들과 함께한 장애 배우의 출연을 단초로 삼아 프로젝트에서 보이는 ‘되기’가 성별 전환의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퀴어적 존재는 일종의 비 주류로서 성별의 교차 및 결합, 비고정성 등을 보여주는데, 여기에 신체 일부의 상실 혹은 변형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배제되고 고립된 장애인들의 신체를 ‘되기’의 과정을 거친 신체에 포함시킴으로써 작가의 프로젝트가 주류와 비주류, 여성과 남성뿐만 아 닌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가 무너진 신체이자 포스트휴먼적 신체를 생산하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국극의 배경과 남성 되기 과정 을 일본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배우들이 수행하는 남성화의 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국 극 배우들의 ‘되기’만의 차별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들뢰즈의 ‘-되기’ 개념과 연 관 짓고, 그것을 바탕으로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작품에서 사용하는 고정관념을 해 체해 나가는 방식과 포스트휴먼으로 인식되는 새로운 신체 생산을 위한 되기의 장을 마련하는 작품에 관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정은영의 작품세계를 보다 다면적으로 이 해할 수 있는 시각을 형성하고자 하였다.","PeriodicalId":477328,"journal":{"name":"urichum yeon-gu","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urichum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2892/rikd.2023.62.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국극을 소재 삼아 확장된 예술로 풀어낸 정은영의 프로젝트성 작업 에서 나타나는 다변화된 신체를 들뢰즈의 신체 담론의 견지와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여성국극은 주류적 전통에서 배제된 일종의 국악 연극으로, 정은영은 이 여성국극의 역사적 배경 및 남성 배역을 맡은 여성 배우들의 ‘남성 되기’ 과정에 주목하여 사진 및 영상 등으로 아카이브화하고 퀴어적 시선을 결합하여 동시대 연극으로 무대화한 작가 이다. 정은영이 작업화한 여성국극은 성별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젠더 이슈와 밀접하 게 연결되어 있으나, 연구자는 작가의 <여성국극 프로젝트>에 레즈비언, 게이, 트랜스 젠더 배우들과 함께한 장애 배우의 출연을 단초로 삼아 프로젝트에서 보이는 ‘되기’가 성별 전환의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퀴어적 존재는 일종의 비 주류로서 성별의 교차 및 결합, 비고정성 등을 보여주는데, 여기에 신체 일부의 상실 혹은 변형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배제되고 고립된 장애인들의 신체를 ‘되기’의 과정을 거친 신체에 포함시킴으로써 작가의 프로젝트가 주류와 비주류, 여성과 남성뿐만 아 닌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가 무너진 신체이자 포스트휴먼적 신체를 생산하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국극의 배경과 남성 되기 과정 을 일본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배우들이 수행하는 남성화의 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국 극 배우들의 ‘되기’만의 차별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들뢰즈의 ‘-되기’ 개념과 연 관 짓고, 그것을 바탕으로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작품에서 사용하는 고정관념을 해 체해 나가는 방식과 포스트휴먼으로 인식되는 새로운 신체 생산을 위한 되기의 장을 마련하는 작품에 관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정은영의 작품세계를 보다 다면적으로 이 해할 수 있는 시각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郑恩英“丽城国国计划”中作为后人类的“成为”概念研究
本研究将以女性国剧为素材,以扩张的艺术表现出来的郑恩英的项目性工作中出现的多边化的身体与德勒兹的身体讨论的观点联系起来进行了观察。여성국극被排除在主流传统是一种以国乐话剧的英艇여성국극的历史背景及男性角色的女演员们的“男性关注过程,照片及影像等아카이브化垛口进视线结合在一起以同时代戏dictee的作家。艇英工作化的여성국극转换性别观点在建德热点和紧密相连,但研究人员在作家的女同性恋、男同性恋、变性和演员们一起的残疾演员出演的开端作为他们在项目表现出的“成为”不局限于性别转换的问题要证明的。液体的存在,是一种非主流的交叉性别及结合、札记定性等表现,再加上身体部分的丧失或变形,因此他被排除,为社会孤立的残疾人的身体“被”的经过身体,使作家的项目纳入主流和非主流,不只是女性和男性,正常和不正常的界限被打破,并提供了生产后人类身体的场所。为此,本研究将女性国剧的背景和成为男性的过程与日本宝冢歌剧团的演员们进行的男性化的过程进行了比较分析,提出了国剧演员们“成为”的差别性。并且들뢰즈的概念和“-成为”观,以它为基础的作品中使用的固定观念,并逐渐体方式和邮报human认识到新的身体被生产的章制定的关于作品的分析,使艇的作品进行比较的话,可以为该年的视角,形成了吧。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