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Art' in Modern Korea

Eo'mun nonjib Pub Date : 2023-08-31 DOI:10.33335/kll.98.7
In-jae Song, None Peng
{"title":"A Study on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Art' in Modern Korea","authors":"In-jae Song, None Peng","doi":"10.33335/kll.98.7","DOIUrl":null,"url":null,"abstract":"근대 이전 동아시아에서 한자어 ‘예술’은 기술을 의미했다. 근대에 와서 ‘예술’은 art의 번역어로 사용되어 인간의 미적 창조 활동의 산물이라는 의미를 띠었다. 한국에서 ‘기술’이라는 의미의 ‘예술’은 대체로 1910년 이전까지 사용되었고 일본 유학생을 통해 근대적 ‘예술’ 개념이 수용되고 유통되었다. 근대적 의미를 획득한 ‘예술’은 사전적 의미에만 멈추지 않고 시기별로 각기 다른 맥락 속에서 고유의 의미를 발산했다. 1910년 대에는 문예, 학술적 입장에 근거해서 ‘예술’이 인생의 의미를 실현하는 계기로 이해되었다. 1920년대에는 그 본연의 속성이 확인된 동시에 사회개조 등 사회적 성취를 거두어야 한다는 목적의식과 결부되었다. 1930년대 이후 예술 담론은 문화, 문학, 영화, 음악 등 장르로서의 예술과 가까운 용어와 관계를 맺고 형성되었다. 하지만 외형과 달리 1930년대에 ‘예술’은 사회적 책임감이라는 지향과 더욱 견고하게 관계 맺었다. 또한 예술의 속성에 대한 이해는 유지되었으나 그 예술과 새로운 장르 영화는 식민지 체제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식민 통치에 협력하는 담론을 형성했다. 이처럼 ‘예술’ 개념은 근대 전환을 통해 기술에서 미적 창조 활동의 산물로의 의미 변화와 그 의미 변화에 근거해서 새로운 사회적 지향과 결합하는 맥락의 변화를 동시에 보여주었다.","PeriodicalId":483983,"journal":{"name":"Eo'mun nonjib","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o'mun nonjib","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3335/kll.9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근대 이전 동아시아에서 한자어 ‘예술’은 기술을 의미했다. 근대에 와서 ‘예술’은 art의 번역어로 사용되어 인간의 미적 창조 활동의 산물이라는 의미를 띠었다. 한국에서 ‘기술’이라는 의미의 ‘예술’은 대체로 1910년 이전까지 사용되었고 일본 유학생을 통해 근대적 ‘예술’ 개념이 수용되고 유통되었다. 근대적 의미를 획득한 ‘예술’은 사전적 의미에만 멈추지 않고 시기별로 각기 다른 맥락 속에서 고유의 의미를 발산했다. 1910년 대에는 문예, 학술적 입장에 근거해서 ‘예술’이 인생의 의미를 실현하는 계기로 이해되었다. 1920년대에는 그 본연의 속성이 확인된 동시에 사회개조 등 사회적 성취를 거두어야 한다는 목적의식과 결부되었다. 1930년대 이후 예술 담론은 문화, 문학, 영화, 음악 등 장르로서의 예술과 가까운 용어와 관계를 맺고 형성되었다. 하지만 외형과 달리 1930년대에 ‘예술’은 사회적 책임감이라는 지향과 더욱 견고하게 관계 맺었다. 또한 예술의 속성에 대한 이해는 유지되었으나 그 예술과 새로운 장르 영화는 식민지 체제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식민 통치에 협력하는 담론을 형성했다. 이처럼 ‘예술’ 개념은 근대 전환을 통해 기술에서 미적 창조 활동의 산물로의 의미 변화와 그 의미 변화에 근거해서 새로운 사회적 지향과 결합하는 맥락의 변화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现代韩国“艺术”观念的变迁研究
在近代以前的东亚,汉字词“艺术”意味着技术。到了近代,“艺术”被用作艺术的翻译语,是人类美的创造活动的产物。在韩国,意为“技术”的“艺术”大体上使用到1910年以前,通过日本留学生接受并流通了近代的“艺术”概念。获得近代意义的“艺术”不仅停留在词典的意义上,还在不同时期不同的脉络中发散固有的意义。1910年,根据文艺、学术立场,“艺术”被理解为实现人生意义的契机。20世纪20年代,在确认其本身属性的同时,还与必须取得社会改造等社会成就的目的意识相结合。20世纪30年代以后,艺术讨论作为文化、文学、电影、音乐等体裁,与艺术建立了密切的用语关系。但与外形不同,20世纪30年代的“艺术”与社会责任感的志向建立了更加牢固的关系。另外,虽然维持了对艺术属性的理解,但是其艺术和新类型的电影在殖民地体制这一历史状况下,形成了协助殖民统治的讨论。像这样,“艺术”概念通过近代转换,同时展现了从技术到美的创造活动产物的意义变化和根据其意义变化与新的社会志向相结合的脉络变化。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