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laceness of ‘home’ and the violence of patriarchal system revealed in <Hyangnangjeon> and <Seoul Station>

EunWoo Lee
{"title":"The placeness of ‘home’ and the violence of patriarchal system revealed in &lt;Hyangnangjeon&gt; and &lt;Seoul Station&gt;","authors":"EunWoo Lee","doi":"10.24185/sswuhr.2023.08.48.283","DOIUrl":null,"url":null,"abstract":"‘집’은 인간의 근원적 장소이고 모든 여정의 귀환점이다. 그러나 17세기 <향랑전>의 주인공 향랑과 21세기 <서울역>의 주인공 혜선은 끝내 귀가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한다. 죽음을 담보로 신체를 버리고 이념으로 생존하는 ‘열녀’와 이념을 버리고 신체로 생존하는 ‘좀비’는 다른 듯하면서도 닮아 있다. 본 연구는 <향랑전>과 <서울역>의 두 주인공 향랑과 혜선이 어린 여성이라는 점, 그리고 그녀들의 행적이 줄곧 ‘집’이라는 장소를 향하고 있는 점, 그러나 끝내 비극적인 죽음을 겪는다는 점, 그런데 열녀라는 평판과 좀비라는 신체로 부활한다는 점, 여기에는 서사의 배경이 되는 ‘선산’과 ‘서울역’이라는 공간의 특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공유한다는 특징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녀들의 겪은 비극의 원인이 가부장제가 갖는 폭력성에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논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하였다. 하나는 ‘집’이라는 장소가 갖는 특성을 규명한다. 가부장제 하에 ‘집’은 아버지로 대표되는 남성이 주인인 장소이다. 주인 남성은 미성년이거나 미혼의 여성을 돌보아야 하는 책임과 이에 기반한 권력을 소유한다. 향랑이 거듭 유기되고 혜선이 착취되어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데는 그녀들에게 생존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를 제공해주지 못한 무능한 ‘아버지’들의 책임이 절대적이다. 이어서 ‘아버지’로 환유되는 가부장제의 폭력성을 부양자와 포식자를 넘나드는 권력의 무경계성, ‘집 안’의 구원자로서의 어머니의 부재와 ‘집 밖’의 구원자로서의 국가와 종교의 방임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한다. 우위의 가장이 열위의 구성원을 부양하는 수혜자―시혜자의 관계는 손쉽게 포식자―피식자의 먹이사슬로 전락한다. 이 끔직한 비극을 막아줄 수 있는 ‘집’의 성인 여성 구성원 어머니의 존재는 두 작품 모두에서 부재한다. ‘어머니’는 ‘계모’로 대체되거나 ‘죽은 어머니’나 ‘성모’와 같은 이상화된 허상으로 등장할 뿐이다. 향랑과 혜선의 실질적 영역과 상징적 영역에서의 각각 최종 보호자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와 종교마저도 아버지의 폭력으로부터 보호하지 못했다는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오히려 국가는 이들의 죽음을 각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강화와 재앙의 근원으로 소모하였다. 300년 전 향랑과 오늘날 혜선은 끝내 귀가하지 못한 채 갓 스무살 남짓의 나이에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그녀들의 죽음은 비극은 삭제되고 각기 자살로 절개를 지킨 평민 열녀, 좀비라는 재앙의 씨앗으로 기입되고 있다. 원초적 공간인 ‘집’에조차 소속되지 못한 사회적 약자인 그녀들의 비극을 규명하고 정당한 자리를 찾아주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185/sswuhr.2023.08.48.28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집’은 인간의 근원적 장소이고 모든 여정의 귀환점이다. 그러나 17세기 <향랑전>의 주인공 향랑과 21세기 <서울역>의 주인공 혜선은 끝내 귀가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한다. 죽음을 담보로 신체를 버리고 이념으로 생존하는 ‘열녀’와 이념을 버리고 신체로 생존하는 ‘좀비’는 다른 듯하면서도 닮아 있다. 본 연구는 <향랑전>과 <서울역>의 두 주인공 향랑과 혜선이 어린 여성이라는 점, 그리고 그녀들의 행적이 줄곧 ‘집’이라는 장소를 향하고 있는 점, 그러나 끝내 비극적인 죽음을 겪는다는 점, 그런데 열녀라는 평판과 좀비라는 신체로 부활한다는 점, 여기에는 서사의 배경이 되는 ‘선산’과 ‘서울역’이라는 공간의 특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공유한다는 특징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녀들의 겪은 비극의 원인이 가부장제가 갖는 폭력성에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논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하였다. 하나는 ‘집’이라는 장소가 갖는 특성을 규명한다. 가부장제 하에 ‘집’은 아버지로 대표되는 남성이 주인인 장소이다. 주인 남성은 미성년이거나 미혼의 여성을 돌보아야 하는 책임과 이에 기반한 권력을 소유한다. 향랑이 거듭 유기되고 혜선이 착취되어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데는 그녀들에게 생존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를 제공해주지 못한 무능한 ‘아버지’들의 책임이 절대적이다. 이어서 ‘아버지’로 환유되는 가부장제의 폭력성을 부양자와 포식자를 넘나드는 권력의 무경계성, ‘집 안’의 구원자로서의 어머니의 부재와 ‘집 밖’의 구원자로서의 국가와 종교의 방임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한다. 우위의 가장이 열위의 구성원을 부양하는 수혜자―시혜자의 관계는 손쉽게 포식자―피식자의 먹이사슬로 전락한다. 이 끔직한 비극을 막아줄 수 있는 ‘집’의 성인 여성 구성원 어머니의 존재는 두 작품 모두에서 부재한다. ‘어머니’는 ‘계모’로 대체되거나 ‘죽은 어머니’나 ‘성모’와 같은 이상화된 허상으로 등장할 뿐이다. 향랑과 혜선의 실질적 영역과 상징적 영역에서의 각각 최종 보호자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와 종교마저도 아버지의 폭력으로부터 보호하지 못했다는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오히려 국가는 이들의 죽음을 각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강화와 재앙의 근원으로 소모하였다. 300년 전 향랑과 오늘날 혜선은 끝내 귀가하지 못한 채 갓 스무살 남짓의 나이에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그녀들의 죽음은 비극은 삭제되고 각기 자살로 절개를 지킨 평민 열녀, 좀비라는 재앙의 씨앗으로 기입되고 있다. 원초적 공간인 ‘집’에조차 소속되지 못한 사회적 약자인 그녀들의 비극을 규명하고 정당한 자리를 찾아주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香南井》揭示的“家”的地方性和父权制度的暴力首尔站<
“家”是人类最根本的地方,也是所有旅程的回归点。但是17世纪的主人公香浪和21世纪的主人公惠善最终没能回家,迎来了死亡。以死亡为担保,抛弃身体,以理念生存的“烈女”和抛弃理念,以身体生存的“僵尸”看似不同,但又很相似。本研究的目的是和两个主人公乡朗、具惠善的合作则是年轻女性以及她们的事迹一直冲着“房子”的场所,但是最终难免经历悲剧性死亡分,但是以“烈女”评判和一些比身体复活的这一点,这里成为叙事的背景的“仙山”和“首尔站”空间的特性影响,共享的特点,关注这一点。并试图查明她们所经历的悲剧的原因在于家长制所具有的暴力性。讨论向两个方向展开。一是查明“家”这个场所具有的特性。在家长制下,“家”是以父亲为代表的男性当家作主的场所。男性主人拥有照顾未成年或未婚女性的责任和以此为基础的权力。香郎反复被遗弃,慧善被剥削,不能回家,迎接死亡,没能给她们提供生存的安全场所的无能的“父亲”们的责任是绝对的。接着分析了被换为“父亲”的家长制的暴力性,即在抚养者和捕食者之间权力的无组织性、作为“家里”的救助者的母亲的不在、作为“家外”的救助者的国家和宗教的放任。优势家长抚养列位成员的受惠者-施惠者的关系很容易沦落为捕食者-被食者的食物链。能够阻止这一可怕悲剧发生的《家》的成年女性成员母亲的存在在两部作品中都没有。“母亲”只是被“继母”代替或以“死去的母亲”、“圣母”等理想化的虚像登场而已。香浪和慧善在实质性领域和象征性领域分别起到最终保护者作用的国家和宗教也没能从父亲的暴力中保护出来。相反,国家将他们的死分别作为加强家长制意识形态和灾难的根源进行了消耗。300年前香浪和今天的慧善最终没能回家,在刚20多岁的时候就失去了生命。而且,她们的死亡悲剧被删除,被记录为分别以自杀守住气节的平民烈女和僵尸的灾难种子。本论文的目的是查明连原始空间“家”都不属于的社会弱者她们的悲剧,并为她们寻找正当的位置。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