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orrespondence between Modern Chinese Ce Syllable and Sino-Japanese: Focusing on Joyokanji Table","authors":"Yu Yang, KyongChul Lee","doi":"10.24185/sswuhr.2023.08.48.32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신용자한자표에서 현대중국어 Ce음절에 해당하는 상용한자를 추출하여 <현대 중국어와 일본한자음 대조표>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면서 중국어음과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를 폐음절 한자와 개음절 한자로 나누어 중고음에서 현대음까지 중국어의 음운 변화와 일본한자음에 대한 반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현대중국어의 Ce음절에 해당하는 폐음절 한자는 일본한자음에서 -ak형으로 나타내는 것이 15음으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ok형이 9음, -et형과 -at형은 각각 8음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jak형, -eki형, -jok형, -ik형, -jou형, -juu형 등이 존재한다. 일본한자음은 중고음의 입성 운미를 반영하고 있는 반면, 입성 운미의 탈락과 주모음의 후설고위화라는 두 가지 음운 변화를 거쳐 현대중국어에서는 Ce음절이 되었다. 2)현대중국어의 Ce음절에 해당하는 개음절 한자는 일본한자음에서 -ja형과 -a형이 각각 12음으로 나타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ai형, -o형, -i형, -jou형이 소수 존재한다. 일본한자음의 -ja형, -a형은 중고음을 반영한 결과이며, 현대 중국어의 Ce음절은 주모음의 후설고위화로 인해 Ce음절의 ɤ로 변한 것이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185/sswuhr.2023.08.48.32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신용자한자표에서 현대중국어 Ce음절에 해당하는 상용한자를 추출하여 <현대 중국어와 일본한자음 대조표>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면서 중국어음과 일본한자음의 대응관계를 폐음절 한자와 개음절 한자로 나누어 중고음에서 현대음까지 중국어의 음운 변화와 일본한자음에 대한 반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현대중국어의 Ce음절에 해당하는 폐음절 한자는 일본한자음에서 -ak형으로 나타내는 것이 15음으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ok형이 9음, -et형과 -at형은 각각 8음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jak형, -eki형, -jok형, -ik형, -jou형, -juu형 등이 존재한다. 일본한자음은 중고음의 입성 운미를 반영하고 있는 반면, 입성 운미의 탈락과 주모음의 후설고위화라는 두 가지 음운 변화를 거쳐 현대중국어에서는 Ce음절이 되었다. 2)현대중국어의 Ce음절에 해당하는 개음절 한자는 일본한자음에서 -ja형과 -a형이 각각 12음으로 나타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ai형, -o형, -i형, -jou형이 소수 존재한다. 일본한자음의 -ja형, -a형은 중고음을 반영한 결과이며, 현대 중국어의 Ce음절은 주모음의 후설고위화로 인해 Ce음절의 ɤ로 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