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f the Acceptance of Folklore

JaeHyun Cho
{"title":"A Study on of the Acceptance of Folklore","authors":"JaeHyun Cho","doi":"10.24185/sswuhr.2023.08.48.253","DOIUrl":null,"url":null,"abstract":"<연당이소저전>은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한글필사본 소설이다. 이 작품의 서사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설화는 크게 세 가지로, 첫째는 『高麗史』 世系 작제건 탄생 설화인데, 여기에 나타나는 중화귀인 결연 삽화는 중국에 대한 존주(尊周) 선망의식을 기반으로 혈통의 고귀함과 정통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연당이소저전>에서는 황위 계승 가능성이 없는 후궁 소생의 황자가 고난을 극복하고 황위에 오르고 조선의 여인을 황후로 삼아 행복을 누리는 애정 서사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 <연당이소저전>에는 연명설화 서사가 강하게 수용되었는데 그중에서도 경남 거제군 동부면에서 채록된 설화와 상당한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 번째, 『고려사(高麗史)』 志第 권25, 樂2 <명주가(溟州歌)>에 나타나는 연화부인 설화를 수용하였다. <연당이소저전>에서는 특히 헤어진 연인을 다시 이어주는 잉어와 까막까치의 신이성이 강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황제의 상을 가진 후궁 소생 황자’라는 상황으로 인해 두 번의 위험을 겪은 후에야 비로소 황자는 운명을 극복하고 명나라로 가서 태자가 되었는데, 그 위험을 극복하게 해 준 동력은 夫婦之義를 보여준 이소저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연당이소저전>에서 강조하려는 남녀 간 애정의 성격이 信義를 기반으로 한 부부애라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해 여러 설화를 복합적으로 수용하여 애정을 중심으로 서사를 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PeriodicalId":483270,"journal":{"name":"Inmun gwahag yeon-gu","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Inmun gwaha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185/sswuhr.2023.08.48.2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연당이소저전>은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한글필사본 소설이다. 이 작품의 서사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설화는 크게 세 가지로, 첫째는 『高麗史』 世系 작제건 탄생 설화인데, 여기에 나타나는 중화귀인 결연 삽화는 중국에 대한 존주(尊周) 선망의식을 기반으로 혈통의 고귀함과 정통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연당이소저전>에서는 황위 계승 가능성이 없는 후궁 소생의 황자가 고난을 극복하고 황위에 오르고 조선의 여인을 황후로 삼아 행복을 누리는 애정 서사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 <연당이소저전>에는 연명설화 서사가 강하게 수용되었는데 그중에서도 경남 거제군 동부면에서 채록된 설화와 상당한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 번째, 『고려사(高麗史)』 志第 권25, 樂2 <명주가(溟州歌)>에 나타나는 연화부인 설화를 수용하였다. <연당이소저전>에서는 특히 헤어진 연인을 다시 이어주는 잉어와 까막까치의 신이성이 강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황제의 상을 가진 후궁 소생 황자’라는 상황으로 인해 두 번의 위험을 겪은 후에야 비로소 황자는 운명을 극복하고 명나라로 가서 태자가 되었는데, 그 위험을 극복하게 해 준 동력은 夫婦之義를 보여준 이소저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연당이소저전>에서 강조하려는 남녀 간 애정의 성격이 信義를 기반으로 한 부부애라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해 여러 설화를 복합적으로 수용하여 애정을 중심으로 서사를 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民间传说的接受性研究
是国立韩文博物馆收藏的韩文手抄本小说。这部作品的叙事形成直接影响到故事的大致有三种,一是《2016-10-21史》世语系第三件小诞生的传说,是中华贵人结缘插图出现在这里的对中国的约翰·周(盘根错节,羡慕意识为基础,强调血统的高贵和正统性。但在《黄威》中,没有继承可能性的后宫所生的皇子克服苦难登上皇位,将朝鲜的女人作为皇后享受幸福的爱情叙事构成。第二,强烈接受延命传说叙事,其中发现与在庆南巨济郡东部面采集的传说有相当大的相似之处。第三,接受《高丽史》第25卷《乐2》中莲花夫人的传说。特别是把分手的恋人重新连接起来的鲤鱼和黑喜鹊的神性得到了强化。因为“皇帝之像的后宫小生皇子”的情况,经历了两次危险之后,皇子才克服了命运,前往明朝成为太子。克服危险的动力可以说是源于表现出夫人之义的李昭著。从这里可以看出男女间爱情的性质是以信义为基础的夫妻爱,为了有趣地传达这一点,可以认为是综合接受各种传说,以爱情为中心构成了叙事。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