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Effect of Women\"s Public CCTV Policy Effectiveness Perception on Police Trus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n Fear of Crime Victim","authors":"Seo Ho Lee","doi":"10.46225/cis.2023.08.9.2.5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존 서구중심의 경찰신뢰 설명모형인 ‘도구적 모형’ 에 기반하여 여성을 대상으로 범죄피해 두려움의 구체적 수준에 따른 CCTV 정책의 효과성 인식과 경찰신뢰간의 인과적 모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경찰신뢰 제고를 위한 각종 실천적 논의를 통해 여성을 대상으로 한 CCTV 관련 전략적 범죄예방 정책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죄예방 목적의 공공 CCTV에 관한 일반시민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했으며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공공 CCTV 정책에 대한 효과성 인식은 경찰에 대한 신뢰를 제고할 수 있는 선행요인으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여성의 범죄피해 두려움의 경우 경찰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없었다. 나아가 공공 CCTV 정책 효과성 인식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Johnson-Neyman에 따른 범죄피해 두려움의 구체적 수준을 살펴보면 두려움 수준이 낮은 하위 70% 집단의 경우는 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었으나, 상위 30% 집단은 영향을 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을 대상으로 범죄피해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각종 정책적 대안이 요구되며 경찰에 대한 신뢰제고를 위한 CCTV 정책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정교한 논의의 필요성을 남긴다.","PeriodicalId":485446,"journal":{"name":"범죄수사학연구","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범죄수사학연구","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6225/cis.2023.08.9.2.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 서구중심의 경찰신뢰 설명모형인 ‘도구적 모형’ 에 기반하여 여성을 대상으로 범죄피해 두려움의 구체적 수준에 따른 CCTV 정책의 효과성 인식과 경찰신뢰간의 인과적 모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경찰신뢰 제고를 위한 각종 실천적 논의를 통해 여성을 대상으로 한 CCTV 관련 전략적 범죄예방 정책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죄예방 목적의 공공 CCTV에 관한 일반시민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했으며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공공 CCTV 정책에 대한 효과성 인식은 경찰에 대한 신뢰를 제고할 수 있는 선행요인으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여성의 범죄피해 두려움의 경우 경찰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없었다. 나아가 공공 CCTV 정책 효과성 인식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Johnson-Neyman에 따른 범죄피해 두려움의 구체적 수준을 살펴보면 두려움 수준이 낮은 하위 70% 집단의 경우는 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었으나, 상위 30% 집단은 영향을 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을 대상으로 범죄피해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각종 정책적 대안이 요구되며 경찰에 대한 신뢰제고를 위한 CCTV 정책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정교한 논의의 필요성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