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Comparison of Deep Learning Models for Road Flooding Detection","authors":"Hui-Seong Noh, Ki-Hong Park","doi":"10.14801/jkiit.2023.21.8.185","DOIUrl":null,"url":null,"abstract":"기존의 단일 센서를 이용한 도로 침수 시스템은 수위가 특정 수치에 도달할 때 경보를 주는 방식으로 도로침수 판단 및 초동대처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CTV를 이용한 실시간 도로 침수 시스템 개발을 위해 CNN 기반의 사전 학습모델 8개를 선정 및 구현, 학습 및 검증을 통해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델별로 batchsize 16, 120 epoch로 학습하였고, 실험 결과 딥러닝 학습모델들이 평균적으로 90%의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정확도 측면에서는 ShuffleNet V1, SqueezeNet, ResNet-50 모델 순으로 성능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실시간 도로 침수 탐지와 예측을 위해서는 모델별 적정한 파리미터 수와 짧은 추론 시간이 요구되는 바, CCTV 한대당 10초에 1번씩 분석된다고 가정했을 때 ResNet-50 학습모델이 800대까지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eriodicalId":49866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801/jkiit.2023.21.8.18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기존의 단일 센서를 이용한 도로 침수 시스템은 수위가 특정 수치에 도달할 때 경보를 주는 방식으로 도로침수 판단 및 초동대처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CTV를 이용한 실시간 도로 침수 시스템 개발을 위해 CNN 기반의 사전 학습모델 8개를 선정 및 구현, 학습 및 검증을 통해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델별로 batchsize 16, 120 epoch로 학습하였고, 실험 결과 딥러닝 학습모델들이 평균적으로 90%의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정확도 측면에서는 ShuffleNet V1, SqueezeNet, ResNet-50 모델 순으로 성능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실시간 도로 침수 탐지와 예측을 위해서는 모델별 적정한 파리미터 수와 짧은 추론 시간이 요구되는 바, CCTV 한대당 10초에 1번씩 분석된다고 가정했을 때 ResNet-50 학습모델이 800대까지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